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대성 이론에 대한 슐리크와 카시러의 철학적 분석 비교 연구

        강형구 ( Hyeong-gu Kang ) 한국과학철학회 2021 과학철학 Vol.24 No.2

        아인슈타인의 특수 및 일반 상대성 이론은 혁신적인 물리학 이론이었으며 그 출현과 더불어 중요한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했다. 따라서 당대의 철학자들은 상대성 이론의 경험적 성공과 별도로 이 이론이 제기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에 대해 해명할 필요를 느꼈다. 나는 본 논문에서 상대성 이론의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해명을 제시한 대표적인 두 명의 철학자 슐리크와 카시러의 철학적 분석을 검토한 후, 이들의 분석이 갖는 주요 특징들을 비교 분석한다. 논문의 서론에서 나는 상대성 이론이 제기한 철학적 문제들이 물리학자와 철학자 모두에게 중요했음을 강조한다. 논문의 2장에서 나는 슐리크의 상대성 이론 분석을 검토한 후, 슐리크의 분석은 아인슈타인의 물리학 이론에 대한 철학적 해설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이론의 내용에 충실하고 아인슈타인 자신의 견해와도 부합하는 것이었음을 보인다. 논문의 3장에서 나는 카시러의 상대성 이론 분석을 검토한 후, 카시러는 이 이론이 자신의 신칸트주의적 인식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데 주력했음을 보인다. 논문의 4장에서 나는 카시러의 저서에 대한 슐리크의 비판적 논평을 중심으로 상대성 이론을 분석하는 슐리크와 카시러의 입장 사이의 차이에 관해 논한다. 나는 두 사람 사이의 철학적 입장차이가 물리학 이론에 대한 철학적 분석 방법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주장한다. 슐리크의 경우 문제가 되는 물리학 이론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한 후이에 대한 철학적 해명을 제시하는 것에 주력했다면, 카시러는 자신의 신칸트주의적 관점을 전제한 후 물리학 이론을 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에 주력했다. 나는 슐리크의 철학적 분석이 갖는 타당성을 카시러의 분석과 대비하여 편들어 옹호한다. 카시러에 대한 비판적 논평 이후 슐리크는 신칸트주의와 차별화되는 논리경험주의 철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 시작했다.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본문의 내용을 요약한 후, 슐리크의 상대성 이론 분석 이후 상대성 이론에 대한 추가적인 경험주의적 분석이 필요했음을 지적한다. Einstein's special and general relativity theory was an innovative physical theory, and it raised important philosophical problems with its emergence. So philosophers of the time had to explicate philosophical problems raised by the theory apart from its empirical successes. The most representative two philosophers of the time who discussed on the relativity theory were Moritz Schlick and Ernst Cassirer.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ose two philosophers'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relativity theory and do the comparative study on their analyses’ major features. In the paper's introduction, I emphasize that the relativity theory's philosophical problems were important for both philosophers and physicists. In Chapter 2, I argue that Schlick's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relativity theory was a detailed philosophical presentation of the theory and his philosophical conclusion was harmonious with Einstein’s own opinion. In Chapter 3, I argue that Cassirer's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relativity theory was for his own philosophical view point, so he regarded the relativity theory as a confirming example for his view. In Chapter 4, I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chlick’s and Cassirer’s standpoint based on Schlick’s review on Cassirer’s publication. I argue that their philosophical difference was due to their methodological difference in analyzing a physical theory. Then I support Schlick’s methodology rather than Cassierer’s. Finally, I summarize my arguments and point out the necessity of further analysis on the relativity theory after Schlick based on the empiricist viewpoint.

      • KCI등재

        상대성 이론과 철학 사이의 관계 설정을 위한 두 시도 : 라이헨바흐와 카르납의 초기 물리 철학(1920-1926) 비교 연구

        강형구(Kang, Hyeong-gu)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2 No.-

        슐리크가 상대성 이론을 신칸트주의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카시러의 시도에 반대하는 논평(1921년)을 낸 이후, 상대성 이론을 신칸트주의적 관념론과 구분되면서도 마흐의 현상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경험주의에 입각해 철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나는 논리경험주의를 대표하는 두 학자 라이헨바흐와 카르납이 1920년대 전반기에 상대성 이론을 분석하며 보인 철학적 행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 2장에서 나는 라이헨바흐가 상대성 이론을 적극적으로 편들어 옹호하는 동시에 이론의 경험적 타당성에 대한 별도의 철학적 정당화를 제시하고자 했음을 보인다. 논문 3장에서 나는 카르납의 경우 상대성 이론만을 편들기보다는 물리학을 바라보는 다른 관점들도 함께 메타적으로 성찰하며 이러한 다양한 관점들 사이의 논쟁을 철학적으로 중재하고자 했음을 보인다. 논문 4장에서 나는 라이헨바흐와 카르납의 입장을 비교하며, 두 사람이 추구했던 새로운 과학적 철학의 지향점이 상이했음을 보인다. 라이헨바흐는 새롭게 등장한 성공적인 물리학 이론을 인식론적으로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이 이론의 인식적 의미를 명료화하는 데서 철학의 새로운 기능을 찾았다면, 카르납은 새로운 이론의 구성적/규약적 측면을 드러내어 이 이론이 실제로는 여러 대안들 중 하나이며 각각의 대안을 선택할 때의 장점이 무엇인지를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데서 철학의 새로운 기능을 찾았다. 나는 카르납에 대비하여 라이헨바흐의 철학적 입장을 편들어 옹호한다. 상대성 이론과 같이 첨예한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하는 물리학 이론의 경우, 철학적 분석을 통해 이 이론의 인식적 측면을 명료화함으로써 이 문제들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제시하는 것이 철학의 중요한 역할이기 때문이다.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본문의 논의를 요약하고, 향후 다루어야 할 논의 주제를 제시한다. After Schlick’s critical review of Cassirer’s interpretation of relativity theory (1921), whether it is possible to interpret relativity theory from an empirical stance which differentiates itself from neo-Kantian idealism and Mach’s phenomenalism has become an important philosophical problem. With this background, I compare Reichenbach’s and Carnap’s philosophical works on relativity theory in the early 1920s. In chapter 2, I show that Reichenbach actively defended relativity theory and simultaneously he tried to suggest distinctiv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relativity theory. In chapter 3, I show that Carnap tried to moderate controversies between various physical theories from a meta-theoretic perspective instead of defending relativity theory. In chapter 4, I compare Reichenbach’s and Carnap’s viewpoints to show that their concepts of a ‘new scientific philosophy’ differ from each other. Reichenbach thought that philosophy’s new task was to analyze and reconstruct the new successful physical theory to explicate the theory’s epistemological foundation. On the contrary, Carnap tried to show the constitutive and conventional aspects of the new theory to explicate what merits we take when we choose the new theory instead of alternative theories. I then defend Reichenbach’s viewpoint in relation to Carnap’s viewpoint because when we confront fundamental and innovative physical theory such as relativity theory which raises serious philosophical problems, it is philosophy’s important role to suggest clear answers to its problems through the philosophical analysis and explication of this theory. In conclusion, I summarize my arguments and suggest further thesis for discuss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포항지진사례 분석을 통한 지진재난 대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강형구(Hyeong Gu Kang),박기종(Ki-Jong Park),김혜원(HyeW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은 대규모 지진피해로 인한 장기적인 수습 · 복구라는 과제를 우리에게 남겨주었다. 기존의 지진대응매뉴얼은 재난업무의 흐름과 장기간 계속되는 지진재난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포항지진과 같이 대규모 지진피해로 인한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지진재난대응업무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졌었는지를 파악하고 기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지진재난특성을 고려하여 2017년 포항지진 당시 포항시청 각 부서에서 실시하였던 지진재난 관리에 대하여 협업기능별 업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진재난 시 업무와 인력이 가장 많이 필요한 기능은 긴급생활 안정지원, 시설응급 복구, 에너지 기능복구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별 재난대응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사전에 피해 예방 및 대비가 각 기능별로 부족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포항지진 사례를 바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진재난 대응 단계를 세분화하고, 각 13개 협업기능에 대한 문제점 분석을 통해 전체적인 지진재난대응업무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규모 지진 발생 시 지진재난대응 업무를 수행하는 재난관리자에게 혼란한 재난상황속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2017 Pohang earthquake left us with issues related to long-term repair and restoration from massive earthquake damage. The existing Earthquake response manual was insufficient to consider the flow of earthquake disaster 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ng-lasting earthquake disaster.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analyze and record how to earthquake response work was carried out during the Pohang earthquake. The functions that require the most work and manpower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disaster were emergency life stabilization support, facility emergency recovery, and energy functional restor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disaster response by func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vention and preparation for damage in advance was insufficient for each function. In conclusion, we subdivided the response step applied with the concept of time and presented the overall work flow process for thirteen collaboration func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help disaster managers to work effectively in the event of a large scale earthquake.

      • KCI등재

        경험주의, 규약주의, 물리적 기하학의 경험적 결정 가능성: ‘라이헨바흐-아인슈타인 논쟁’ 다시 생각하기

        강형구 ( Hyeong-gu Kang ) 한국과학철학회 2022 과학철학 Vol.25 No.3

        Albert Einstein: Philosopher-Scientist (1951) contains Logical Empiricist Philosopher Hans Reichenbach's paper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Einstein's short response to it. In this book, Reichenbach and Einstein argued on the subject of the ‘empirical determinability of physical geometry’, and later Reichenbach reiterated his point of view on Einstein's answer in his The Rise of Scientific Philosophy (1951). Recently Philosopher Marco Giovanelli diagnosed this debate as a “dialogue of the deaf” between Reichenbach, who belongs to the “Helmholtzian tradition,” and Einstein, who belongs to the “Riemannian tradition,” under different mathematical traditions. After reviewing Giovanelli's interpretation, I try to presen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the ‘Reichenbach-Einstein debate’ in this paper. Reichenbach and Einstein represent two differe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within a single tradition of ‘physicalization’ of the abstract concepts of time and space. Reichenbach took the ‘empiricist’ viewpoint following Helmholtz, Einstein took the 'conventionalist' viewpoint following Poincaré, and the conversation between Reichenbach and Einstein was a ‘true philosophical dialogue’, not a ‘dialogue of the deaf’. My alternative interpretation equates Reichenbach's ‘empirical’ view with Einstein's ‘conventionalist’ view and, unlike Giovanelli’s, treats the Reichenbach-Einstein debate as a ‘true philosophical dialogue’ rather than a ‘dialogue of the deaf.’

      • 지진에 의한 사유시설 피해판정 지원을 위한 사례집 작성 연구

        강형구 ( Kang Hyeong Gu ),김혜원 ( Kim Hyewon ),박기종 ( Park Kijo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4 No.1

        우리나라는 두 차례의 지진 발생으로 대규모 건축물 피해를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지진피해를 입은 사유시설 소유주에게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한 ‘자연재난 피해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지진재난 대응에 대한 지자체의 경험 부족, 피해조사 업무 과다에 따른 인력 부족, 풍수해에 맞춰진 제한된 조사 기간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의한 사유시설 피해판정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례집을 작성하였다. 본 사례집은 국내에서 발생한 실제 피해사례를 사진으로 쉽게 설명하고 있어, 향후 지진재난 대응과 사전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