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혼합배양에 의한 초기 먹이생물의 종 조성 변화

        정민민,오봉세,구학동,이창훈,양문호,문태석,김삼연,김형신,Jung, Min-Min,Oh, Bong-Sae,Ku, Hag-Dong,Lee, Chang-Hoon,Yang, Moon-Ho,Moon, Tae-Seok,Kim, Sam-Yeon,Kim, Hyeung-Sin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자연혼합배양(nature mixed culture)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해수관상어를 사육하는데 성공하였고 자연혼합배양수조에서 해수관상어의 자어는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생존 가능하였다. 자연혼합배양수조에 출현한 플랑크톤성 미소생물은 모두 34종이었으며 그 중에는 Detonula pumila, Nitzschia sp., Fragilaria oceanica, Chaetoceros curvisetus, Stephanodiscus sp., Chaetoceros decipiens, Chaetoceros sp., Thalassiosira rotula, Eucampia zodiacus, Diploneis splendica, Nitzschia longissima, Surirella cuneata, Asterionella glacialis, Nitzschia spp., Chaetoceros debil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itzschia, closterium, Skletonema costatum과 Licmophora sp와 같은 규조류가 19종, Euglena sp, Gonyaulax sp., Pyramimonas sp., Protoperidinium sp., Eutreptia, sp., Parapedinella sp., unidentified micro-flagellate, Gyrodinium sp., Scrippsiella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hrysochromulina sp., Gymnodinium sp., Prorocentrum triestinum과 Micromonas sp.와 같은 편모조류가 14종 그리고 1종의 섬모충으로서 Mesodinium rubrum가 관찰되었다. 한편, 미소생물 종 중에서 편모조류의 한종인 Chrysochromulina sp.는 사육기간 동안 우점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배양 개시 후 10일째부터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였다. We were successfully reared young marine ornamental larva fish in a unique process of microalgae blooming culture tank. The marine fish larva was grown and survived in this method. Generally, we called this method as natural mixed culture. Observed planktonic microalgae were 34 species with 19 diatoms (Detonula pumila, Nitzschia sp., Fragilaria oceanica, Chaetoceros curvisetus, Stephanodiscus sp., Chaetoceros decipies, Chaetoceros sp., Thalassiosira rotula, Eucampia zodiacus, Diploneis splendica, Nitzschia longissima, Surirella cuneata, Asterionella glacialis, Nitzschia spp., Chaetoceros debil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itzschia closterium, Skeletonema costatum and Licmophora sp.), 14 flagellates (Euglena, sp., Gonyaulax sp., Pyramimonas sp., Protoperidinium sp., Eutreptia sp., Parapedinella sp., unidentified micrc-flagellate, Gyrodinium sp., Scrippsiell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hrysochromulina sp., Gymnodinium sp., Prorocentrum triestinum and Micromonas sp.) and 1 ciliate (Mesodinium rubrum) in this culture tank. Dominant microalgae were Chrysochromulina sp. during the larval rearing periods. Blooming condition maintained continuously and stably from 10 to 60 days in this microcosm.

      • KCI등재후보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성장 및 성숙 유도

        문태석,조필규,김병학,박기열,구학동,신윤경,임영섭,Moon, Tae-Seok,Jo, Pil-Gue,Kim, Byoung-Hak,Park, Ki-Yeol,Ku, Hag-Dong,Shin, Yun-Kyung,Lym, Young-Sub 한국패류학회 2009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5 No.2

        키조개 양식은 근래에는 오염과 자연산 모패의 남획 등으로 점차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어 이들의 양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의 성성숙 조절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의 비만도와 생식소 및 유생의 발달단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키조개 모패로부터 인공종묘생산을 시도하였다. 키조개의 비만도를 살펴보면 어미의 연체부 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5월 중순부터 전 실험구가 먹이생물을 매우 활발히 섭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실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각부 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키조개 생식소의 성숙 발달단계는 비 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은 후기활성기로 판단되며, 시험 종료시에는 전 시험구가 완숙기와 방출기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3 종, Chlorella ellipsoidea, Tetraselmis tetrathele, Pheasant ylum tricornutum과 키조개 성성숙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키조개 암, 수 모두 Tet. 실험구에서 조직학적으로 빠른 성숙을 나타냈으며, 성성숙 유도율과 생존율 또한 Tet. 실험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Tetraselmis tetrathele가 키조개 어미사육에서 매우 유용한 먹이생물로 판단되었다. 자연 상태의 키조개 어미로는 인공종묘생산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성숙실험한 키조개 어미로부터는 5 회의 채란기간 중 반응이 있었고, D형 유생이 정상적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나 키조개는 실내 인공성숙관리에 의해 채란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키조개 유생을 사육한 결과, I. galbana, Chaetoceros sp., P. lutheri 및 혼합구 전 실험구에서 실험 시작 3-5일 사이에 생존율이 매우 낮아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 어미 인공사육관리에 의한 인공종묘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키조개 인공종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생사육 및 치패 생산에 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된다 할 수 있다. We investigated the degree of obesity, histological development stages of gonads and sexual maturation induction rates of comb pen shell, Atrina pectinata, per the type of micro-algae supplied. Terms of maturation by singular or mixed supply of microalgae, it was found that maturation of the female was the quickest at 60.0% by the Tetraselmis tetrathel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57.1% by the Chlorella ellipsoidea (Chl). experiment group and 16.7% by the Phaeodactylum tricornutum (Pha). experiment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t. experiment group and Chl. experiment group. As for the male, maturation was the quickest at 60.0% by th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16.7% by the Chl. experiment group and 14.3% by the Pha. experiment group. In light of these results, Tet. is concluded to be a very useful feed organism in breeding the mother comb pen shells. Upon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the sexual maturation induction rate for the femal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82.0% in the Tet.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72.0% by the Chl. experiment group, 64.0% by the Pha. experiment group and 58.0% by the mixed micro-algae experiment group.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at 94.4% by the mixed micro-algae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90.0% by the Pha. experiment group, 83.1% by the Tet. experiment group and 78.8% by the Chl. experiment group.

      • KCI등재

        자바리, Epinephelus bruneus의 난 발생과 부화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양문호,최영웅,정민민,구학동,오봉세,문태석,이창훈,김경민,한석중,Yang, Moon-Ho,Choi, Young-Ung,Jung, Min-Min,Ku, Hag-Dong,Oh, Bong-Sae,Moon, Tae-Seok,Lee, Chang-Hoon,Kim, Kyong-Min,Han, Seock-Jung 한국발생생물학회 2007 발생과 생식 Vol.11 No.2

        This study examined temperature effect in egg development and hatching of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Fertilized embryos was not growth after morula stage at $15^{\circ}C$, at 18, 21, 24 and $27^{\circ}C$, the required time from fertilized embryos to hatching were 70 h. 30 min., 44 h. 10 min., 29 h. 10 min. and 24 h. 30 min., respectively. The hatching rates at $24^{\circ}C$ were higher than the other conditions and the hatching was not occurred at $15^{\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ter temperature range of egg development and hatching was $18{\sim}27^{\circ}C$. 이 연구는 실내 사육수조에서 자연산란 후 수정된 난을 대상으로 수온에 따른 난 발생속도와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부화에 이르기까지 각 수온조건에서 소요된 시간은 $15^{\circ}C$에서 상실기 이후 발생이 진행되지 않았고, 18, 21, 24, $27^{\circ}C$에서 각각 70시간 30분, 44시간 10분, 29시간 10분 그리고 24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부화율은 $15^{\circ}C$에서 0%였고, 18, 21, 24 그리고 $27^{\circ}C$에서 각각 $8.3{\pm}1.2%$, $18.0{\pm}6.2%$, $24.0{\pm}4.0%$ 그리고 $17.0{\pm}7.2%$로 뚜렷한 차이 없이 $24^{\circ}C$에서 다소 높았고 21와 $27^{\circ}C$에서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18^{\circ}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자바리의 난발생 수온범위는 $18{\sim}27^{\circ}C$로 제안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