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부 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간극에 대한 micro CT와 절단 시편 측정법의 비교

        고인석,김정미,조혜원,Ko, In-Seok,Kim, Jeong-Mi,Cho, Hye-W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3

        목적: 본 연구는 수복물의 적합도를 계측하는 두 가지 측정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과 열가압 소성법으로 전부 도재관을 제작하고 micro CT와 cross-section technique으로 전부 도재관의 적합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하악 제 1대구치 레진 치아를 전부 도재관을 위한 지대치를 형성하고 PMMA (polymethylmethacrylate) 레진 블록을 가공하여 10개의 시편을 복제하였다. 복제한 레진 다이의 인상을 채득하고 모형을 제작하여 5개는 열가압 소성법으로 IPS e.max Press (Ivoclar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도재관을 제작하였다. 다른 5개의 시편은 CAD-CAM 가공법(Ceramil motion 2, Amann Girrbach, Koblach, Austria)을 이용하여 IPS e.max CAD 도재관을 제작하였다. 각 레진 다이에 전부 도재관을 인산아연 시멘트(Fleck's zinc cement, Keystone industries, Gibbstown, NJ, USA)로 손가락 압력에 의해 합착하였다.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합착된 시편 10개를 먼저 micro CT로 촬영하여 협-설 시상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였다. 그 후 절단 시편을 만들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micro CT와 동일한 지점의 간극을 측정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측정 지점에서 제작 방식별, 측정 방식별로 Mann-Whitney 검정 방법을 통해 유의차 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Micro CT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유사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가지 제작법의 도재관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CAD-CAM과 열가압소성으로 제작한 전부 도재관은 적합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Micro CT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측정 방식 모두 임상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daptation of lithium disilicate crowns fabricated by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and heat-press technique to compare two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in assessing fit of the ceramic crowns: micro CT and cross-section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A prepared typodont mandibular molar for ceramic crown was duplicated and ten dies were produced by milling the PMMA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Ten vinyl polysiloxane impressions were made and stone casts were produced. Five dies were used for IPS e.max Press crowns with heat-press technique. The other five dies were used for IPS e.max CAD crowns with CAD-CAM technique. Ten lithium disilicate crowns were cemented on the resin dies using zinc phosphate cement with finger pressure.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s in central buccolingual plane were evaluated using a micro CT. Then the specimens were embedded and cross-sectioned and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s were measured using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The two measurement methods and two manufacturing methods were compared using Mann-Whitney U test (SPSS 22.0). Results: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values using micro CT and cross-section technique were similar,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aptation between lithium disilicate crowns fabricated with CAD-CAM and heat-press technique. Conclusion: Both micro CT and cross-section technique were acceptable methods in the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lithium disilicate crow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aptation between lithium disilicate crowns fabricated with CAD-CAM and heat-press technique except occlusal fit.

      • KCI우수등재

        인공지능의 존재 지위에 대한 두 물음

        고인석(Insok Ko)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6

        이 논문은 인공지능의 존재론적 지위를 평가하기 위한 두 개의 물음을 던진다. 하나는 인공지능이 개념을 가질 수 있는가 하는 물음이고, 다른 하나는 인공지능이 행위의 능력을 가졌는가 하는 물음이다. 개념 능력은 인공지능이 통상적인 언어의 형태로 주어지는 명령이나 정보를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그것의 작동에 반영할 수 있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은 영상자료에서 비지도 학습의 방식으로 특정 범주의 사물을 식별해내는 성과를 거뒀지만, 이런 식별의 능력은 개념 능력의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다. 인공지능이 우리와 같은 개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인간 사회의 언어 관행을 고스란히 학습시키는 방식으로 가능할 것인데, 이것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사실상 완결되기 어려운 목표다. 한편, 행위 능력에 대한 평가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나 지능형 로봇 같은 인공물을 모종의 책임과 권리를 지닌 행위 주체로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을 다루기 위한 열쇠다. 행위는 행위 주체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으로, 행위의 실현에는 환경 속 대상에 대한 지각과 그것에 관한 동작의 협응, 달리 말하자면 감수자 체계와 행위자 체계의 통합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협응이나 통합의 배후에는 행위를 낳는 의도를 가지고 협응을 조율하는 존재, 즉 자아가 있다. 행위는 감수자 체계와 행위자 체계의 협응을 통해 자아의 의도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인공물의 작동이 이런 조건을 충족한다고 볼 이유는 아직 없다. 결국, 두 물음에 대한 이 논문의 대답은 부정적이거나 기껏해야 유보적이다. This paper examines two questions in order to assess the ontological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One is the question of whether AI has conceptual competence, and the other is whether AI has capacity to act. Conceptual competenc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AI to be able to properly understand commands and information given in ordinary human language and reflect them in its operation. A recent paper reports the success of AI in discerning objects of a specific category via unsupervised learning. But such ability implies neither a necessary nor a sufficient condition of conceptual competence. We could try to make AI share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s we have, by way of feeding it the whole body of linguistic practice of human society, which is not impossible but hard to complete in reality. The assessment of capacity to act is, on the other hand, the key to the question of whether AI can be regarded as agent with certain amount of responsibilities and rights. Action is interaction between the agent and its environment. Realization of an action requires successful coordination of patient system and agent system. There is a self behind this coordination, whose intention initiates and drives the whole process. Action is thus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intention of the self through coordination of patient system and agent system. As there is no reason to say that the operation of artifacts meets these conditions, the answers to both questions of this paper are negative.

      • KCI등재

        생산적인 융합연구를 촉진하는 학제적 소통을 위한 방안

        고인석 ( In Sok Ko )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2

        Tong-sop(統攝) and yung-hap(融合) have been among the key words in recent academic and social discourses in Korea. But solutions for how practically to overcome the Snowian Two Cultures and how efficiently to widen and intensify th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have not been articulated. This paper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amendment of this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e aims and three relevant modes of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are analyzed. Then two basic but practical approaches to the problem are discussed, i.e. in order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and, above all, to nourish the grass-root culture of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that I call garden of promiscuity.

      • KCI등재

        빈 학단의 과학사상: 배경, 형성과정, 그리고 변화

        고인석 ( In Sok Ko )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1

        Vienna Circle is a very complex topic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t resists easy generalizations about its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This paper tries to give a synopsis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ircle. I investigate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Vienna Circle 1) at its genetic background, the Machian thought at the turn of the century, which was the source of both anti-metaphysical positivism and the evolutionary viewpoint of scientific knowledge, 2) at the stage of the (so-called) First Vienna Circle of H. Hahn, O. Neurath, et al., and finally 3) at the stage of the Vienna Circle with M. Schlick as its leader and R. Carnap its major theoretician. According to my analysis, this whole development could be described as a phase change accompanied by focus shift of academic activity, from the social enlightenment movement upon the foundation of sciences to a research program of philosophical analysis of empirical sciences, especially the analysis of the logical structure of scientific knowledge in general.

      • KCI등재
      • KCI등재

        체계적인 로봇윤리의 정립을 위한 로봇 존재론, 특히 로봇의 분류에 관하여

        고인석(Ko, In-Sok)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로봇윤리를 구체적인 규범의 차원까지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그 적용 대상인 로봇이라는 존재 범주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 특히 그것의 적절한 분류학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려는 일단의 시도다. 이 논문은 먼저 로봇의 분류라는 문제의 의미를 음미하고(1절), 분류체계가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분석한 후에(2절), 로봇윤리 관점의 로봇 분류라는 문제의 특수성을 염두에 두면서 로봇 분류의 가능한 원칙들을 검토한다(3절). 이어 4절에서 필자는 기존의 로봇 분류체계에 해당하는 몇 가지 사례를 2절에서 논한 중첩 금지, 전포괄성, 분류원칙의 체계성 등의 관점에서 검토, 평가함으로써 이 논문의 문제의식을 충족시키는 로봇의 분류체계가 아직 만들어져야 할 과제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5절에서 합리적인 로봇의 분류체계를 구성하는 데 적용할 만한 분석의 두 차원을 제시한다. 로봇은 인간의 도구지만 특정한 방식으로 제한된 수준의 자율성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서 여느 인공물과 다른 고유의 지위를 지니며, 인간과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상호작용하는 존재자의 특성을 지닌다. 이런 까닭에, 로봇윤리와 유관한 로봇의 분류는 이와 같은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의 특성을 분석의 주된 축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은 로봇시스템이 구현하는 인공지능의 양상에 대한 분석과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구조에 대한 분석의 합으로 구성될 것이다. In order to get a practical system of roboethics up to its details we need a systematic ontology of robotic beings, especially a reasonable taxonomy of them. This paper looks into some basic questions on the taxonomy of robotic beings by discussing qualifying conditions of a taxonomy in general and some unique aspects of the classification of artifacts. No-overlap, exhaustiveness, and consistency are analyzed to be essential conditions for an effective classification. It reviews then several examples of robot taxonomy from this evaluative viewpoint. None of the examined examples proves to satisfy all three basic conditions. The paper investigates some peculiar difficulties of robot classification which were the background of the unsatisfactoriness of the given examples, then proceeds to suggest a set of basic classificatory principles for systematics of robotic beings. Considering the target, to provide systematic ontological foundation of roboethics, the mode of human-robot interaction(HRI) should be the core taxonomic principle. The analysis of HRI in this respect includes inqui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alized by the robotic system and that of the structure of HRI.

      • KCI등재
      • KCI등재

        개념의 개념 : 퍼트남과 버지의 외재주의

        고인석(Ko, Insok)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퍼트남과 버지가 제안한 의미론적 외재주의를 검토하면서 그것의 한계를 고찰한다. 외재주의에 관한 찬반 논쟁에는 ‘개념’과 ‘의미’라는 개념을 바라보는 상이한 관점들이 개입하며, 이런 상황의 배경에는 의미라는 개념의 원초적 애매성이 놓여있다. 이 논문은 이 애매성의 분석을 토대로 기존 의미론의 두 기본 가정이 양립 불가능하다는 퍼트남의 주장을 비판한다. 개념과 실재 세계의 참된 대응 관계에 대한 신념에 기초한 퍼트남의 외재주의는 이 관계의 확인과 관련된 인식적 권위의 기제로 사회 차원의 언어적 분업을 지적하는데, 버지의 외재주의는 의미의 이런 사회적 차원에 주목함으로써 퍼트남과 다른 초점을 지닌 외재주의를 제시한다. 버지는 언어 표현의 의미를 확정하는 권한이 사회에, 특히 해당 개념에 대한 전문성을 지닌 전문가 공동체에 있다고 보았다. 버지의 주장을 그 선행 연구라고 할 쿤의 과학론과 연결함으로써 우리는 외재성의 기반이 생성과 변동의 과정을 겪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퍼트남과 버지가 구상한 외재주의의 취지와 잘 어울리지 않는 결론이다. 결국 외재주의 의미론은 언어에 관한 이념적-규범적 관점으로서 의의를 지니지만 언어 현상에 대한 포괄적 설명의 틀로서는 부적합하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Where is the meaning of a concept? Is it in the head of the language user thinking and talking about it, or does its locus extend over the boundary of individual mind to the world, or to society?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semantic externalism suggested by Hilary Putnam and Tyler Burge. By analyzing the ambiguity of the notion of meaning that pervades wide range of discussions pro and contra externalism I show that Putnam"s critique of the traditional semantics that its two basic assumptions be mutually incompatible loses its bite. Burge"s externalist investigation concentrates on the source of epistemic authority concerning the meaning of a concept, which is not individual mind, but the relevant scientific community. His externalism turns out to stand on ever-shaky foundation, however, when we consider the dynamics of scientific change Thomas Kuhn analyzed. Both the Putnamian and Burgean versions of semantic externalism prove to be inadequate schemes for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linguistic phenomena in reality, though they would maintain philosophical significance as normative claims about seman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