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치 허련(1808~1893)의 사의(寫意) 묵란화

        강영주,Kang, Yeong-ju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1

        소치 허련(小癡 許鍊,1808~893)은 조선 말기 대표적 남종 문인서화가이며 남도 문인화의 시조로, 초의선사와 추사 김정희의 문하에서 문인의 학문적 면모와 화원의 능숙한 화법을 모두 체득해 '사의화(寫意畵)'를 이룬 직업형 문인화가였다. 허련의 산수화는 그의 화격을 높이 산 김정희의 지도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추사 사후 그의 나이 70세경에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한 묵란화는 '추사란(秋史蘭)'의 양식과는 관련이 없고, 전체적으로는 고법(古法)을 따르면서도 거칠고 호방한 필치의 사의성을 띠고 있어 주목된다. 허련의 묵란화는 사군자류 중 화란법(畵蘭法)을 남길 만큼 관심을 가졌던 분야임에도 전체적인 작품의 조사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란법과 제발(題跋), 인문(印文)에 나타난 난화관(蘭畵觀)을 통해 그의 묵란화 인식을 살피고, 화보를 임방하고 당대 화풍을 수용하면서도 개성적인 필묵의 운용으로 형성된 소치란(小癡蘭)의 면모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특히 허련은 당시 묵란화의 대가인 이하응이나 조희룡과 화우(畵友)로 지내지만 난 그림에 있어서는 김정희의 난화론을 바탕으로 삼아 초기 지두란(指頭蘭)을 그리는 등 자신만의 화란법을 형성하고 예술세계를 구축한다. 또한 난화는 유가적 전고(典故)를 바탕으로 그리지만 제발과 인장의 내용을 통해서는 유가적 성격뿐만 아니라 도가 불가적 의미까지 더해져 허련의 인생 지향과 사유세계를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철학과 심미의식이 반영된 허련의 묵란화는 시기에 따라 변화 과정을 거치며 만년에 사의 묵란화를 형성한다. 즉 그는 직업형 화가였음에도 말년에 더욱 활발히 제작했던 사의란을 통해 조선 사대부의 이상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려 했음을 알 수 있고, 소치란은 문인의 표상을 실현하려는 사의적 시각과 의지의 발로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Sochi Heo Ryun (小癡 許鍊, 1808-1893) was a literary artist of Chinese paintings of the Southern School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founder of painting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Jindo County in South Jeolla Province. He was also a professional literary artist who acquired both learning and painting techniques under Choui (a Zen priest) and Kim Jeong-hee's teachings. Heo Ryun's landscape paintings were influenced by Kim Jung -hee. However, his ink orchid paintings, which he began producing in his later years, were not related to the 'Ink Orchid Paintings of Chusa (秋史蘭)'. His ink orchid paintings as a whole drew attention as he followed the old methods but still used rough brush strokes . Ordinary orchids were drawn based on Confucian content. However, his Jebal (題跋) and seal (印章) contain not only Confucian characters but also Taoist and Buddhist meaning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uess his direction of life and his private world of suffering. Ryun's ink orchid paintings reflected a variety of philosophies and aesthetic sensibilities. He went through a process of stylistic change over time and formed an 'Ink Orchid Painted Thought' in later life. The main characteristic of Sochi's ink orchid paintings is that he formed his own special methods for orchid paintings by mimicking the Manuals of Paintings. He drew orchids with his fingers in the beginning. Then, Jeongseop, Lee Ha-eung, Cho Hee-ryong, and others developed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painting style of ink orchid paintings. Then in later years, orchid paintings reached the point of 'Picture Painted Thought (寫意畵)'. The above consideration shows that ink orchid paintings, which he produced until the end of his life, were the beginning of his mental vision and will to realize the image of a literal artist.

      • 19세기 말 - 20세기 전반기 최영장군 신앙과 무신도 연구

        강영주(Kang, Yeong-ju) 한국민화학회 2019 한국민화 Vol.- No.11

        이 글은 미술사적 연구가 전무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기 무속에서의 최영장군 신앙과 무신도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는 글이다. 최영은 청백리의 삶을 살면서 죽음을 무릅쓰고 국가와 백성을 위해 헌신했던 역사적 위인으로 추앙받는 인물로, 수많은 공적에도 불구하고 측근의 배신과 억울한 죽음으로 신격화되어 민간신앙의 가장 강력한 숭배 대상이 된 인물이다. 조선시대에 최영이 정치적 목적으로 신원이 복원된 후부터는 역사적 위기 때마다 국가적, 지역적, 개인적인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특별히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기에 민족이 처한 난관의 극복과 위안, 승리에 대한 열망의 상징으로 국가와 민중에 의해 소환되어 신으로 숭배되었다. 먼저 인간 최영이 무속의 신이 된 이유를 청백리의 삶이나 올곧은 성품이 반영된 적분(赤墳), 관료와 장군으로서의 공적과 관련 있으며, 무속의 절대 영험을 갖게 된 결정적 이유는 그의 억울한 죽음에 기인함을 알았다. 역적으로 참수를 당하지만 최영에게 직접적으로 은덕을 입은 백성들은 그들의 방식으로 억울한 죽음을 당한 최영을 넋을 위로하고 추모했고 그들 자신도 최영의 혼령에게 위로받기를 원했다. 즉 최영의 드라마틱한 삶과 죽음은 가장 불운하고 천한 인간이라는 인식을 가진 일반 백성들의 공감을 얻고 그들을 위로하였기에, 인간 최영은 가장 강력한 무속의 신령이 될 수 있었다. 최영과 관련된 무속신앙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국의 무당이 찾는 무속의 성지 개성 덕물산 최영장군사당을 비롯해, 8개의 사당이 집중되어 있는 경남 남해안 지역의 최영장군사당과 서울지역의 부군당이나 국사당 등 지역에 따라 최영장군을 신앙하는 성격이 다르고 모시는 무신도의 유형도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유형은 그림이 아닌 소상(塑像)으로 모시거나 관료 또는 장군복 신상 또는 반신상 영정으로 나눌 수 있다. 근대기 국내외의 정세와 맞물려 최영장군이 무속에서 가장 강력한 신으로 모셔지는데, 당시 굿거리를 설명한 『무당내력』 류에 표현된 최영장군상을 통해 당시 최영장군 무신도의 유형을 살필 수 있다. 최영장군 거리에 등장하는 무당은 호수로 장식한 주립을 쓰고, 청색 철릭을 입으며, 갓끈을 묶어 매고 삼지창과 언월도를 들었는데, 이러한 모습이 당시 서울지역 최영장군 무신도의 도상이다. 이러한 도상에 근거한 대표적인 무신도가 〈기봉영당 최영장군 영정〉과 〈남산국사당 최영장군 무신도〉이다. 이 두 상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모두 서울지역의 부군당 및 굿당에 모셔진 최영장군신과 같아 현재 국외소재 무신도 등 전국의 불분명한 무신도의 명칭을 규명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남해안 사당의 반신상 역시 『무당내력』 류나 기봉영당 영정의 양식을 따르고 있어, 이 양식이 상당히 오래전부터 있어왔고 광범위하게 모셔졌음을 알았다. 그러나 〈인왕산국사당 최영장군 무신도〉는 투구와 비슷한 발립을 쓰고 포를 입은 모습으로 제작됐는데, 이는 20세기 초엽 남산국사당이 인왕산으로 이전하며 새롭게 모시게 된 최영장군신상을 〈개성 덕물산 최영장군사 최영 소상〉을 기준으로 하여 고증해서 특별히 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무신도는 백성을 아픔과 고난을 위로해주는 무속신앙의 종교화임에도 불화나 민화의 아류로 보아 그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찰이 무신도의 역사적, 종교적, 민속적 가치뿐만 아니라 예술적 중요성이 인식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the Shaman Spirit Painting (Musindo) of general Choe Yeong in the late 19th and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Choe Yeong was a military commander in the late Goryeo and a historically great man who lived a simple life devoid of greed and devoted himself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at the risk of his death. Despite his numerous achievements, his colleagues betrayal and his tragic death led him to be deified as one of the most powerfully worshipped Shaman. Since his identity was restored for political purposes in the Joseon Dynasty, Choe Yeong has been used for national, regional, and personal purposes in every historical crisis. And, especially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o Japanese colonial period, he was recalled and worshiped as a god by the nation and the people and as a symbol of a conquest and consolation of difficulties faced. It was people’s desire for victory. The shamanism related to Choe Yeong can be divided by region. First, there is a shrine of Che Yoeng’s Shrine on Deokmulsan in Gyaesung, a sacred place of shamanism that shamans all over the country are visiting.Next, the eight shrines are concentrated in the south coast area in Gyeongnam. Lastly, there are Bugundang and Guksadang in Seoul. Depending on region, the faith of General Choe Yeong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types of the shamanic spirit painting worshiped. The types can be divided into a clay figure not a painting, or a full portrait of god in general uniform of amor, and half-length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In modern times, due to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general Choe Yeong was worshiped as the most powerful god in shamanism, At the time, the figure of general Cho Yoeng expressed in 『Mudang Naeryeok』, a book explaining Gutegeori (shaman song), was wearing a red Gat in bird feather, blue Chulrik, tying up strings of Gat (Gatkkeun), and holding a trident and scimitar. This feature is an icon of the shamanic spirit painting of the general Choe Yeong in Seoul region at the time, and the representative paintings are 〈a portrait of general Cheo Yeong in Gibong shrine〉 and 〈a Paintings of Shamanistic Spirits of genenral Cheo Yeong in Guksadang〉. These two paintings are likely to have been drawn in the late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조선시대 국난극복을 위한 신상(神像): 서울 관왕묘의 <관우도>

        강영주 ( Yeong-ju Kang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1 강좌미술사 Vol.57 No.-

        이 글은 서울 관왕묘에 봉안된 <관우도>가 중국의 전통적인 관우 도상의 수용과 변화를 거쳐 조선식으로 토착화되는 과정을 알아보는 글이다. 조선 시대 국가 주도로 건립된 서울의 관왕묘는 총 4곳으로 건립된 시기는 다르지만 건립과 관우도 제작 목적은 역사적으로 국가가 위기에 처한 위중한 사태에 국난의 극복을 위한 매개체로 활용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조선 전반기 선조대에 중국의 요청에 의해 건립된 남묘, 동묘의 <관우도>는 당대 문헌 기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중국에서 유입된 관우도나 삽화가 포함된 『삼국지』류의 소설 등의 도상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관우 도상은 숙종의 어제시 표현대로 큰 키, 대춧빛 붉은 얼굴에 봉황의 눈, 누워있는 누에 같은 눈썹, 삼각으로 길게 뻗은 수염을 하고 청건에 녹색 전포를 입고 지물로는 『춘추』와 청룡언월도를 갖추고 적토마를 곁에 두고 있다. 즉 이 시기 <관우도>의 유형은 유존작과 문헌기록을 통해 보면 3가지로 요약된다. 앞에서 언급한 도상형식을 갖춘 ‘전신 단독상’과 삼국지 주요 이야기가 도상화된 ‘고사인물도상’ 및 윤두서의 작품으로 전하는 ‘반신 성현초상류’로 나눌 수 있다. 또한 ‘甲冑 장군상’ 등의 유형이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 근대기 남묘, 동묘 및 고종대에 건립된 북묘와 서묘의 <관우도>는 도상과 성격이 유사하다. 필자는 북묘, 서묘 조각상과 아울러 근대기 사진으로 전하는 관우도상을 적극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는 북묘와 서묘의 관우도가 이전 시기 3가지 유형을 유지하면서도 좀 더 분화된 유형과 양식을 갖추고 있음을 알았다. 그 이유는 당시 유행한 관성교와 같은 관우를 신앙하는 천수사나 충진사 등의 종교단체나 조직의 경전이나 판화와 같은 인쇄물에 묘사된 관우 도상을 따랐기 때문이다. 이 시기 관우도상의 특징은 유비, 장비를 같이 그리거나 소나무, 춘추가 올려진 바위 등의 배경에 관평과 주창 등의 협시가 같이 등장하는 ‘삼존상’, 관우와 주창을 그린 ‘이존상’ 및 ‘전신단독상’, ‘반신상’ 등으로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조선 전반기 관우도가 장군의 모습을 한 무장이나 충신상이 주류였다면 근대기의 관우상은 巫神圖의 성격과 양식으로 제작된 황제나 왕의 복식을 한 군왕상이 많다는 것이다. 또한 예배상인 조각상 뒤에 영정을 걸어 전당을 장엄하였다. 당시 관우상의 복식은 청대의 것을 모방하기보다 조선의 복식과 지물 및 장식, 문양을 융합해 조선화된 관우도를 제작하였다. 특히 익선관, 금관, 빗관, 면류관에 황색, 홍색 곤룡포나 면복 등 고종과 순종의 복식을 형상화한 도상이 주목된다. 근대기 관우도상의 이러한 특징은 고종이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로 등극한 후 1901년 관왕묘를 관제묘로 격상시키고 악장을 새로 제정하여 관우 신앙을 위태로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삼았던 시기와 일치한다. 특히 왕실 주도로 창건된 관왕묘에 무당을 祭主로 두면서 관우가 武神, 장군신, 재물신 등 기복 신앙의 예배 대상으로 민간층으로 급속도로 확산되는데 서울 관왕묘의 <관우도>는 그러한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Guan Yu's faith and Painting of Guan Yu of the Kwanwang Tomb in Seoul. This article identifies the political character of Guan Yu's faith, which was used as a medium for overcoming national difficulties by the ruling class in the Joseon. Historically, Guan Yu died in spite of numerous meritorious deeds and achievements, which became popular as Guan Yu's folklore and religious belief since his death. Since then, after the popularity of the novel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ts prestige has expanded, becoming one of the most popular objects of worship in shamanism as an all-around god who is versatile and achieves all wishes. In this regard, Guan Yu looked into the causes and processes worshipped in China as the god of loyalty, the god of war, the god of wealth, and the god of protecting the country. And it was politically utilized by King Sukjong, King Yeongjo,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at the request of China. In Joseon era, 'Icon of Guan Yu' was designed to decorate or honor Guan Yu Shrine, with illustrations and scrolls drawn for the enjoyment and understanding of novels due to the influx and trend of the Three Kingdoms. This paper focused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rtrait of Guan Yu" of Gwanwang Tomb in Seoul, which is used for the political purposes of the royal family, into a Joseon style. Through this articl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of Guan Yu which were produced in the Joseon era, were identified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egrating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with the folk shamanism and becoming indigenous to Kore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열하일기》〈황교문답〉에 나타난 대화법과 그 의미

        강영주 ( Kang Yeong Ju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 Vol.0 No.60

        Observe Qing’s situations was an important duty to Choson embassy. But the Choson emissaries in 18C were difficult in conversations with the Chinese in Qing. As they travel to Beijing, they remember and celebrate the Ming dynasty on the basis of loyalty to Ming and Chun-Qiu(春秋). Hwan’gyo mundap(黃敎問答) expands the problem of observing foreign situations to the problem of consideration for others, not the problem of diplomatic works. Pak Chiwon deal with it by Neo-Confucian’s sights. For this reason, the problem of proper conversations is upgraded to the problem of Li (禮). As Pak Chiwon talks about the Yellow Hats[黃敎, Lamaism], he did not struggle for his stance. Pak in Hwan’gyo mundap(黃敎問答) transformed his emotion situationally, not loosing his temper. The proper courtesy for others in conversations ultimately led to saving Pak’s face and it results in his prominent position. Eventually, such a method of conversations led others in conversations to having touched feelings. Simultaneously, it led Pak to conjecture others’ understandings of their society.

      • 수복문자도의 유형과 성격 - 잡체전(雜體篆)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를 중심으로 -

        강영주(Kang Yeong-ju)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4

        이 글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염원인 장수와 복락을 뜻하는 수자와 복자를 그림으로 그린 ‘수복문자도’의 성격과 유형을 살피려는 글이다. 주술성과 길상성이 깃든 전서라는 문자는 그림의 형태인 도화성을 띠기 때문에 수복문자도의 전형을 이루며 변화 발전한다. 전서체의 형성과 유래는 상서로운 징조, 즉 성군의 출현과 아울러 발생하는 신비하고 초자연적인 자연현상과 물상의 변화들이 주를 이룬다. 상서로운 조짐을 나타내는 문자로 쓴 글씨와 그림이야말로 통치자의 위업과 치적, 태평성대를 예시하는 것이기에 오랜 기간 연구되고 발전되며 왕실의 건축과 공예, 복식, 서화로 제작 사용되었다. 때문에 잡체전으로 쓰인 백수백복도류나 서병, 수복문자도 등은 길상성, 주술성뿐만 아니라 장식성과 정치성까지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9세기 말 20세기 전반기 민간에서 제작 유통된 수복문자도류는 인간의 세속적 염원을 기원하는 다양한 물상들이 조합되고 극대화되며 기복적·주술적인 성격이 더욱 강화된 면모를 보인다. 수복문자는 진한 이전의 상서로운 잡체전을 사용해 복식과 도자기 등에 표현되었다가 100개의 수자와 100개의 복자를 섞어 그린 백수백복도류의 병풍화가 제작된다. 수복문자도의 유형은 문자형과 도화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체적으로 문자형에서 도화형을 변화되는데 이는 민화 문자도의 대중적 저변화에 상응하는 흐름이다. 대표적인 문자형 수복문자도는 130개의 전서백체천자문과 관련 있는 이형록의 백수백복도가 있고 그 뒤를 잇는 기계적이고 도식적인 종정체(鐘鼎體) 수복문자도만을 집중적으로 그린 화가군이 존재한다. 도화형 수복문자도는 잡체전의 백수백복자를 도화한 것을 일컫는데 도화된 개별글자들이 효제문자도나 기타 민화 그림에 삽입되어 그 의미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자는 병풍화에 문자로 삽입되는 경우가 많아 당인들의 장수에 대한 세속적 염원을 짐작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ature and type of ‘Moonjado(letters painting) Su(longevity) and Bok (happiness)壽福文字圖’, which are the most basic human aspirations for longevity and well-being. Because Seal script font(篆書) is a pictorial form of magical and auspicious characters, it develops into a typical form of ‘Moonjado(letters painting) Su(longeity) and Bok(happiness). Early ‘Moonja(letters) Su(longevity) and Bok(happiness)壽福文字’ were expressed in clothes, ceramics, etc. using auspicious seal script variants(雜體篆). Later, ‘Moonjado(letters painting) BaekSu(100 ‘longevity’ letters) and BaekBok(100 ‘happiness’ letters)百壽百福圖’ were produced. The Moonjado (letters painting) Su(longevity) and Bok(happiness) types can be divided into letters and pictures. This is the corresponding trend of popular change in folk pain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