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전남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김대희(Daehee Kim),안삼영(Samyoung Ahn),이기환(Keyhwan Lee),신효연(Hyoyeon Shin),강흥순(Heungsoon Ka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4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에 의거 제 2기 전라남도 환경교육발전계획이 수립, 추진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남의 학교 및 사회 환경교육의 실태 분석, 기관 조사, 제1기 환경교육 발전계획 추진 실적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남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교육 활성화 안을 구상하였다. 활성화 안에 대한 타당성과 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남지역의 환경교육 전문가 12명으로부터 7월부터 11월 초순까지 3회의 자문을 받아 보완하였으며, 이를 환경교육 단체 및 시민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말에 공청회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계획, 진척 내용 등에 대하여 도청 및 도 환경교육센터의 관계자 회의를 거쳐 전라남도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교육활성화 비전, 발전 방안, 시책들을 수립하게 되었다. 전라남도의 환경교육 활성화 비전은 ‘지역과 함께하는 환경교육 특성화, 활성화’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4개와 시책 5개, 사회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5개와 시책 6개, 환경교육 활성화 기반구축 방안 5개와 시책 5개를 설정하였다. Based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Act enacted in 2008, the Second Policy Plan for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Jeollanam province is to be developed in 2018.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in the society at large, conducted surveys on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assessed the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y Plan (in place since 2013). These formed the basis for the strategies we recommend to vitaliz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Jeollanam province. In order to ensure the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se plans, three rounds of consultations with 12 experts and a public hearing were carried out. A meeting with responsible public officials and leadership in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s were also convened to develop the vision, strategies and future plans. The resultant vision is “locally specialized and vitaliz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opose 5 programs to promot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6 programs to promot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the broader public, and 5 programs to establish the basis for invigo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