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복막투석 환자와 혈액투석 환자에서 내장 비만의 유병률 비교

        구영미 ( Young Mi Ku ),김영수 ( Young Soo Kim ),윤선애 ( Sun Ae Yoon ),염근상 ( Keun Sang Yum ),민경희 ( Kyung Hee Min ),정순선 ( Soon Sun Jung ),송호철 ( Ho Cheol Song ),김용수 ( Yong Soo Kim ),정수교 ( Soo Kyo Chung ),김영옥 ( Y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4

        목적: 최근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과 더불어 비만이 심혈관 질환 발생을 유발하는 중요 위험 인자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장 비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복부 지방 전산화단층촬영 (Abdominal fat CT)을 이용하여 단일 기관에서 투석 중인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 환자에서 내장 비만의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1월부터 2007년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신장내과 외래에서 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 지방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내장 비만 양을 측정하였다. 내장 비만은 복부 내장지방면적이 103.8 cm2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투석기간, 지방수치, 신체질량지수, 당뇨병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172명의 대상 환자 중 혈액투석 환자는 65명, 복막투석 환자는 67명이었다. 복막투석 환자의 평균체중 (60.1±9.3 kg vs. 67.0±12.2 kg, p=0.000), 평균 BMI (22.7±3.2 kg/m2 vs. 25.0±3.3 kg/m2, p=0.000), 중성지방 양 (146.3±83.2 mg/dL vs. 186.2±122.3 mg/dL, p= 0.031)이 혈액투석 환자에 비해 높았다. 또한 혈액투석군에 비해 평균 내장지방 면적 (97.3±50.2 cm2 vs. 122.8±47.5 cm2, p=0.003), 내장 비만 유병률 (35.4% vs. 56.7%, p= 0.014)이 복막투석군에서 높았으나, 복막투석군에서는 내장 지방면적과 신체질량지수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r=0.154, p=0.214). 양 군 모두 고령 환자에서 내장 비만의 유병률이 높았다 (≥65) (p=0.004).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혈액투석군에 비해 복막투석군의 내장 비만 발생률이 높았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으나 복막투석 환자에서 대사 증후군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체중 및 영양 상태의 적극적인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Visceral obesity is a more reliable indicator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 than BMI. Our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visceral obesity in peritoneal dialysis (PD) patients to hemodialysis (HD) patients with abdominal fat CT in a single center. Methods: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the result of abdominal fat CT of dialysis patients was investigated from January, 2007 to March, 2007 in Uijeongbu St. Mary`s Hospital.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related to visceral obesity, we analyzed patients` medical records such as duration of dialysis, lipid profiles, anthropometric data and the presence of DM. Results: We enrolled 65 HD patients and 67 PD patients. PD group had higher mean body weight, mean body mass index (BMI), and triglyceride level, compared to HD group. The PD group had higher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abdominal fat CT than HD group. The prevalence of visceral obesity was higher in PD group than HD group. Visceral fat area showed positive co-relation with BMI in HD group, but did not in PD group. The age related prevalence of visceral obes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atients with older age group (>65). Conclusion: Our cross sectional study points to the fact that visceral obesity is more common in PD patients than HD patients. It is necessary to control weight and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in PD patients for preventing metabolic complications.

      • KCI등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D-chiro-inositol의 혈당강하 효과와 당뇨 자가관리 및 삶의 질

        영미(Young Mi Kang),김현진(Hyun Jin Kim),이태용(Tae-Yong Lee),구본정(Bon-Jeong K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0

        본 연구 목적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D-chiro-inositol(DCI)의 혈당강하 효과, 당뇨 자가관리(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SDSCA) 및 삶의 질(SF-36 Version 2.0, Korean)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에 내원한 제2형 당뇨병 환자 중에서 3제의 경구 혈당강하제를 12주 이상 투여 했음에도 불구하고 당화혈색소 7.0% 이상인 환자를 2015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24주간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으로 총 46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DCI 투여 이후 당화혈색소 8.75±0.79%(베이스라인), 8.36±1.03%(투여 12주), 8.65±0.81%(투여 24주)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대조군과의 변화량은 차이가 없었다. 흥미롭게도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당뇨 자가관리 점수가높아졌으며, 특히 실험군 변화량에서의 하부영역인 혈당검사 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삶의 질은 투여전 73.05±16.85점에서 투여후 82.74±10.68점으로 향상되었다. DCI 투여에 따른 실험군에서의 요인간 경로분석에서 공복 혈당 변화량은 당뇨 자가관리 변화량이 높을수록(β=-0.505, t=-2.743) 높다고 확인되었다. 삶의 질 변화량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는 공복 c-펩타이드 변화량이 높을수록(β=-0.445, t=-2.668), 당뇨 자가관리 변화량이 높을수록(β=0.411, t=2.024)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DCI 투여는 투여 12주차에 혈당 강하 효과를 보이고, 24주차에는 없었지만, 혈당강하 효과는 환자의 당뇨 자가관리를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에 기초하여 결과적인 지표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평가될 수 있는 삶의 질에 대한 경로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CI on glucose control, quality of life(SF-36 Version 2.0, Korean) and SDSCA(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performed on 46 patients with HbA1c 7.0% taking triple anti-diabetic drug regime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15 and May 2016. As a result, DCI treatment in the intervention group resulted in significantly reduced HbA1c levels 8.75±0.79%(baseline), 8.36±1.03%(after 12weeks), and 8.65±0.81%(after 24weeks). However,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terestingly, both DCI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showed improvements in SDSCA.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mall yet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only fasting blood glucose test in SDSCA and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quantitative levels of quality of life, from 73.05±16.85 to 82.74±10.68. By using pathway analysis, improvement of SDSCA scores(β=-0.505, t=-2.743)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fasting blood glucos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as affected by changes of SDSCA scores(β=0.411, t=2.024) and fasting c-peptide(β=-0.445, t=-2.668) in DCI treatment group. In conclusion, treatment of DCI effectively improve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M(HbA1c level>7.0%) after 12 weeks of treatment, although it had no impact on glucose control after 24 weeks of treatment. Improved glucose control may encourage diabetic patients to conduct self-care activ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present study, we suggest that diabetes self-management, as well as consideration of comprehensive laboratory findings, may be important factor in regulating the quality of life in type 2 DM patients.

      • KCI등재

        한국인의 사망과 임상 위험요인과의 관계: 지역 코호트 연구

        영미 ( Young Mi Kang ),김현진 ( Hyun Jin Kim ),이태용 ( Tae-yong Lee ),구본정 ( Bon Jeong Ku ) 대한보건협회 2017 대한보건연구 Vol.43 No.3

        연구목적 : 사망원인과 사망관련 통계는 보건수준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10년간 추적관찰을 한 지역사회 코호트를 이용하여, 사망의 주요 원인과 사망원인에 관련되는 임상학적 생화학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5년 12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지역사회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40세 이상 70세 이하의 충청남도 금산군 주민을 대상으로 참여 당시 및 참여 10년 후 추적 관찰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신체계측, 설문조사 및 혈액검사를 시행하였고, 사망원인은 국제질병분류(ICD-10)를 이용해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 대상자 1993명 중에서 중도 탈락된 109명을 제외한 1,884명을 분석하였으며, 생존자(survivor)는 1813명이었고 사망자(death)는 71명(3.8%)이었다. 사망원인으로는 암 (Cancer)이 35명(49.3%)으로 가장 많았고, 심뇌혈관질환이 15명(21.1%), 그리고 기타 원인(폐질환, 간질환, 당뇨, 천식 등)이 21명(29.6%)이었다. 암 사망에는 성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고, 심뇌혈관질환 사망에는 흡연과 혈청 페리틴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사망률은 3.8%이었고, 사망원인은 암, 심뇌혈관질환 순서로 많았다. 사망 관련요인으로는 암의 경우성별, 심뇌혈관질환의 경우 흡연과 혈청 페리틴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 및 관리지침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the causes and risk factors for death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ed factors in death and causes of death through a 10-year follow-up of a Korean community cohort study. Methods : Data was collected from residents aged between 40 and 70 in Geumsan-gun, Chungcheongnam-do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cohort study conducted from December 2005 to February 2006. The data has been retrospectively analyzed 10 years from the conclusion of the community cohort study in 2006. Physical measurements, questionnaires and blood tests were performed. The causes of death were classified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0). Results : Out of the 1,993 subjects, data from a total of 1,884 individuals, excluding 109 dropouts, were analyzed. There were 1,813 surviving participants and 71 deceased subjects (3.8%).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cancer in 35 subjects (49.3%), followed by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15 subjects (21.1%), and other causes (lung disease, liver disease, diabetes, asthma, etc.) in 21 subjects (29.6%). Gende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ancer-relateddeath. Smoking and serum ferritin level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contributed to cardio/cerebrovascular-disease-related death. Conclusions : Cancer was the major cause of death, followed by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Gender was the most prominent factor in cancer-related death, while smoking and serum ferritin level were the major factors i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related death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to establish guidelines for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and mortality manag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산균 발효된 천년초 열매 추출물의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의 항비만 효과

        영미(Young-Mi Jung),구세광(Sae-Kwang Ku),이동섭(Dong Sub Lee),권기상(Kisang Kwon)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6

        미생물을 이용한 천연물 발효 시 유용생리활성 증가가 보고된 바, 천년초(Opuntia humifusa; OH)를 Lactobacillus plantarum 을 이용하여 발효시켰으며(fermented Opuntia humifusa; fOH), fOH 의 비만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5%Kcal 고지방식이(HFD)로 비만을 유도하였다. 이 전의 동물실험에 근거하여 OH 400 mg/kg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fOH 는 최고 농도 400 mg/kg을 비롯하여 200, 100 mg/kg으로 처리하였다. 지속적인 HFD 공급으로 HFD 대조군에서는 체중, 복부지방 밀도, 난소주위 축적 지방 및 복부 축적 지방량 등이 증가하였으나, fOH 400, 200 mg/kg 처리군에서는 이들 비만인자들이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fOH 100 mg/kg 처리 된 HFD 마우스는 OH 400 mg/kg 처리 마우스에 비해 의미 있는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OH에 비해 L. plantarum 로 발효된 fOH가 HFD공급 마우스에서 항비만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으로 2형 당뇨병 및 관련합병증으로 확대하여 비만, 고지질혈증, 간지방증, 신장 기능 등을 이용하여 억제 기작 연구가 진행되면 대사증후군을 위한 새로운 강력한 치료제로서의 제안될 가능성이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marked increase in the use of bioactive products resulting from the fermentation of natural substances by microorganisms. In this study, Opuntia humifusa (OH) was fermente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ed Opuntia humifusa; fOH). We then examined the anti-obesity effect of fOH in mice fed a 45% Kcal high fat diet (HFD). In this study, mice were treated with fOH concentrations of 100, 200, and 400 mg/kg. The mice in the control group were treated with OH at a concentration of 400 mg/kg based on previous animal experiments. All of the mice given a continuous HFD showed an increase in their weight, the density of abdominal fat, and the accumulated periovaric and abdominal fat. All of these obesity-linked factors, howeve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fOH at concentrations of 200 and 400 mg/kg. Mice treated with fOH at 100 mg/kg did not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se obesity-linked facto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appears that fOH fermented by L. plantarum has a greater anti-obesity effect in HFD-supplied mice compared to unfermented OH. While further studies of fOH are needed to examine its effect on obesity, hyperlipidemia, hepatic steatosis, renal function, and type II diabetes with its relevant complications, fOH may have significant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

        Mouse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Lactobacillus-fermented Araliae Continentalis Radix Aqueous Extracts (fACR)

        Young-Mi Jung(정영미),Sae-Kwang Ku(구세광),Dong Sub Lee(이동섭),Kisang Kwon(권기상)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2

        본 실험에서는 유산균발효 독활의 마우스 단회 경구 투여 독성 자료를 얻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2013-121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에 의거하여, 설치류 투여 한계 용량인 2,000 mg/kg을 최고 투여군을 설정하고 공비 2로 1,000 및 500 mg/kg 투여군을 중간 및 저용량 투여군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독활 열수 추출물 2,000 mg/kg 암수 투여군 및 암수 매체 대조군과 비교 평가 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설치류 투여한계 용량인 2,000 mg/kg 투여군까지, 유산균발효 독활 열수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 임상증상, 체중, 장기중량, 육안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유산균발효 독활 열수 추출물의 마우스에 대한 단회 경구 투여 반수 치사량 및 개략적 치사량은 암수 각각 2,000 mg/kg이상으로 산출되었으며, 특정 임상증상 및 표적 장기 역시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유산균발효 독활은 매우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또한 독활 열수 추출물 2,000 mg/kg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 임상 증상, 체중, 장기중량,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 역시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독활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cute (single) oral dose toxicity information on Lactobacillusfermented Araliae Continentalis Radix aqueous extracts (fACR) in female and male ICR mice, as compared with Araliae Continentalis Radix aqueous extracts (ACR). After administering a single oral dose of fACR, no treatment-related mortalities were observed within 14 days after the end of treatment up to 2,000 mg/kg, the maximum dosage for rodents of both sexes; moreover, no fACR treatment-related changes in the body and organ weights, clinical signs, necropsy,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detected in this experiment. In addition, no ACR 2,000 mg/kg treatment-related mortalities, clinical signs, body and organ weights, or gros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as compared with equal genders of vehicle control.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fACR is non-toxic in mice and is, therefore, likely to be safe for clinical use. The LD50 and approximate LD in female mice and male mice, respectively, were considered after a single oral dose of fACR over 2,000 mg/kg, the maximum dosage for rodents. In addition, no specific targets or clinical signs were detected in the present study. ACR 2,000 mg/kg-treated mice also did not show any treatment-related mortalities, clinical signs, changes to body and organ weights, or gros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as compared with equal genders of vehicle control.

      • KCI등재
      • KCI등재

        요관에 발생한 평활근육종 분화를 보인 육종양 요로상피암

        임광일(Kwang Il Yim),이용석(Young Seok Lee),구영미(Young Mi Ku),신옥란(Ok Ran Shin) 대한비뇨기종양학회 2010 대한비뇨기종양학회지 Vol.8 No.2

        Sarcomatoid urothelial carcinoma is a rare malignant tumor with a poor prognosis. We experienced a case of sarcomatoid urothelial carcinoma of the ureter that protruding into the urinary bladder in 55-year old woman. She underwent total nephrouretectomy with bladder cuff resection. Pathologically, the mass consisted of high grade urothelial cell carcinoma component and sarcomatoid cell component and we could find transitional zone of two cell groups. In immunohistochemical study, sarcomatoid cell group showed positive reactions for smooth muscle actin and vimentin. Therefore sarcomatoid cell component showed leiomyosarcomatous differentiation, so we can diagnosed this tumor as sarcomatoid urothelial carcinoma with heterologous elements of leiomyosarcoma.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