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에서 측면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술 후 안정성에 대한 방사선적 접근

        권석현 ( Suc Hyun Kweon ),박진영 ( Jin Yeong Park ),국승환 ( Seng Hwan Kook ),유병민 ( Byung Min Yoo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3

        목 적: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대퇴 경간각이 고정된 금속정을 골수강 내고정 후 발생한 지연 나사의 과도한 활강에 대하여 측면 방사선적 사진을 통한 정복 정도에 따른 활강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로 진단 받고 대퇴 경간각이 고정된 금속정으로 골수강 내 고정 시행한 뒤, 최소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8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 분류는 AO/OTA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전 예에서 불안정성 골절이었고 31-A22형이 20예, 31-A23형이 54예, 31-A3형 12예였다. 평균 나이는 73.7세(47-97세)였고, 남자 30명, 여자 56명였다. 술 후 측면 방사선 사진상 정복 정도에 따라 전위가 없는 군(group 1), 대퇴경부가 전방으로 전위된 군(group 2), 대퇴경부가 후방으로 전위된 군(group 3)으로 구분하였다. 영상의학적 평가는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의 방사선 사진에서 지연 나사의 활강 거리를 비교하였다. 결 과: Group 1은 42예, group 2는 22예, group 3은 22예이고, 각 group 간의 환자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연나사의 활강 거리는 각 군에서 각각 4.9±3.2 mm, 4.6±3.6 mm, 8.5±4.9 mm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group 3이 다른군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p<0.0001, p=0.024). 결 론: 대퇴 경간각이 고정된 골수강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할 경우, 내고정 전에 측면 방사선 사진을 통한 적절한 정복을 시행하여야 지연 나사의 과도한 활강을 막아 고정 실패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liding distance of lag screw in patients with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reated with intramedullary fixation using a cephalomedullary nail with a fixed angle between the neck and shaft of the femur in relation to reduction type by lateral radi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9 to October 2013, 86 cases (86 patients) with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treated with intramedullary fixation using a metal nail with a fixed neck-shaft angle and followed for at least 6 months. We used AO/OTA classification, and all cases were unstable fractures. Twenty cases were 31-A22, 54 cases were 31-A23, and 12 cases were 31-A3. There were 30 men and 56 women. Average patient age was 73.7 years (range, 47-97 years). We classified reduction types into three groups as postoperative lateral radiologic findings. Group 1 showed no displacement, group 2 showed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femur neck, and group 3 showed 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femur neck. The radiological assessment compared the sliding distance of the lag screw between postoperative X-ray and last follow-up X-ray. Results: Forty-two cases were in group 1, 22 cases were in group 2, and the other 22 cases were in group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ient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sliding distances of the lag screw were 4.9±3.2 mm, 4.6±3.6 mm, and 8.5±4.9 mm, respectively, and group 3 showed a significant result (p<0.0001, p=0.024). Conclusion: In cases treated with intramedullary fixation using a cephalomedullary nail with a fixed neck-shaft angle, appropriate reduction with a lateral radiograph before screw fixation is needed to prevent excessive lag screw sliding.

      • KCI등재

        근위부 슬괵건 완전 파열

        권석현 ( Suc Hyun Kweon ),김채근 ( Chae Geun Kim ),유병민 ( Byung Min Yoo ),조항환 ( Hang Hwan Cho ),최영채 ( Young Chae Choi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6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4 No.2

        While a sprain of the hamstring muscle is relatively common in athletes or those who participate in physically active sports, a complete rupture of the proximal hamstring is relatively rare. A rupture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femoris without rupture of the semimembranosus and semitendinosus muscles has rarely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saw relatively favorable outcomes after reattachment with a suture anchor at the ischial tuberosity in two patients who had a rupture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femoris.

      • KCI등재

        고령 환자에서 외고정 기구와 골 시멘트로 치료한 불안정성 요골 원위부 골절

        김동철 ( Dong Chul Kim ),권석현 ( Suc Hyun Kweon ),심대무 ( Dae Moo Shim ),전철홍 ( Churl Hong Chun ),송하헌 ( Ha Heon Song ),김정우 ( Jeung Woo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3

        목적: 만성 질환과 전신 상태가 불량한 고령 환자에서 외고정술과 골 시멘트로 치료한 전위되고 불안정한 요골 원위부 골절에 대한 기능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불안정한 요골 원위부 골절로 내원한 환자에서 외고정 장치와 심한 골 결손에 대해 골 시멘트로 충전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시 가능한 환자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형태는 AO 분류 (AO classification)에 의해, 수술 후 최종 기능의 평가는 방사선 촬영에 대한 분석과, 관절 운동 범위, 파악력 (grip strength)측정 등 객관적 자료와 동통, 기능상태, 관절운동 범위와 근력의 영향, 환자의 만족도를 통한 종합적인 평가 시스템 (Modified Mayo Wrist Scoring System)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상 요골 원위 관절면의 층형성은 평균 2 mm 이내의 소견을 보였으며 외상성 관절염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요골 길이 (radial length)는 평균 11.31 mm (범위, 8∼13.8 mm), 전방 경사 (volar tilt)는 평균 8.33˚ (범위, 3~17˚), 요골 경사각 (radial inclination)은 평균 24.66˚ (범위, 17~31˚)였다. 정상측과 비교하여 파악력은 평균 78.0% (범위, 63∼100%)까지 회복되었으며 수근관절 운동 범위의 평균값은 굴곡 73.5%, 신전 75.2%, 요측 변위 (radial deviation) 74.5%, 척측 변위(ulnar deviation) 78.3%, 회내전 (pronation) 82.8%, 회외전 (supination) 84.6%로 측정되었다. Modified Mayo Wrist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전체 기능을 평가한 결과 평균 78.3점 (범위, 70∼100점)이었으며 우수가 3예, 양호가 9예였다. 골 시멘트로 인하 합병증은 없었으나, 외고정 기구에 의한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 1예, 핀 주위 감염 3예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만성 질환과 전신 상태가 불량한 고령 환자에서 심한 골다공증으로 인한 불안정성 요골 원위부 골절 치료로 외고정 기기와 골 시멘트를 이용한 방법은 골 이식이나 다른 골 대치물에 의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었으며 추시 관찰시 관절면의 유지와 골절부위의 전위 방지로 기능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 results in the using of external fixation with bone cement (polymethylmethacrylate, PMMA) for unstable, osteoporotic distal radius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that have high morbidity and chronic medical problem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2 cases of 12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external fixation and bone cement for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s in the aged persons with poor general condition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4 and followed over one year. We analyzed the radiologic results, and measured the ranges of motion and grip strengths.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Modified Mayo Wrist Scoring System. Results: Radiographically, mean volar tilt, mean radial inclination and mean radial length were 8.33˚, 24.66 mm and 11.31˚ respectively on the last follow-up. The mean arc of range of motion was 74.4% of that the uninjured side, and the mean grip strength was 78.0% of that the contralateral side. The average Modified Mayo Wrist Score was 78.3. There were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in a case and pin tract infection in 3 cases a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xternal fixator. Conclusion: External fixation and bone cement is useful method for radial length maintenance, preventing reduction loss, restoring the articular surface, early exercise of the wrist joint without morbidity of donor site for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s requiring autogenous bone graft in the elderly patients.

      • KCI등재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전내측 피질골 중첩에 의한 정복

        김채근 ( Chae Geun Kim ),권석현 ( Suc Hyun Kweon ),한홍준 ( Hong Jun Han ),황재선 ( Jae Seon Hwang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4

        목적: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절의 원위부를 외측 전위시켜 전내측 피질골을 중첩 시키는 방법으로 정복 후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8월부터 2012년 8월까지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로 진단 받고 감마-3 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수술 후 및 최종 추시의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NSA, TAD, Cleveland index,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 골유합 시기를 측정하였다. 골절 정복의 정도는 Baumgaertner 기준 변형된 방법을 따라 양호(good), 적당(acceptable), 불량(poor)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퇴 경간각은 수술 후 평균 140。였으며, 최종 추시상 평균 135。로 감소되었다. TAD는 평균 11.3 mm였으며, 지연 나사의 위치는 정중앙에 12예, 중앙 하부에 8예가 위치하였다. 최종 추시시 지연 나사 활강 거리는 평균 5.5 mm였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3.7개월이었으며, 수술 직후 골절의 정복 상태는 양호 15예, 적당 5예로 전예에서 만족할만한 정복을 얻었다. 최종 추시상 정복 소실 및 지연 나사의 골두 관통(cut out) 등의 고정실패 및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절의 원위부를 외측 전위시키고, 전내측 피질골 근위부를 중첩(overlap) 시키고, 전후면상 외반 정복, 측면상 전방 전위 각형성 정복은 정복 소실 및 지연 나사의 골두 관통 등의 고정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result of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by lateralization of distal fragment and antero-medial cortex contact of the distal shaft piec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n analysis of 20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reated using a gamma-3 nail from August 2011 to August 2012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Using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radiographs, we measured NSA, TAD, Cleveland index,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 and union time. Adequacy of reduction was assessed by a modification in the criteria of Baumgaertner and classified as good, acceptable, or poor. Results: The mean NSA was 140。postoperative and 135。at last follow-up. The mean TAD was 11.3 mm. The position of the lag screw was in center-center in 12 cases, center-inferior in eight cases. The mean distance of lag screw sliding was 5.5 mm at last follow-up. The mean union time was 3.7 months. The state of reduction postoperatively was good in 15 cases, and acceptable in five cases. There was no failure of reduction, lag screw cut-out, or other complications at last follow-up. Conclusion: The reduction method for lateralization of distal fragment and antero-medial cortex contact of the distal shaft piece in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s very useful for prevention of collapse of the fracture site, lag screw cut-out, and mechanical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