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생아 분변에서 분리한 Pediococcus acidilactici GMB7330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강지희,이명숙,Kang Ji-Hee,Lee Myung-Suk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2

        신생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Pediococcus acidilacti GMB7330은 내산성(pH 2-3) 및 내담즙성$(1.0\%)$을 가지며 Helicobacter pylori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P. acidilactici GMB7330의 H. pylori에 대한 저해 특성을 H. Pylori의 균수와 urease 활성 변화, 그리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세포구조 파괴를 관찰하므로써 조사하였다. P. acidilactici GMB 7330의 배양여액(pH 4.5)은 배양 24시간만에 H. pylori의 중식을 약 4 log 감소시켰다. 이때 P. acidilactici GMB7330의 배양여액의 pH를 중성으로 조절하였을 경우에는 pH 4.5의 경우보다 항균력이 다소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완전히 소실되지는 않았다. 뿐만 아니라, P. acidilactici GMB7330과 유사한 농도의 젖산을 생성하는 유산균주 Lactobacillus sp. GM7311의 경우 H. pylori에 대해서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P. acidilactici GMB7330의 항균 활성에는 배양 중 생성된 젖산 이외의 물질이 관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P. acidilactici GMB7330은 pH값에 관계없이 H. pylori의 urease 활성을 $50\%$이상 감소시켰으며, P. acidilactici GMB7330의 배양여액을 처리한 H. pylori 균주는 세포벽 구조의 파괴로 인한 세포 내부물질의 유출이 관찰되었다. In the present study, lactic acid bacterium that h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was isolated from feces of newborn baby. The selection was based on the ability to inhibit the growth of H. pylori and to withstand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cidic pH and high bile concentration. By biochemical test and 16S rDNA sequencing, selected strain was turned out to be an Pediococcus acidilactici, therefore designated to P. acidilactici GMB7330.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P. acidilactici GMB7330 on the growth of H. pylori, we have tested in vitro studies such as cell viability and urease test. These results showed that antibacterial activity of P. acidilactici GMB7330 significantly decreased the viable cell count and urease activity of H. pylori. Antibacterial activity of P. acidilactici GMB7330 against H. pylori remained after pH adjustment to neutral, and the concentration of lactate produced from P. acidilactici GMB7330 was not enough to inhibit H. pylori.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t demonstrated that addition of P. acidilactici GMB7330 destroyed the cell structure of H. pylori.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P. acidilactici GMB7330 produce antibacterial substances to be able to inhibit the growth of H. pylori other than lactic acid.

      • KCI등재후보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삼재론적 공간특성 연구

        강지희 ( Ji Hee Ka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4 No.-

        본 연구는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공간 분석을 통해 한민족 문화의 사상적 근간을 이루는 삼재론적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공간 특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두 가지의 연구문제--첫째 ‘칠머리당굿 춤에서 무당의 개인공간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칠머리당굿 춤의 개인공간을 통해 나타나는 삼재론적 공간 특성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주도 칠머리당굿, 삼재론, 공간이론을 바탕으로 현지 조사에서 비디오로 촬영한 칠머리당굿 춤의 신청궤(용왕과 영등신을 노래와 춤으로 청해 모시는 부분) 과정을 모티프 라이팅분석, 안무측정표 분석, 심층면담 분석을 통해 무당의 개인공간에 나타나는 공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무당의 개인공간은 2차원의 시상면(Sagittal Plane)과 수직면(VerticalPlane)의 공간특성을 보였고, 횡단적 경로(Transverse Pathway)와 종단적 경로(Peripheral Pathway)를 사용하면서 중심적 긴장(Central Tension)이 보이는 공간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접신 상태에서의 도무(跳舞)와 회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하 수직적인 움직임과 신체축을 유지하면서 좌·우 방향을 번갈아 회전하는 공간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신이 하강하여 무당의 몸으로 입신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공간특성은 음양 2수체계의 우주적 공간, 천·지·인 3수체계의 수직 공간, 삼재론적인 천·지·인 합일사상의 제의적 공간, 그리고 4차원의 심리공간을 보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굿의 공간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들이 차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굿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각 지역을 통한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굿에 대한 무용학적 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과 방법을 더욱 세분화하고 다양하게 적용해야 하며, 셋째, 굿의 자연성,즉흥성, 현장성 등을 포함한 특징들은 실제로 창작무대공연예술에 있어서도 다양한 시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므로 꾸준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meoridang Gut, a kind of Korean exorcism, of Jeju Island in terms of Samjae theory, or the theory of heaven, earth, and man by analyzing space.For this, the study analyzed video recordings, Motif Writings, Choreometric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are based on theories such as Samjae theory, Jeju Chilmeoridang Gut, the theory of space, and the theory of space analysis. The result is that personal space of a shaman used both two-dimensional Sagittal Plane and Vertical Plane for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movements. There was full of combining movements of three dimensions. The movements were overall ambiguous, but an accurate direction is distinctive at the moment of the ritual. Central Tension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exorcism while both Traverse Pathway and Peripheral Pathway are used. In addition, Domu, a rampaging dance, being possessed by the spirit, is vertical movement, which signifies that the spirit is descending inside of the shaman. Hoemu is a dance spinning on the spot, and it must take the right and left turns one after the other more than three times.It is concluded that the space for Jeju Chilmeoridang Gut is represented a universal space of the 2 system of yin and yang, a vertical space of heaven, earth,man 3 system and Four-Dimensional psychological space. As a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for Jeju Chilmeoridang Gut was identified, which is based on the ideology of heaven, earth and man.

      • KCI등재

        1960년대 남성성의 유혹과 속물적 주체의 탄생

        강지희(Kang, Ji Hee)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손창섭이 1960년대 발표한 많은 장편들은 결혼한 부부에 집중해 남녀관계를 탐구해 들어가지만, 정상적인 가정을 이루는 것과 무관한 일탈적인 성관계와 비윤리적인 인간상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 부분 통속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는 지점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이면에는 당시의 정치사회적 맥락에 대한 민감한 고찰이 담겨있고, 1960년대 전반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형성된 것은 바로 4.19 혁명이 실패로 돌아간 5.16 이후처럼 보인다. 그런 점에서 1961년 4월부터 10월까지 연재된 『내 이름은 여자』(『여자의 전부』)를 다시 보는 것은 손창섭이라는 작가의 분기점을 탐구하는 일이기도 하다. 『여자의 전부』의 초반부에 혈연이라는 금기의 사랑을 둘러싼 자매 사이의 갈등과, 후반부에 사업 규모의 차이가 상당한 두 남자 사이의 선택에 대한 갈등은 대중소설로서의 서사적 긴장감을 팽팽하게 유지해나간다. 구동천과 황사장은 각각 시골과 도시로, 농업과 공업 및 서비스업으로, 대비되는 공간과 사업을 대변한다. 그 사이에서 최미라는 자신이 구동천 곁에서 프로테스탄트 윤리를 지닌 채 생활할 때보다, 황사장 곁에서 낭만주의 윤리를 드러낼 때 가부장제에 의해 더 쉽게 승인받으며 중간계급 가정 아래로 귀속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다. 결국 최미라는 첩이라는 존재로라도 황사장의 강인한 남성성의 세계에 편입되어 물질적인 안락을 누리길 택한다. 동정심, 친절함 같은 감정에서 비롯되는 낭만주의 윤리가 놓일 자리의 발견은 아이러니하게도 물질주의와 결탁하며 속물적 주체가 탄생하는 순간을 보여준다. 주인공은 자신의 욕망대로 주체적인 선택을 내렸음에도 끝내 불편한 죄책감을 안고 길항하며, ‘욕망의 변증법’을 드러낸다. 그러나 여주인공이 첩이 되는 도덕적인 타락을 감수하면서도 부유함을 선택하는 이 소설의 결말이 1960년대 대중들이 중산층의 미래를 꿈꾸며 경제 개발을 선택하던 욕망 구조와 정확히 겹쳐진다는 점이 중요하다. 강력한 군부 아버지로 표상되는 황사장에 대한 주인공의 선택은 1960년대에 들어오면서 남성성의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5.16으로 상징되는 산업화 세력 앞에 농본주의적 · 청교도주의적인 세력들은 불가피하게 패배하고 몰락해갈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손창섭의 『여자의 전부』는 시대의 초입에서 세속적이고 물질적인 욕망과 도덕적이고 정신적인 것의 상실을 드러냄으로써 개발체제의 균열적 풍경을 완성시켰다. A lot of full-length novels published by Son, Chang-seop in 1960s were focusing on married couples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They were, however, focusing on deviant sexualities and unethical human character without being related to making normal families. From this, some parts have points to be seen conventional. On the other hand, they included sensitive reflection about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that time and the author’s this point of view of overall 1960s was formed after 5.16 which regarded as failure of 4.19 Revolution. With this reason, My Name is Woman(Woman’s All) published in a series from April to October in 1961 will be reviewed and this is a study of intersection of Son, Chang-seop as an author. In the first half part of Woman’s All, there were a conflict of sisters about illicit love as siblings and the later half part’s conflict of choosing one man from two men with huge difference of their business size. These two conflicts maintained narrative tension tight as a popular novel. Gu, Dongcheon and Mr. Hwang represented rural and urban area, agricultural, industrial and service business respectively for contrasting space and their business. Between them, Choi, Mira found the possibility of belonging into middle class family by easier approval in patriarchal system when she revealed Romantic ethics nearby Mr. Hwang than when she lived nearby Gu, Dongcheon with Protestant ethics. Finally Choi, Mira chose to enjoy material comforts with transferring into the world of powerful masculinity of Mr. Hwang even as a concubine. It was ironical that the foundation of the space for Romantic ethics from the emotions such as sympathy and kindness showed the moment of birth of persnickety subject colluding with materialism. Even though the main character made her choice subjectively as her desire, she had guilty and uncomfortable feelings and contend with revealing ‘the dialectic of desire.’ It is important that there is the exact coincidence with desire structure as the public in 1960s dreaming their future to be a middle class and choosing economic development and this novel’s ending as heroin enduring to be a concubine but choosing richness. The main character’s choice of Mr. Hwang representing powerful military paternity showed recovery of masculinity with beginning 1960s. Physiocracy·Puritanism power failed and collapsed unavoidably against industrialization power symbolized by 5.16. Hence Son, Chang-seop’s Woman’s All completed a cracked view of development system with revealing secular and material desire and moral and spiritual loss at the beginning of an era.

      • KCI등재

        조선시대 회화 속 은일사상이 반영된 꽃 그림 연구

        강지희(Kang Ji Hee),차임선(Cha Im Sun)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연구 목적은 은일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회화를 연구하여 꽃을 소재로 한 아트워크를 제작하는데 있다. 연구내용 및 방법으로는 조선시대 회화에 표현된 은일사상과 그 시대적 배경을 문헌, 선행연구 및 인터넷 자료를 참고하여 연구하고, 은일사상이 반영된 꽃 그림을 동양화기법으로 제작하였다. 은일사상은 자연의 이치에 순응함으로써 인간의 걱정 근심을 해소할 수 있다는 노장사상에서 비롯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 중, 후기에 정치, 사회가 혼탁하였을 때 선비들에 의해 추구되었다. 이들은 충절을 지키는 것을 의롭게 생각하였고, 자연의 섭리 속에서 심신을 수련하면서 후일의 정사를 도모하였다. 이들의 이러한 심경은 당시의 산수·화훼화에 그대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자는 현대사회의 혼탁함과 과다한 경쟁 및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각자가 자연이치의 깨달음을 통해 마음의 평화를 찾으며, 깨끗하고 정직한 사회의 실현을 현대 속의 은일사상으로 해석하고, 이를 작업 컨셉으로 정하였다. 테마는 “꽃을 통한 자연”이며, 한국전통의 미적 감성과 상징성이 담긴 모란, 목련, 나비를 모티프로 한 5점의 아트워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한국 전통 모티프와 한국화 기법을 사용하여 한국 정신과 고유미가 담긴 아트워크를 제작하였다. 둘째, 전통한지 위에 백색 안료를 사용하여 자연미가 담긴 자연친화적인 꽃 그림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여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도록 의도한, 현대사회에 필요한 은일적인 사상을 꽃 그림에 반영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floral paintings that express Eun-il philosophy contained in the Korean paintings of Joseon period. I researched on Eun-il philosophy that was expressed through the landscape and floral paintings of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based on the various literatures and web sites. Then, I developed 5 floral art works in Korean painting style that reflected Eun-il thought. Eun-il philosophy is basically based on Taoism. In Taoism, one must be united with nature to be relieved of all the anxiety and tension gotten from the world affairs. And this was pursued by the Joseon scholars when the rivalry between factions reached its peak in the middle of Joseon period. While being loyal to the country and the king, they strived hard to keep their mind and body fit and be in harmony with the natural law for the future endeavors. And they imbued their ideas of Eun-il thought in their paintings of landscape and flowers.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I have developed 5 floral paintings reflecting the contemporary Eun-il thought. It was to honor the clean and honest society, and be in harmony with nature to relieve of all the stresses from the competitive and unstable contemporary society. I have chosen peony, magnolia and butterfly as motifs for the theme of “the Nature seen through Flowers”, since they contain the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and symbols. As for color and technique, I painted with white pigment using layering technique on the natural Korean rice paper to impart the natural beauty through my work. As result, I was able to create eco-friendly art works that have the Korean aesthetics and at the same time to offer the spiritual and physical comfort and calmness, and to be charged with renewed energy and wisdom for tomorrow. And, I was able to create floral paintings imbued with the contemporary Eun-il thought as I had intended.

      • KCI등재

        조선시대 官僚文人의 詩에 나타난 吏隱觀의 實際

        강지희(Kang Ji hee)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2 No.-

        吏隱'은 관직에 있으면서 그것을 隱逸의 수단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 관료문인들에게 산수자연은 인간의 궁극적인 귀의처 또는 잠깐의 휴식을 위한 공간,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格物의 과정을 통해 性情之情을 발견하는 정신수양의 공간이었다. 이것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벼슬을 버리고 온전히 전원으로 돌아가야만 하지만, 현실세계에서 유가적 이상을 실현시키는 것이 공부의 목표인 儒者들로서는 쉽게 결단을 내릴 수 없는 문제였다. 이들은 관직에 머물면서 아울러 '은'을 실천하고자 하는 모순된 삶을 지향했다고 생각된다. 이들에게는 분명 벼슬을 그만두고 귀전원하고자 하는 열망이 있었던 바, 관직에 있으면서도 자연에 은거하는 방법, 그것을 '이은'이라고 칭했던 것이다. 관료로서 은거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이은'이었던 셈이다. 그들이 '이은'이라는 용어를 썼을 경우 그 유형은 몇 가지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첫째는 지방관으로 떠나는 지인이나 벗에게 주는 시에서 '이은' 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인데, 여기에는 상대방에 대한 위로와 격려의 의도가 저변에 깔려 있다. 둘째는 자신의 처지와 심사를 술회하는 시에 '이은'의 용어를 쓰는 경우인데, 이때 작자의 신분은 조정의 관리일 수도 있고 지방관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엔 중앙 정부에 소속되어 있어도 한가롭게 자연을 벗할 시간을 누릴 수 있다면 이를 이은이라고 칭했다. 후자의 경우엔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기보다는 낮은 관직에서도 자족하고자 하는 태도가 엿보인다. 또한 이은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각이 존재하는데, 첫째는 불평한 마음으로 이은을 인식하는 것이고, 둘째는 긍정과 자족의 마음으로 이은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은을 '眞隱'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몸은 한가롭되 마음은 수고로운 부조화에서 기인한다. 낮은 관직에 머물면서 은자를 가장한 삶은 자기기만임을 고백하고, 내면의 갈등과 고뇌가 그치지 않는 자신의 모습을 토로하는 경우가 그렇다. 긍정과 자족의 마음으로 이은을 바라보는 태도는 자신의 시대를 태평성대로 인식하고, 이은의 삶이 성은으로 말미암아 가능하다고 여기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또한 이은은 공무와 송사로 번거롭지 않을 때 누릴 수 있으므로, 여기에는 목민관으로서의 치리능력에 대한 찬사가 내포되어 있다. '이은'이라는 용어는 중국 唐宋代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지만, 그 이전에 이미 은둔의 형태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고 결국 小隱과 大隱의 사이, 즉 中隱의 실천 양상을 대변하는 말로 쓰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시대에 들어와 이은을 언급한 작자와 작품수가 대거 증가한다. 이는 관료사회의 고착화와 더불어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어느 정도 조율과 합리화가 필요했던 사대부들의 선택처가 아니었던가 생각된다. The word 'Yi-eun(吏隱)' means that a man who is holding on office leads the life of recluse. Intellectuals of Chosun considered nature as the final place of recurrence, the resting place for a moment, and the space for mental training. To live a life of silence, leisure, and idea, they should have gone back to nature after they laid down their office and retired. But they couldn't do that because they should realize an ideal politics in the human society. In theory Confucian scholar must construct ideal world holding public office. It is not simple choice for Confucian scholar to go back to nature and live in seclusion. So some intellectuals of Chosun wanted to live a somewhat hermit-like life holding public office. They called such a hermit-like life 'Yi-eun'. Based on the life-style of Yi-eun, they found the way to live a hermit-like life as a public official. Officials of Chosun used the word 'Yi-eun' as a concept in their literary works. We can find several types of 'Yi-eun' used in their literary works. First, writers gave their friends and acquaintances poems when they were appointed a local government post. Writers used the word 'Yi-eun' in their poems to console their friends' misfortune. Second, a writer used the word 'Yi-eun' in his poems to relate his thought. He intended to overcome his tragic conditions by regarding himself as a hermit. Some writer was filled with anguish because his life was real one of a hermit. He expressed his true feeling of conflicts. Third, if the writer affirmed his life of 'Yi-eun', we can read his sense of reality and longing for ideal life. The life of 'Yi-eun' can be possible only when the world is peaceful. And to conclude, he was a compete district magistrate, so his village could be peaceful, and he could enjoy his life of 'Yi-eun'. In addition, the writer thought 'Yi-eun' as a real hermit. The word 'Yi-eun' appeared concretely in literature of Tang(唐) and Song(宋) dynasty in Chinese history.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reclusive type in earlier times, it was divided into two types; a great seclusion and a insignificant seclusion. Po Chu-i(白居易), the poet of Tang dynasty, suggested a compromise proposal between the two types. He choose a moderate seclusion which was similar to Yi-eun. In the case of our country, writers and literary works related with Yi-eun increased exponentially in Chosun dynasty. Intellectuals of Chosun, as government officials, suffered from discrepancy between ideals and reality, so they espoused Yi-eun, a hermit-like life as a rational solution.

      • KCI등재
      • KCI등재

        蓮軒 李宜茂의 長湍 退居期 詩에 나타난 치유와 갈등의 양상

        강지희(Kang, Ji-hee)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5 No.-

        蓮軒 李宜茂는 조선전기 성종과 연산군, 중종 대에 활동했던 문신으로, 戊午士禍 당시 追罪되어 평안도 영변 어천역에 杖配 되었다. 일 년 남짓 유배생활을 한 후 坡州 長湍 東江으로 退居하였는데, 본고에서는 그의 장단 퇴거기 당시의 詩作을 분석하였다. 歸去來와 幽居의 삶을 살았던 그는 이 기간 동안 평온함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소박하고 검소한 삶을 지향했으며 욕심을 내려놓고자 하는 의지를 다졌다. 본고에서는 연헌의 퇴거기 시에 나타난 치유와 갈등의 양상을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자연의 발견, 시주에의 탐닉, 옥당에 대한 그리움과 상심, 현실 초극의 의지 등이 그것이다. 동강 퇴거 때에는 자연이 유의미한 존재로 다가왔으며, 연헌은 그로부터 느끼는 환희와 감동을 시에 고스란히 표현하였다. 詩酒는 연헌의 삶에서 빠질 수 없는 즐거움이자 위로자, 휴식처였다. 환로에 있을 때에도, 유배지에서도 시주는 늘 함께하던 동반자였는데, 장단 퇴거 시절에도 시주에 대한 그의 애정과 탐닉에는 변화가 없다. 그는 자연과 시, 술 등으로 위로를 받고 상처를 치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가장 빛나던 시절, 옥당에서 활약하던 과거를 향한 그리움과 상심은 그의 시 곳곳에 남아 있다. 환로에서 멀어진 상실감, 중앙관직에 대한 미련은 퇴거기 당시의 시들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고독하고 비참하게 느껴지는 현실속에서 그는 극복의 방법을 모색한다. 그것은 유머와 위트가 담긴 詩作, 은둔을 끝내리라는 소망과 결의, 신선이 되어 자유롭게 사는 낭만적인 꿈으로 표현된다. 연헌은 해배 후 3년간의 퇴거기를 거치면서 스스로 상처를 관조하고 그것을 치유․극복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시간이 그를 내적인 측면에서 더욱 긍정적이고 단단한 방향으로 이끌었을 것이다. 이후 행보를 보건대, 환로에 대한 적당한 거리두기와 勳業을 이루기 위한 새로운 방향 설정이 장단 퇴거기를 거치며 더욱 성숙하고 진전되었으리라 추측된다. Yeonheon Lee, Eui-mu was a civil minister who served in Seongjong Dynasty, Yeonsankun Dynasty, and Jungjong Dynasty, that is,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en the purge of Confucian scholars took place in the Muo Year (1498), he was exiled to a remote province (Eocheon) on suspicion of making an adverse remark. After a year, he was released and retired home into the country, Jangdan, Paju. In this paper, this researcher studied his poetry written in the period of seclusion at Jangdan. He returned to his hometown subsequently and lived a quiet life near the Dong river. He made attempts to regain peace and calmness. He wanted to lead a simple and frugal life. In this paper, this researcher categorized his poems written in the period of seclusion at Jangdan into four groups based on topics: his discovery of the beauty of nature, his addiction to writing poems and drinking alcohol, his broken heart and longing for Ok-dang (Hongmun-kwan), and his will for conquest of reality. He experienced nature as a meaningful presence in his seclusion period, and expressed in his poems his impressions and the delight felt in nature. Poetry and liquor could comfort and amuse him as ever. He could heal his heart through nature, poetry and liquor. However, his poems also speak about a broken heart and longing for Ok-dang (玉堂). He felt miserable and lost because of losing a central government post. He looked for a way to conquer this lonely and harrowing reality. Thus he wrote humorous and witty poems, made up his mind to a sequestered life, and dreamed of being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Yeonheon had a healing time during the period of seclusion at Jangdan, contemplating his life and state of heart.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time of retirement helped him to develop a positive attitude and strong heart. Afterward he did not cling to perfect social accomplishment, but made efforts to find a better way to perform well politically.

      • KCI등재

        許筠이 본 蘇齋 盧守愼 詩의 美的 특질 : 『國朝詩刪』의 批評을 중심으로

        강지희(Kang, Ji-hee)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6 No.-

        蘇齋 盧守愼은 陳師道, 黃庭堅 등으로 대표되는 중국 강서시파의 영향을 받아 海東江西詩派를 형성한 湖蘇芝 三家의 일원으로 병칭되지만, 중년 이후에는 唐風, 특히 杜詩를 학습하여 이후 三唐詩人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시인으로 평가된다. 허균은 자신의 시화집인 『성수시화』와 『학산초담』에서 시인으로서의 소재를 높이 평가했는데, 특히 두시를 체득한 점, 오언율시의 대가라는 점, 구법이 온당하고 표현이 자연스러운 점 등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시선집 『국조시산』에서 구체적인 批評을 가하여 그 실체를 설명하였다. 본고에서는 『국조시산』을 중심으로 허균이 소재의 시를 어떻게 평가했는가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허균은 소재가 두보의 시를 학습하여 그 본체를 터득했다고 보았는데, 실제 소재의 시를 분석해 보면 두시의 단순한 인용이나 點化가 아닌, 한층 더 높은 수준의 변용과 구사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허균은 소재의 시가 工緻하다고 평가했는데, 소재의 시를 분석해 본 결과 주제와 형식, 시상의 흐름, 시어의 운용 등에 있어서 매우 정교하고 치밀한 솜씨가 돋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허균은 소재의 시가 雄奇한 품격을 지녔다고 평했는데, 시를 분석한 결과 그 웅장함과 돌올함 속에는 섬세하고 왜소한 시인 자신에 대한 인식이 내포되어 독특한 미감을 발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ojae, Noh Su-shin is well known for a member of Haedong-Gangseosipa(海東江西詩派). Also he learned Tang poetry, especially poems of Tufu(杜甫), after his middle life, and then he had an big impact on Samdang-poets(三唐詩人). Heo Gyun wrote two books of poetry criticism, Seongsu-sihwa(惺叟詩話) and Haksan-chodam(鶴山樵談). He praised ability of Sojae as a poet in these books. He specially took notice of Sojae’s pomes in three points: One, Sojae mastered how to write poems like Tufu. Two, Sojae was a master of ottava rima with five characters to a line. Three, the poetic phraseology and expression in Sojae’s poems are very proper and natural. Heo Gyun explained esthetic characteristics of Sojae’s poems, by making comment on his poems concretely in Gukjo-sisan(國朝詩刪), the selection of poems by Heo Gyun. In this paper, I studied how Heo Gyun made an evaluation of Sojae’s poetry based on his comment in Gukjo-sisan. He thought that Sojae learned Tufu’s poetry and mastered the way of writing poems like Tufu. I analyzed Sojae’s poems meticulously, then I could find that Sojae made not mere quotation or change, but a high level of command and transformation of Tufu’s poetry. Second, Heo Gyun told that Sojae’s poems were very complicated and refined(Gong-chi). When we read Sojae’s poems, we will see that he wrote poems ingeniously and elaborately from all aspects of themes, forms, poetic sensibility, and poetical language. Third, Heo Gyun told that Sojae’s poems had a magnificent and whimsical(Woong-gi) atmosphere. After reading his poems, I found a delicate and puny man in the huge and grand world. It give us a unique feeling, like a kind of aesthetic feeling or philosophical reflection.

      • KCI등재

        퇴계(退溪)의 「화도집음주이십수(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 도연명(陶淵明)수용 양상 -소동파(蘇東坡), 매월당(梅月堂)과의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강지희 ( Ji Hee Kang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4

        中國詩史에서는 도연명을 흔히 田園詩人이라 일컫는다. 세속과의 타협을 거부하고 전원으로의 은거를 선택한 도연명의 삶과 문학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많은 문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그들에 의해 무수히 창작된 和陶詩가 그에 대한 尊慕와 崇仰의 증거라 할 수 있다. 화도시가 본격적으로 창작된 것은, 중국에서는 蘇東坡에 이르러서이고 우리나라는 梅月堂 金時習에 의해서였다. 퇴계는 43세 때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할 계획을 세웠고 46세에는 고향 마을에 養眞菴이라는 암자를 지어 은거의 터전을 마련했다. 「和陶飮酒二十首」는 퇴계가 한서암에 이사한 그해 지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도연명을 수용하는 방식은 시인이 처한 시대 상황과 개인의 처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띤다. 그 중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소식, 김시습, 퇴계의 예에서 보듯이, 모두 도연명을 본받아 자신과 맞지 않는 세속과 거리를 두고 자연과 친화하려는 노력을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飮酒>라는 詩題와 무관하지 않겠지만 술을 통해세 시인 모두 天眞함을 발견한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이들 세 사람의 和陶詩에 나타나는 차이점도 분명하다. 소식은 현실에 대해 불만이 많았던 탓에 벼슬을 버리고 도연명처럼 은거하리라는 결의를 여러 번 시에 표현했지만, 끝내 濟世安民하고자 하는 儒者로서의 자세를 견지한 채 세속에 대해 超然하지는 못했다. 김시습의 경우 宦路에서 두 번의 좌절을 겪은 후였기 때문에, 도연명의 탈속적인 자세를 닮으려는 노력은 하였지만, 그의 시에는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분노와 守拙하는 것에 대한 자기 확신 내지는 자부심 같은 것이 강하게 배어 있다. 퇴계의 화도시에는 陶淵明, 朱子를 비롯한 앞선 시대의 賢哲그리고 金蘭之交를 맺을 만한 知音을 만나지 못한 것에 대한 절절한 안타까움이 담겨 있고, 아울러 마음을 기댈 수 있는 안식처일 뿐만 아니라 天道가 성취되는 공간으로서의 自然이 그려져 있다. 고향에 내려와 書院을 짓고 後學들과 講學을 하며 天理와 人性을 탐구하는 性理學者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Dojam(陶i潛)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pastoral poet of China. Many poets of China and Korea have loved his poems and followed the rhymes of them. The contents of Hwadosi(和陶詩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poetry) are as various as conditions which each poet was faced with. But they also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is paper, I payed attention to Sodongpa, Maewoldang, and Toegye. All of these three men tried to keep their distance from secular affairs and get close to nature. They wanted to live like Dojam. And they found innocent and pure humanity while they were drinking.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se three poet`s Hwadosi. Sodongpa said in his poems many times that, like Dojam, he would leave public office and retire to hermitage in the mountain. Because he was discontented with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time. But he hoped to live as a Confucian who should save the world and relieve the people, so he could not be free from the world, secular affairs. Maewoldang failed to enter government service two times in his life, so he tried to rise above the world like Dojam. In his poems, however, we can read obviously his anger against the world which did not recognize him, and his pride which would help him maintain his integrity. Toegye, in his Hwadosi, expressed regret at the fact that he could not live with wise men such as Dojam and Juja in the same age, and that he could not meet a true friend. He took nature as a place to find peace and described nature as the place in which God fulfilled his way. He was a scholar of Neo-Confucianism, so he built a lecture hall and taught younger students after he went down into the country. Studying disposition of Providence and human nature constantly, he expressed illumination he found in his poems.

      • KCI등재

        포은(圃隱)에 대한 기록(記錄)과 기억(記憶)

        강지희(Kang, Ji-hee)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포은에 대한 초기의 기록으로는『고려사(高麗史)』·『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태조실록(太祖實錄)』·『태종실록(太宗實錄)』 등에 수록된 내용과『포은집(圃隱集)』에 수록된「행장(行狀)」및 당대 제가(諸家)에 의한 평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록들 속에는 포은에 대한 긍정적인 서술과 부정적인 서술이 공존하는데, 후대로 내려갈수록 부정적인 언급보다는 긍정적인 언급이 월등하게 많다. 본 논문에서는 후대인들이 포은에 대해 남긴 다양한 기록들을 통해 그가 어떤 인물로 기억되고 추모되는가를 살펴보았다. 포은은 역사 속에서 충신과 난신이라는 두 가지 성격으로 평가되고 묘사되지만, 후대로 가면 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보다는 성리학의 시조, 절의의 상징, 수완이 뛰어난 외교가, 합리적이고 엄격한 행정가, 비루한 풍속의 개혁에 앞장섰던 예도의 실천자로서의 이미지가 강화되며 추모와 존경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근저에는 문인 함부림이 쓴「행장」과 태종 당시 충신의 절의를 표창해야 한다는 권근의 상소, 세종 때에『삼강행실도』를 편찬하며 포은을「충신도」안에 포함시켰던 일,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거치면서 포은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총괄적으로 기록해 놓은『고려사』열전 「정몽주」편이 자리 잡고 있다. 포은의 행적과 학문, 삶의 지향점은 조선조의 통치이념과 맞닿아 있는 부분이 많았으므로, 조선조에서 그를 추앙하고 표창하는 것은 분명 왕조를 수성하고 그 존립을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컸을 것이다.『태조실록』이나 『정종실록』의 기록들,『고려사』열전에서 포은의 죽음을 서술한 부분은 분명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어조이지만, 태종 이후에 그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반복되고 그의 업적을 기리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The earlier documents about Poeun(Jeong Mong-ju) are articles in Goryeosa, Goryeosa-jeolyo, Taejo-silok, Taejong-silok and his life story in a collection of Poeun’s works, and comments of the contemporaries. These documents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tents. As time went on, positive contents about him increased much more than negative ones. In this paper, I studied what figures of Poeun were remembered by people of future generations, based on various documents about him. Poeun was hailed as a loyalist or a traitor in historical records, but in later generations, he won respect as a front-runner of Neo-Confucianism, a symbol of loyalty, a talented diplomatist, a sensible administrator, and a doer of the proprieties. Ham Bu-rim, Poeun’s disciple, wrote Poeun’s life story and it is included in a collection of Poeun’s works. Kwon Geun, who wa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of Taejong, contended that they should officially recognized Poeun’s royalty. King Sejong ordered his officer to draw Poeun’s figure as a royalist and write a panegyric under the painting. The article of Poeun in Goryeosa reflected all various reputations about him synthetically. All memories and praises of Poeun were based on these several documents. In most part, Poeun’s life, learning, and values matched up with ruling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So the Joseon Dynasty revered and recognized his life and achievement to provide a model for people to imitate. I think that it must have contributed to make a nation stronger. After Taejong’s time, many people mentioned Poeun’s positive reputations and admired his work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