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1a

        강태한 ( Te Han Kang ),김달호 ( Dal Ho Kim ),조해진 ( Hae Jin Cho ),신용운 ( Young Un Shin ),이한수 ( Han Soo Lee ),서재화 ( Jae Hwa Suh ),황종경 ( Jong Kyung Hw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 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 ㎢(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 측정법(KDE)으로는 60.0㎢(KDE 90%), 23.0㎢(KDE 70%) and 11.6㎢(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 최소이동거리는 9.4㎞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에서 최대 19.7㎞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Mallard (Anas platyrhynchos) is the abundant winter visitor in South Korea. Mallard migrates long distances between Russian Siberia and Korea. This species prefers a rice paddy area as their winter habitat. We captured birds using cannon-net, and attached the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WT-200) on Seven Mallards in the winter of 2011~2013. We were monitored wintering home-range and movement distance. We analyzed the tracking location data using ArcGIS 9.0 and calculated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and Minimum Convex Polygon (MCP). The average home-range in the wintering ground by MCP was 118.8 ㎢(SD=70.1, n=7)and the maximum home-rang was 221.8 ㎢and the minimum was 27.7 ㎢. Extents of home-range by KDE were 60.0 ㎢(KDE 90%), 23.0 ㎢(KDE 70%) and 11.6 ㎢(KDE 50%). Mallard moved an average of 19.4 ㎞from start site(attach to WT-200 site), maximum moved was 33.2 ㎞and minimum moved was 9.4 ㎞. The average distance of 0.8 ㎞between GPS fixed point(range 0.2~1.6 ㎞), maximum moved was 19.7 ㎞. Mallard moved a very short distance in wintering season and showed a very high water-dependent trends in wintering site.

      • KCI등재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한 정맥의 서식지 환경에 따른 조류 군집 특성 파악 - 금남호남 및 호남정맥, 한남금북 및 금북정맥,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

        황종경 ( Jong-kyeong Hwang ),강태한 ( Te-han Kang ),한승우 ( Seung-woo Han ),조해진 ( Hae-jin Cho ),남형규 ( Hyung-kyu Nam ),김수진 ( Su-jin Kim ),이준우 ( Joon-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정맥의 서식지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8개의 중점조사지역에서 지형, 서식지 환경을 고려하여 각 지점별로 개발지, 계곡부, 임도 및 능선 3가지 서식지유형으로 총 54개의 고정조사구를 선정하였다. 조사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겨울철을 제외한 계절별(5월,8월, 10월)로 수행하였다. 서식지 유형별로 관찰된 조류를 자기조직화지도(SOM)를 활용하여 분포 패턴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MRPP, A=0.12, p <0.005). 자기조직화지도 그룹별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지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지수 모두 Ⅲ번 그룹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Kruskal-Wallis, 종수: x<sup>2</sup> = 13.436, P <0.005; 개체수: x<sup>2</sup> = 8.229, P<0.05; 종다양도: x<sup>2</sup> = 17.115, P <0.005). 또한 그룹별 지표종 분석과, 서식지 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지피복도를 랜덤 포레스트 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 그룹간의 서식지환경이 구성하는 비율과 지표종에 차이를 보였다. 지표종 분석은 Ⅱ번 그룹을 제외한 3그룹에서 총 18종의 조류가 지표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하여 4개 그룹으로 분류된 결과를 기초로 랜덤 포레스트 모델과 지표종 분석을 적용하였을 때 그룹별 지표종 구성과 그룹별 서식지 특성과 상호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그룹별 우점하는 서식환경에 따라 관찰된 종의 분포패턴과 밀도가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다. 자기조직화지도와 지표종분석,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함께 적용한 분석은 서식지 환경에 따라 조류 서식 특징파악에 유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abita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Jeongmaek. A total of 18 priority research areas wer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to terrain and habitat environment, and 54 fixed plots were selected for three types of habits: development, valley, and forest road and ridg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each season (May, August, and October), excluding the winter season, from 2016 to 2018.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birds observed in each habitat type using a self-organizing map (SOM) classified them into a total of four groups (MRPP, A=0.12, and p <0.005).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umber of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for each SOM group showed that they were all the highest in group III (Kruskal-Wallis, the number species: x<sup>2</sup> = 13.436, P <0.005; the number of individuals: x<sup>2</sup> = 8.229, P <0.05; the species diversity index: x<sup>2</sup> = 17.115, P <0.005). Moreover,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land cover map to the random forest model to examine the index species of each group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environment showed a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habitat environment and the indicator species among the four groups. The index species analysis identified a total of 18 bird species as the indicator species in three groups except for group II. When applying the random forest model and indicator species analysis to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into four groups using the SOM, the composition of the indicator species by the group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Moreover,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densities of observed speci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ominant habitat for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at applied the SOM, indicator species, and random forest model together can derive useful result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bird habitats according to the habitat environment.

      •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올빼미의 세력권 추적 연구 - 첫 사례연구 보고 -

        김우열 ( Woo-yuel Kim ),최원석 ( Won-suk Choi ),강태한 ( Te-han Kang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올빼미(Tawny Owl, Strix aluco)는 전 세계적으로 유라시아대륙, 소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북부, 히말라야에서 중국 동부와 남부, 한국, 대만 등에 널리 분포하며, 지리적으로 11아종으로 구분된다(김선숙 등 2012). 한국에 서식하는 올빼미는 S. a. ma 에 해당하며 중국 북동부와 한국에 분포한다(del Hoyo et al. 1999). 세력권이란 개체 또는 집단이 다른 개체 또는 집단으로부터 먹이자원, 번식 등을 위해 방어하여 점유하는 지역을 말한다(Gill 1995; 강연희 2008). 올빼미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지만 흔하지 않은 텃새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II급 및 천연기념물 제324-1호로 지정된 보호종이다(이우신 등 2014; 박진영 2002). 올빼미는 주로 숲이 발달한 곳에 서식하지만, 유럽에서는 도시환경에도 비교적 잘 적응한 종으로 숲이 조성된 공원, 농장에서도 자주발견된다(del Hoyo et al. 1999; Konig and Weick 2008). 한국에서 올빼미의 기록은 대부분 직접적인 관찰보다는 울음소리로 확인된 경우가 많으며, 산림이 발달한 지역, 특히강원도에서 기록이 가장 많다(김창회 등 2010). 올빼미는 야행성(nocturnal)으로 낮에는 주로 산림에서 휴식을 취하고 야간에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에, 관찰 및 기본적인 번식생태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이탈리아에 서식하는 올빼미의 경우 작은 공원이나 도시 근교의 지역에서는 3.0/km²정도의 행동권을 형성하고, 개방된 장소나 숲이 우거진 곳에서는 5.0/km² 정도의 행동권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anazzi et al. 2000). 그러나 국내에서 수행된 올빼미에 관한 기초적인 번식생태와 행동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지금까지 휴식처로의 동굴 이용(김선숙 등 2012), 유전자에 의한 올빼미과의 분자계통(류시현 등 2003) 등이 수행되어왔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세력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종인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진행했다. 경북일대에서 현지조사와 청문조사를 병행하여 관찰된 올빼미개체를 추적 조사하여 번식하는 둥지를 확인하고 번식하는 올빼미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둥지를 비운틈에 둥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후 둥지 특성을 고려하여 포충방 등을 이용하여 번식하는 암컷 올빼미를 포획하였다. 포획된 개체의 각 부위별 측정조사를 버니어캘리퍼스와 날깨와 꼬리 측정자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위치추적기(WT-300: 한국환경생태연구소가 개발한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를 올빼미 등에 Backpack 형태로 부착 하였고 행동제약에 관한 최소무게를 고려한 대상개체의 5% 이하(Kenward, 1985)를 초과하지 않았다. 부착된 추적기로 인한 비행 능력 등 행동에 이상이 없음을 현장 추적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올빼미 번식기간 세력권 연구에서 국내 1kg 이하의 중형 야행성 맹금류이며 번식 중인 올빼미를 추적하는데 국내최초로 성공했다. 암컷올빼미는 번식기 동안 둥지 중심으로 4,395㎡의 지역을 이용했으며, 이 지역의 고도는 370~380m였다. 올빼미가 둥지중심으로 이용한 세력권 내부으, 토지유형은 대부분 경지정리가 안된 밭과 혼효림, 단독주거시설, 시설재배지, 초지, 나지가 혼합 산재된 지역이였으며 세력권 주변지역은 대부분 침엽수림과 혼효림, 과수원, 자연초지, 활엽수림, 묘지, 호소의 유형이 있는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암컷이 주로 둥지 주변에서 새끼를 돌보고 수컷이 먹이를 공급하는 행동을 보였으며, 암컷은 번식시기인 육추기간 동안 둥지 주변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세력권을 형성했다. 향후 번식기 암컷에 비해 행동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을 것으로 판단되는 수컷의 행동을 조사하는 등 올빼미의 서식지 분포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