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협력 학교풍토와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

        구하라(Ku, Hara),함승환(Ham, Seung-Hwan),차윤경(Cha, Yun-Kyung),양예슬(Yang, Yese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교사가 어떠한 학교환경에서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교수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교사 간 협력을 교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주는 기제로 해석하는 관점에서, 학교의 교사협 력 풍토 수준이 교사의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활동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OECD 주관의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08 데이터 가운데 아시아 태평양 국가인 한국, 호주, 말레이시아 사례를 각각 분석하였고, 중학교 479곳의 교사 7,716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학교 및 교사 수준 변인을 동시에 고려한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 결과, 사회·문화적으로 상이한 세 국가 모두에서 일관성 있게 교사협력 학교풍토 수준이 높을수록 소속 학교 교사가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교수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교육개혁 흐름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학교환경 조건으로서 협 력적인 학교풍토의 형성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As a systematic effort to empirically examine how school teachers’ use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 is influenced by school climate,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es based on a multi-level sample of 7,716 teachers across 479 middle schools in Australia, Malaysia and South Korea. Data for the study were from the OECD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08.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lend credence to the hypothesis that teachers who work in a collegial climate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integrat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oster learner autonomy into their classroom teaching. This sheds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eachers may find themselves more successful in their effort to manage instructional uncertainty when working in a collegial climate. This result is very suggestive,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the collegial climate on teachers’ use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 appears quite consistent across all three countries analyzed despite the fact that the three countries exhibit quite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다문화교육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 경험의 의미 탐색 : 다문화교육 우수사례 수상자 교사 면담을 중심으로

        구하라(KU HARA),주미경(Mi-Kyung Ju)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이 다문화적 교사전문성 신장에 기여하는 바를 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 교수실천 경험이 풍부한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1차 심층면담과 2차 서면면담을 진행하여 이들의 경험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선행 연구들과 1차 심층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을 직무연수 등 공식적 지식전달 유형과 교사연구회, 비공식적 대화 등 비공식적 지식교류 유형으로 구분하여 수집된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참여자 교사들은 공식적 지식전달 유형의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 수 있었고,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이해’, ‘다문화교육 수업방법 이해’를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참여자 교사들은 비공식적 지식교류 유형의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에 참여하여 ‘다문화교육을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며 실천할 수 있었고, ‘현장적합한 다문화교육 역량 함양’, ‘다문화교육 경험적 지식의 공유와 생산’, ‘다문화교육 실행의지 강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참여자 교사들은 다문화적 교사전문성 신장에 대한 공식적 지식전달 유형과 비공식적 지식교류 유형의 효과에 있어, 특정 유형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한 일관된 경험을 지니고 있지 않았지만, 다문화교육에 관한 전문성이 발달해가는 과정에 따라 두 유형에서 순차적으로 도움을 받았거나 또는 상호보완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전문성 함양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s. For the purpose, in this study, we distinguishe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wo different types, that is, ‘formal delivery of knowledge’ and ‘informal exchange of knowledge’ to analyze how these two types of activitie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s.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we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of the interview responses of 12 teachers who practiced multicultural education successfully in their school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ormal delivery of knowledge’ type activities gave teachers opportunities to develop a broa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construct theoretical knowledg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change perceptions or attitud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o learn about successful ca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obtain access to materials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informal exchange of knowledge’ type acitivities provided the teachers opportunitie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school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lassroom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develop practical competencies necessary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multicultural instruction in school; and to strengthen the motivation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mak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of South Korea.

      • KCI등재

        교사협력과 공식적 교사학습이 학습자 중심 교수활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

        구하라 ( Ku Hara ),홍지인 ( Hong Ji I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어떠한 맥락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행하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특히 교사협력과 공식적 교사학습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협력활동이 학습자 중심 교수활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이, 교사 개인의 공식적 학습 참여 수준 또는 소속 학교 교사들의 공식적 학습 평균 참여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ECD 주관의 교수·학습 국제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3년도 한국 자료를 활용하였고, 중학교 163곳의 교사 2,041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 모형(HL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가 협력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학습자 중심 교수활동을 실천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두 변인 간의 정적인 관계는 교사 개인의 공식적 학습 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또는 소속 학교 교사들의 공식적 학습 평균 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사협력과 공식적 교사학습 참여의 상호작용 효과는, 혁신적인 교수활동의 실천역량 함양을 위해 동료교사 간 협력활동을 강조하고 또한 협력 과정에서 보다 전문성이 공유될 수 있도록 교사의 공식적 학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학교문화 및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raction effect of teachers’ collaboration and formal learning on their use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eachers’ collaboration on their use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depends on the individual teachers’ participation in formal learning or the overall participation rate in formal learning of the school. Based on 2,041 teachers in 163 South Korean middle schools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3 dataset, a serie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es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collabor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ir use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is strengthened by the individual teachers’ participation in formal learning or the overall participation rate in formal learning of the school.

      • KCI우수등재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의 관계에서 학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탐색

        구하라(Ku, Hara),김지현(Kim, Jihy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이주배경 학생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학교현장에서 다문화교육 실행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다문화교육이 어떠한 조건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 수준의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학교 수준의 학교장 문화감응적 리더십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다양성 교육현황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43개 초·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979명를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행과 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관계는 학교장의 문화감응적 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다문화교육 실행 간의 정적인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주었고 다문화교육 실행에 있어 교사 수준의 전문성 뿐만 아니라 학교장 수준의 전문성, 즉 문화감응적 리더십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해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이 실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increases, it is becoming crucial to understand how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even though the extant literature on this is limited.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teachers self-effica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thei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ow principals culturally responsive leadership moderates such association. We employ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979 teachers working at 43 schools to answer this question. We found evidence of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implementation of it. In addition, we found a positive and significant moderator effect of principals’ culturally responsive leadership. That is, we found that support from principals can boost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i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 show empirical evidence that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as well as how principals’ leadership can affect this relationship.

      • KCI등재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이선경(Sun-Kyung Lee),구하라(Hara Ku),김선아(Sunah Kim),김시정(Si-Jung Kim),문종은(Jong-Eun Moon),박영석(Young-Serk Park),신혜원(Hye-Won Shin),안성호(Sung-Ho Ahn),유병규(Byung-Gyu Yoo),이삼형(Sam-hyung Lee),이승희(Seung-Hee Lee),이은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교육 관련 선행 연구의 문헌 고찰을 통해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틀을 이론적 차원에서 구안하고 이를 실제 학교 현장에서 융복합교육으로 실행되었던 사례의 분석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 구성틀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사례 분석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행된 융복합교육 사례 중 융복합교육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대표할 수 있는 세 가지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이론적 수준에서 개발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틀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교육적 의미를 실제적 맥락에서 검토해보고 구성틀이 적용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해 봄으로써 구성틀의 적용가능성과 확장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학교 현장의 융복합교육에 구체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실제적 지침으로 제시될 수 있다. As an effort to develop a framework for helping teachers prepare yungbokhap education programs for their own classrooms, this study conducts an extensive,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on issues around how to develop yungbokhap education programs.6) Based on a comprehensive program development model that has evolved from our literature review, we have applied our framework to analyze several exemplary cases of yungbokhap education.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framework is highly useful to draw our analytic attention to a range of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central characteristics of yungbokhap education. This paper also discusses some potential limitations of the framework and calls for future research to both expand and elaborate the framework.

      • KCI등재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자기-타인평가일치가 학교 내 교사협력에 미치는 영향

        이전이(Lee, Jeon-Yi),구하라(Ku, Hara),박주호(Park, Joo-Ho),주미경(Ju, Mi-Kyung),차윤경(Cha, Yun-Kyung),최경준(Choi, Kyoung-Jun),함승환(Ham, Seung-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을 위한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인 교사협력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요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자기 평가와 교사/타인 평가 간 의 (불)일치 유형에 따라 학교 내 교사 간 협력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OECD의 TALIS 2008 데이터 가운데 우리나라 전국 48개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장 48명과 교사 819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과 교사 간의 평가 (불)일치 유형에 따라 교사 간 협력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과 교사 간의 평가 (불)일치 유형을 ‘고평가 일치’ 유형(준거 집단), ‘저평가 일치’ 유형, ‘과대평가자 교장’ 유형, ‘과소평가자 교장’ 유형으로 분류할 때, 과소평가자 교장 유형의 학교 교사들은 고평가 일치 유형 학교의 교사들에 비해 교사 간 협력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과대평가자 교장 유형이나 저평가 일치 유형의 학교 교사들은 고평가 일치 유형 학교 교사들에 비해 협력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유의미하 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교사 간 협력 활동을 촉진하는 기제로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평가가 다면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degree of teacher collabo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rincipal-teacher rating (dis)agreement regarding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Analyzing data from 48 middle schools in South Korea, originally gathered by the OECD’s TALIS 2008 survey, the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degree to which teacher collaboration is fostered in schools may systematically differ depending on four (dis)agreement types, i.e., in-agreement/good, in-agreement/poor, over-estimator principal, and under-estimator principal. The main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working in ‘in-agreement/good’ type schools (i.e., schools where both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agree that the principal exhibits effec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are most likely to engage in intra-school collaboration with other colleague teachers. In addition, ‘under-estimator principal’ type schools (i.e., schools where the principal under-estimates his/her instructional leadership performance while the teachers evaluate him/her highly) also appear fairly effective in fostering teacher collaboration. Conceptu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instructional leadership in multifaceted ways.

      • KCI등재

        반투과막 내 방사성 물질 제거 미세조류의 흡착 모델 및 특성

        서한복(Han-Bok Seo),구하라(Hara Ku),이상효(Sang-Hyo Lee),홍지은(Ji Eun Hong),이승엽(Seung-Yop Lee)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2 No.6

        본 논문에서는 저준위의 방사성 핵종으로 오염된 물에서 방사성 핵종 흡수성 미세 조류(Chlorella vulgaris)를 이용한 생체 흡착의 이론적 모델링 및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반투과막을 통과하는 세슘(Cs)과 스트론튬(Sr)과 같은 방사성 물질은 미세 조류에 의해 생체 흡착 될 수 있다. C. vulgaris와 방사성 핵종 사이의 평형 흡착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선행 실험 결과와 Langmuir 등온 흡착 모델을 활용하여 각 방사성 핵종에 대한 C. vulgaris의 생체 흡착 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의 생체 흡착 과정에 대한 질량 보존 모델을 설계하여 시간에 따른 생체 흡착 수치해석을 진행하였고 방사성 핵종의 제거 특성과 효율을 예측하였다. The theoretical modeling and characteristics of biosorption using radionuclide-absorbing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in low-level radionuclide-contaminated water are implemented. Radioactive materials such as cesium and strontium that pass through holes in semipermeable membranes are absorbed by microalgae. Equilibrium biosorption conditions between C. vulgaris and the radionuclides are obtained from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The biosorption characteristics of C. vulgaris for each radionuclide are theoretically established using Langmuir isotherms. A kinetic model of the biosorption process of the proposed membrane system has been developed using mass balances. Simulations of the biosorption efficiency over time have been performed to predict the removal of the radionuclides in the biosorption process.

      • KCI등재

        네 교사의 융복합교육 실행 경험의 이해

        유병규(Byung-Kyu Yu),구하라(Hara Ku),김선진(Sun-Jin Kim),김시정(Si-Jeong Kim),문종은(Jong-Eun Moon),박영석(Young-Serk Park),안성호(Sung-Ho G. Ahn),이선경(Sun-Kyung Lee),이은연(Eun-Youn Lee),주미경(Mi-Kyung Ju),차윤경(Yun-Kyung C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융복합교육 실천 과정에서 가졌던 경험은 무엇이며 그러한 실천 경험이 교사의 전문성 변화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교사들의 융복합교육 실천 과정에 대한 교사 면담 을 분석함으로써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융복합교육을 실천하는 경험을 통해 융복합교육에 대한 관점이 확장되고 타 교과의 지식 영역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을 뿐 아니라 전체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융복합교육 경험은 교사에게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에 있어서 교사 공동체 형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였다.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 변화의 여건 마련을 위해 아래와 같은 제언을 남긴다. 첫째, 교사 전 문성 개발이 다양한 실행 공동체 속에서 융복합교육의 실행과 성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실행 공동체를 가능케 하는 협력적인 학교 환경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 기반 교사 교육은 분과적 교사교육에서 융복합 기반의 교사교육으로 전환해야 하며 융복합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의 적응적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재편성해야 한다. As an effort to understand teachers’ experiences of integrating an integrative and holistic (or yungbokhap) model of education into their classroom teaching, the present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illustrative cases of four middle school teachers.1) Our analysis of rich qualitative data gathered through a series of observations and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teachers’ experience of implementing a yungbokhap model of education provided them with a useful chance to broaden their pedagogical purview to find new connections between curricular topics and themes across different subject areas. Further, the teachers engaged in collaborative interactions with other colleague teachers, which helped them critically reflect on their instructional practices, thereby contributing to building and sustaining a school-based inquiry community of teacher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regarding how to identify and provide the kinds of systemic support to effectively foster the development of both preand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in yungbokhap contexts of school reform.

      • 미세조류 배양을 위한 수직형 광생물반응기 특성 연구

        이상효(Sang-Hyo Lee),이주은(Ju Eun Lee),구하라(Hara Ku),홍지은(Ji Eun Hong),김영남(Yong-Nam Kim),이승엽(Seung-Yop Lee)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5 No.11

        We hav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a highly efficient vertical photobioreactor (PBR) developed by IMBiz company with the comparison to horizontal photobioreactors. The vertically aligned PBR increased productivity per area of microalgae, and decreased operating expense. Also it made cleaning of PBR easier. The aeration system was designed to blow in CO₂ from the air into the PBR via bubbling. For efficient harvesting of microalgae, the PBR adapted pressure-floating technique, which concentrates algal cells more than 20 times of the concentration before treatment. To prove benefits, we have cultured single-cell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which is being widely produced for protein supplements and health promo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ne batch of 1 ton with 20 circular tubes under autotrophic condition in outdoor environ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BR is not only easy to operate and harvest but it also has higher daily pro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