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 남성인물의 ‘공감’에 대하여 : 『명행정의록』의 ‘위천유’를 주목하며

        고은임(Ko, Eun-Im)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한글장편소설은 상층 여성의 고충이 잘 드러나 있는 장르이다. 이때 여성들의 고충은 비슷한 처지의 여성에 의해 공감되고 위로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여성의 내적 고통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 남성인물이 있어 흥미롭다. 본고는 한글장편소설의 남성 중심인물의 공감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군자형 인물과 호방형 인물의 유형적 특징, 특히 감성의 측면에 집중하여 그들이 타인의 감성에 대해 어떤 인식과 이해를 지니고 있으며 얼마나 공감하는지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는 가운데 『명행정의록』의 등장인물 ‘위천유’가 여성인물에게 공감하는 상황에 주목하게 될 것이다. 군자형 인물은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도덕적 기준, 감정 절제의 기준이 높아, 타인의 부적절한 욕망과 감정에 대해서는 부정(否定)하고 혐오하여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자신의 감정뿐만 아니라 타인의 감정을 소외시키는 경향이 있다. 반면 호방형 인물은 감정을 표출하고 추구하는 데 적극적이지만 갈등 상황에서는 자신의 감정에만 지나치게 몰입하는 자기중심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 때문에 특히 갈등 대상이 되는 여성인물에게 질곡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군자형, 호방형 인물 모두 자신과 마주하는 타자의 감성 작용에 대체로 무심하다 할 수 있다. 그런데 『명행정의록』의 군자형 인물 위천유는 공감능력, 특히 인지적 공감능력이 뛰어나 여성인물의 고통을 누구보다도 가장 잘 이해하고 공감한다. 그는 원치 않은 혼인 상황에서 장인에 대한 불만을 아내에게 옮기는 일 없이, 오히려 곤란한 상황에 괴로워하는 아내 문창군주를 위로하고, 지속적인 정신적 외상[trauma]에 시달리다 마비 증세를 겪는 제수(弟嫂) 양현강의 내면을 곡진히 이해하며 그를 치유한다. 여성의 고통이 여성이 아닌 남성에 의해 이해되고 공감된 지점은 특기할 만한데, 이처럼 여성/약자에게 공감하는 남성인물의 등장은, 약자들의 문제에 대한 공감 주체와 공감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는 데서 의미가 깊다.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s the genre which the problem to the upper layer woman is well revealed. At this time, problems are often sympathized and comforted by women in similar situations.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there are male characters wh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women s inner suffering better than anyone else. This paper aims to consider on the male character ‘Wicheonyu’ of Myeonghaengjeonguirok in which the sympathy ability is excellent. The male protagonist of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s classified into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and the manly and broad minded characters. As to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the standard about the emotion control is high. So this character dislikes others inappropriate desires and emotions and does not try to understand them. On the other hand, the manly and broad minded characters is active in expressing its own feeling and pursuing. In conflict situations, they are so immersed in themselves that they cannot empathize with their opponents. For this reason, it plays a role in giving pain to female characters who are in conflict. As such, both types of characters do not understand the other s emotional effects properly. However, ‘Wicheonyu’,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of Myeonghaengjeonguirok, has excellent empathy, especially cognitive empathy, and understands and empathizes with the pain of female characters better than anyone else. Even in an unmarried marriage, he comforts his wife, Moonchang, who is troubled by a difficult situation, without sending his wife a complaint of father-in-law. And he heals Yanghyeongang by understanding the inside of Yanghyeongang, who suffers from paralysis and suffers from constant trauma. The point where women s sufferings are understood and empathized by men, not women, is remarkable, and the sympathetic ability of Wicheonyu is very unique.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 여성인물의 비혼(非婚)에 대한 희구(希求) - <쌍천기봉>, <보은기우록>, <임화정연>을 중심으로 -

        고은임(Ko, Eun-im)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본고는 <쌍천기봉>, <보은기우록>, <임화정연>의 여성인물에게 나타난 비혼(非婚)에 대한 바람과 그 바람의 실현 양상에 대해 살피고, 작품이 향유되었던 조선사회 비혼의 양태와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한 연구이다. 유교적 가부장제를 추수하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중심인물 서사를 통해 그러한 지점이 강조된 장르, 한글장편소설에 조선시대 부정되고 불온시된 비혼에 대한 희구(希求)가 드러나 있는데, <쌍천기봉> 중심인물인 장옥경, 소월혜에게서 비혼에 대한 바람이 강하게 간취된다. 이들은 유교적 교양을 함양한 높은 신분의 여성인물로 결과적으로는 혼인제도에 편입되지만, 진지한 태도로 강 렬하게 비혼의 삶을 희망한다. 한편 반동, 보조인물군에서 비혼을 실현한 여성이 있는데 <보은기우록>의 설소아, <임화정연>의 석가월, 조옥연이 그들이다. 이들은 혼인의 삶을 거부하고 도교에 귀의하여 독자적인 삶을 살아갔다. 그런데 조선의 현실은 소설 속 세계와는 달리 비혼을 불운하거나 불온한 것으로만 취급했다. 특히 주체적이며 적극적 태도로 비혼을 선택한 천주교 신자들은 종교적 삶을 살기 위해 순교를 각오해야 했다. 이러한 사회질서 속에서 여성들의 비혼 욕망이 소설에 투영되었던 것이고, 소설에서 그 욕망은 이해되고 공감된다. 혹은 환상적 설정이 가미되어 비혼이 당당하게 인정되기도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ishes for ‘Unmarried’ that appeared in the female characters of Ssangcheongibong, Boeungiurok, and Imhwajungyeon. In addition, this is a study that discusses the mode of unmarried in Joseon society and the meaning of it.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reveals the hopes of unmarried being denied and disregarded during the Joseon Dynasty. From the main characters of Ssangcheongibong, Jang Okgyeong and So Wolhye, the desire for unmarried was strongly captur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women who realized unmarried in the group of reactionary and auxiliary characters. They were Seol Soah in Boeungiurok, Shak Gawol in Imhwajungyeon, and Cho Okyeon. They rejected the marriage life and returned to Taoism to live their own lives. However, unlike the world in the novels, Joseon s reality treated unmarried only as unfortunate or rebellious. In particular, Catholics who chose to be single with a proactive and subjective attitude had to be prepared for martyrdom in order to live their lives. In this social atmosphere, women s desire for unmarriage was projected into the novel, and that desire was understood and sympathized in the novel. Or, a fantastic setting was added, and unmarried was admitted proud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녀관계를 중심으로 읽는 <심청전>

        고은임 ( Ko Eun-im ) 판소리학회 2020 판소리연구 Vol.50 No.-

        본고는 <심청전>에 대해 심봉사와 심청의 부녀 관계에 주목하여 논의한바, 심봉사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진 현대적 독법을 재고하고, 심청이 효를 수행한다며 죽음에 이른 과정에 대해 심청의 심적 상태에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힘든 환경에서 심봉사의 살뜰한 보살핌 속에 영유아기를 보낸 심청은 초기 안정된 애착관계를 형성하였다고 보았다. 그것이 심청의 인격형성에 영향을 끼쳤고, 심청 효의 내적 동기, 측은지심(惻隱之心)이 발현되는 데도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심청이 성장하여 사회적 관계를 맺고 더 많은 사회경제적 자원이 필요한 시기에 이르자 심봉사는 그것을 감당하기 역부족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심청이 동냥을 자처하며 자식이 부모를 돌보는 ‘역할전도’의 상황이 발생하고, 심청은 ‘부모화’된 아이가 되어갔다. 이러한 과정이 있었기에 심청이 매신(賣身)과 죽음에 이르게 된 것이었다. 그러나 심청의 서사는 심청의 환생과심봉사의 개안으로 이어지며 행복한 결말을 맞는다. 후반부의 전개는 심청에 대한 연민과 지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이러한 서술의식에 당대 독자들 역시 적극적으로 동참했다고 보인다. 심청에 대한 공감과 연민의 정서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개작되어 간 데서 그러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적극적으로 향유된 양상에서 <심청전>이 지닌 의미에 대해 음미해볼 수 있었다. 즉 <심청전>의 향유자들이 현실적 해결책이 여의치 않은 조악한 현실에서 문학적으로나마 심청을 연민하고 공감대를 형성했다면, 오늘날 <심청전>의 향유자들은, 심청 서사를 통해 조선의 삶을 추체험함과 동시에,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현실, 장애와 가난의 문제를 돌아보며 우리의 심청이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discusses SimCheong-jeon, focusing on the daughter-father relationship between Simcheong and her father Sim Bongsa. By analyzing Simcheong’s mental state, it reconsiders the modern interpretations of the criticism of Sim Bongsa, and the dying process whereby Simcheong is considered to perform filial piety. Simcheong spent her infancy under the careful care of Sim Bongsa in a difficult environment and formed a stable attachment relationship. However, as she grew up, formed social relations, and needed more socio-economic resources, Sim Bongsa could not support her. In response, the good Simcheong sympathized with her father and declared that she would start begging alone. Taking on an evangelist role, she took care of the parent and became a “parent” child. Because of this process, she was trafficked and died. However, in the narrative that follows, Simcheong is reincarnated, and Sim Bongsa recovers his sight and reunites with his daughter-a happy ending. The development in the latter half of the narrative reflects the compassion and will to support Simcheong. It seems that the readers of that time actively participated in this narrative consciousness. Today's viewers of SimCheong-jeon will be able to actively enjoy SimCheong-jeon by looking back on the realities such as the disability and poverty issues that still exist.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의 동성애적 감성 형상화 장면 : 『소현성록』, 『하진양문록』, 『명행정의록』 중심으로

        고은임 ( Ko Eun-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6 No.-

        본고는 『소현성록』, 『하진양문록』, 『명행정의록』 세 작품에 나타난 동성애적 감성의 형상화 장면에 대해 논의하였다. 『소현성록』과 『하진양문록』에는 남성들이, 남복으로 복장전환하여 남성으로 인지한 여성인물에게 사랑을 느끼는 장면이, 『명행정의록』에는 양성애적 취향의 남성이 남성에게 사랑을 느끼는 장면이 단편적으로나마 그려졌다. 모두 남성 간으로 표상된 관계에서의 사랑을 형상화 했으며, 사랑의 대상이 되는 인물은 여성적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이런 특징은 명청 소설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남성 간 동성애적 관계는 여성 간의 관계를 그린 경우와 달리 성애적 사랑이 강화된 특징이 있다. 또한 사랑을 느끼는 남성인물은 상대의 여성적 아름다움에 매료되지만, 동시에 상대가 상층 남성이 갖춰야할 소양을 습득하였기에 더욱 호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다름’과 ‘동일함’을 구유한 상대는 등장인물들에게도, 독자에게도 모두 강렬한 매력을 향유하게 한다. 이렇게 형상화된 동성애는 한글장편에서 오락성이 강화되고, 적극적이거나 깊이 있게 다뤄지지 않은 한계가 있지만, 부재의 영역이었던 소수자의 감성이 소설을 통해 그려지고 향유된 것 자체로 사랑이야기의 향유 지평이 조금이나마 넓어졌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homosexual scene in Sohyeonseongrok·Hajinyangmunrok· Myeonghaengjeonguirok. In Sohyeonseongrok·Hajinyangmunrok, a scene in which a man loves a woman in male attire is depicted. And in Myeonghaengjeonguirok, a scene in which a bi-sexual man loves a man is depicted in a piecemeal way. All have shaped the love between men, and the person who is the object of love has feminine beauty. This featur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influence of the novel in Ming-Qing Chinese Novels. And homosexuality scenes in Korean classical novels are characterized by en-hanced sexuality, as oppos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sbians. The man who feels love is fascinated by the female beauty of his opponent, but at the same time, he feels more fa-vorable because he(the woman in male attire) has mastered the cultures of the upper man. His opponent, who has both “different” and “same”, has a strong appeal both to charac-ters and readers. In Korean classical novels, homosexuality has a limit that can not be treated positively or seriously, but the fact that the emotions of the minority, who was the realm of absence, were drawn, means that the category of love in Chosun Dynasty has broadened.

      • KCI등재

        <옥원재합기연>에 나타난 수오지심(羞惡之心)

        고은임 ( Ko Eun-im )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6 No.-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 and meaning of suojisim(羞惡之心), a moral emotion represented in an 18th-century Korean novel, Okwonjaehapkiyeon. Lee Won-eui is a character who betrays and harms his best friend So Song, breaking his marriage promise to him and changing political positions based on self-interest and greed, but Lee Won-eui's daughter Hyeon-young and son Hyeon-yoon prioritize ethical values and feel suojisim― shame and abhorrence ― at their father’s injustice. Lee Hyeon-young runs away from home when her father breaks the marriage contract between her and So Se-gyeong and tries to marry her off to another family, and several times she is on the verge of losing her chastity and breach of etiquette when she attempts to take her own life. After twists and turns, she meets and marries So Se-gyeong, but she suffers from a long-standing marital conflict because she does not have her parents’ permission and her husband still sees her parents as enemies. Lee Hyeon-young’s repeated suicide attempts and sever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re heavily influenced by suojisim. Her suicide attempt becomes an inevitable decision when it seems impossible to lead a humane life adhering to the values of righteousness while her psychological pain after marriage results from the guilt for marrying without informing her parents, shame for what his father had done to her husband’s family, that is the feelings of shame and self-hatred at not being able to live up to the ethical values she pursues. Although she is a character of a strong ethical consciousness who would die to protect her chastity, but after her marriage, she finds herself helpless to do anything to avoid injustice. Meanwhile, Lee Hyeon-yoon returns home after spending a decade away from home and learns more about his father’s past when a reformed Lee Won-eui confesses his wrongdoings while recovering from an illness. But unlike his sister, he is not overwhelmed with shame or psychological suffering due to his father’s wrongdoings. Although he is ashamed of his father’s injustice, he tries to justify his father’s evil deeds through various arguments and actively helps his reformed father to become cultured as a nobleman and restore the family’s honor. He has the opportunity to mitigate his father’s injustice with his own intellectual and moral abilities and shows a highly commendable attitude. To sum up, the suojisim, they felt at their father’s wrongdoings, worked differently for Hyeon-young and Hyeon-yoon: although Hyeon-young is highly self-conscious as a moral subject, more than anyone else, the moral emotion, suojisim, ends up hurting her mental and physical health. Rather than the perso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haracter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ocial order of the time when women were not fully recognized as subjects capable of moral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