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개발 연구 : CEFR을 기반으로 한 KSL 교재에서의 과제 실행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강수정(Kang su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중도입국 학습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CEFR을 적용하고자 우선 그 핵심 요인에 해당하는 ‘과제’ 종류를 기준으로 KSL 교재에서의 실현 양상을 분석한 후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초등/중등/고등 1, 2 교재를 대상으로 CEFR 기반의 과제 양상을 실제 분석한 결과 그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과제 유형별 분석 결과 ‘실제 생활과 유사한 과제’나 ‘교육적인 예비 의사소통의 과제’ 등이 고빈도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는 실제 상황, 맥락이 없는 단순한 활동이나 연습 과제 유형 등이 많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둘째, ‘실제성‘이 가장 높은 과제 유형인 ’실제 생활의 실재 과제’가 학교급별 교재 가운데 2단계 보다 1단계에서, 중·고등 교재 보다 초등학생 대상 교재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의 언어능력과 ‘형태에서 의미 중심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과제 제시의 순서 등을 고려하지 않았음을 반증한다. 마지막으로 ‘교재 구성별 특징’으로서 전술된 ‘실제 생활의 실재 과제’가 ‘함께 해봐요’ 나 ‘활동’에서 보다 특히 ‘대화 1, 2나 연습 1, 2’ 등에서만 주로 나타났다. 이는 교재에서의 과제 구성이 실제 상황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실현되어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제 구성과 전개 측면에 대한 개선과 함께 ‘과제 은행의 구축’ 등을 제안하면서, 언어 기능 가운데 특히 ‘쓰기’에 중점을 두어 그 과제 개발과 교수-학습 및 수업구성을 위한 발전적인 후속 연구도 제안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has been held with the purpose to find the application of CEFR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that considers the particular conditions of immigrant adolescent Korean learners. In search for future improvements, it analyzed the current applications in the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extbooks, basing the analysis on the types of ‘assignments’, which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 in CEFR. The assignments, which followed CEFR and were extracted from the textbooks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 level 1, 2, were analyz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l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based on the assignment types revealed that the ‘tasks close to real life’, ‘pedagogical pre-communication tasks’, and such appeared very frequently. But this indicated tha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assignments lacked coherence in incorporating everyday contexts and applications, and included random practice problems. Secondly, the assignments of ‘authentic tasks of real life’, which is the assignment type with the highest ‘authenticity’,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primary stage than the secondary stage for every grade level, and more frequently in the elementary than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This indicated the assignments did not take learner’s language ability into account, and were not composed in a desirable manner of ‘starting with the format, then towards the meaning’. Lastly, the ‘authentic tasks of real life’, which was mentioned as a ‘feature in the assignment composition’, appeared more often especially in the sections of ‘dialogues 1, 2’ or ‘exercise 1, 2’ and etc., than ‘Let’s do it together’ or ‘Activities’ section. This indicated that the assignments within the study materials were not composed in a way that enables them to induce active interaction in an actual situation. Basing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was able to propose suggestions on the corrections on the order and the composition of the assignments, the ‘structure of the assignment bank’, and etc.; and at the same time was able to propose a future research-of which focus is on the ‘writing’ ability amongst other language abilities-on the development of the assignments and the composition of teaching-learning and other classes.

      • KCI등재

        학습 한국어와 국어과 교재 어휘 간의 일치율 검토와 시사점 - 중도입국 학습자 대상의 개정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중등 국어과 간의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강수정(Kang Su-Jung)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2017년에 수정 고시된 개정 한국어(KSL)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구상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우선 본 연구의 대상자인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정 한국어(KSL)에서의 ‘학습 한국어’의 영역과 관련 문헌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한 데 이어, 그 해당 어휘 목록과 국어과 교재 간의 일치율까지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문헌 분석과 말뭉치 분석 방법(corpus analysis)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개정 전과 후의 한국어(KSL)에서의 학습 한국어 어휘 수가 크게 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개정 한국어(KSL)의 중·고등학교 학습 한국어와 국어과 교재 간의 어휘 일치율을 통하여 특정 출판사(두산 2, 신사 1, 2)에 해당하는 교재가 난이도 측면에서 낮거나 학습 부담감을 가장 크게 덜어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정 한국어(KSL)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과정이 연계된 수업 현장에서 교사가 실제 활용 가능한 교재를 선정하는 데에 있어 참고할 만한 구체적 단서를 얻었으면서, 차후에는 보다 실질적인 교재 내용의 구상으로 반영될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ducational plan based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revis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and the Korean Language Cours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immigrant adolescent Korean learners, critical review of the area of Learning Korean in the revis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and related document was conducted. A review of agreement between their related vocabulary and Korean Language Course Textbook Vocabulary was conducted as well. The study results derived from the document analysis and corpu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vocabulary of revis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was increased greatly after revision. In the second place, through the agreement of vocabulary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learning Korean of revis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Course Textbook of revis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the textbooks corresponding to specific publishers (Doosan 2, Shinsa and 1,2) are the lowest in terms of difficulty or the burden of learning is lowest.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e specific clues that can be used for selecting practical teaching materials that teachers can use in the classrooms linked with the revis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Course and in the future, it could be expected to reflect more substantive textbook contents.

      • KCI등재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에 대한 연구

        강수정(su ju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중도입국 학습자들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방안을 고안하기 위하여 학습전략의 사용 양상과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러한 논의의 진행을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한 후, 설문 도구로서 6개 범주로 구분된 ‘51개의 학습전략 문항’을 구축하여 구글 URL을 통해 국내의 해당 연구 대상자들에게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분석은 먼저 SPSS 22 통해 신뢰도 검증을 하고, 각 개별 전략에 따른 사용양상은 T-검정과 일원분산, 대응표본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전체 전략은 물론 요인별 그 사용양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여 추가적으로 실시한 대응표본 분석에서 반복된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상위 3개 전략(상위인지, 사회, 인지전략)과 하위 3개 전략(보상, 정의, 기억 전략)에 대한 추출과 함께 그 사용률이 가장 높은 것은 ‘인지전략’인데 반해 가장 낮은 것은 ‘정의적 전략’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과 맞물려 특히 정의적 전략의 사용률이 학습, 거주기간과, 숙달도와는 무관하게 나타났다는 사실을 통해서 해당 전략에 대한 교수-힉습 방안에 대한 향후의 검토가 반드시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이처럼 이번 연구는 유학생과는 그 학습목적에 있어 비슷하면서도 다른 학습환경에 놓여있는 중도입국 학습자들을 위해 새로운 관점의 교수-학습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교육과정 개발이나 그 조정을 위해 궁극적으로 요구되는 중요한 참고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논의였다고 할 수 있었다. Objectiv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migrant adolescent Korean learn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learning strateg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Methods To carry on such discussion,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of “51 questions on learning strategies” that has been categorized into 6 different categories was constructed and was carried out on the study subjects in Korea via Google URL. The survey answers were first analyzed with the SPSS 22 to verify the validity, and the usage patterns of individual strategi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one-way variance, and response sample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on the overall strategy as well as the individual usage pattern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results were the same for the additional response sample analysis. The ‘top three strategies (high-cognitive, social, cognitive strategies) and the bottom three strategies (compensation, definitional, memory strategies)’ were extrac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strategy’ had the highest usage rate while the ‘definitional strategy’ had the lowest rate. And in line with this fact, the definitional strategy usage rate was shown to be independent of the learning period, duration of residence, and proficiency, which confirmed that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the respective strategy must be further investigated. Conclusions As such, this study provided a new perspective to take into account in preparing a teaching-learning plan for immigrant adolescent Korean learners, who have similar learning purposes with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yet are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and it provided an ultimate and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djustments.

      • KCI등재

        한중 번역뉴스의 프레임(Frame) 전환에 관한 연구

        강수정(Kang, Su-Jung) 중국문화연구학회 2017 중국문화연구 Vol.0 No.35

        News translation is very different from literary or technical translation.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news translation is that the original text is rarely translated because of limitations in time or space. In many cases, news is reconstructed in a way that is suitable for readers to read and use to influence and target audience linguists, and in this process, the original text has changed.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is text is related to the social customs, structured values, and ‘frame’ setting based on the reader ’s perception that can be communicated in the target language. The media are physically constrained to report on the diverse and complex reality. Therefore, the frame is not a process of conveying reality as it is, but a process of acquiring the reader’s perception by emphasizing, reducing, or excluding a specific part in the course of news transmission. Especially in international news related to national interests, frame is more useful. In this study, I observed how the change of vocabulary leads to the change of frame in the news that the Chinese official media ‘CANKAOXIAOXI’ translated Korean news into Chinese. As a result, ‘CANKAOXIAOXI’ mainly used the transediting method when translating news of Korean media. The translated news mostly attempted to change the frame through the headline. And changed the frame of the translation news using ‘delete’, and ‘display of special question or expression of negative using double quotes’.

      • KCI등재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 관련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향후 과제

        강수정(Kang Su-jung)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2

        본 연구는 중도입국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한국어 교육과정의 연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어 해결 과제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중도입국 학습자 대상에 대한 특수한 실태를 파악한 후 그러한 특수성에 비추어 주요한 주제별 해당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탐구하였다. 분석결과 중도입국 학습자 대상의 관련 논의들에서는 이들의 사회 적응 측면까지 다루는 긍정적인 양상이 나타났다. 이에 반해 대체적으로 이들의 공교육 진입만이 전제된 ‘학업 문식성’ 관련 논의에만 집중된 편향성, 교육과정의 구성을 위한 절차 준행 미흡으로 반복 제기되는 숙달도나 성취 기준에 대한 제고 문제, 교수-학습 차원과 연계된 전무한 평가 차원 연구의 실태, 한정된 요구 수집(분석) 방법의 활용으로 드러나는 결과의 효용성 결여 등의 부정적인 측면도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된 몇몇 문제점을 기반으로 앞으로 중도입국 학습자 대상의 교육과정의 개발/개정을 위한 후속 연구 과제로서 ‘내용 통합을 비롯하여 다문화교육 목표 원리의 수정 및 다양한 요구 분석 활용 방안’ 등의 의미 있는 제언을 논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solutional measures by gaining insight on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study of discussions on adolescent immigrant Korean learners’ Korean education. In order to do so, we foremost sought to grasp an understanding on special conditions of adolescent immigrant Korean learners and then conducted critical studies on major topics in relation to their special conditions. In the analysis result, the discussions had a positive aspect even dealing with their social adjustment. On the contrary, several negative aspects were discovered as well such as biases focused solely on discussions relevant to “academic literacy’ which has these immigrants’ progression into public education as the only premise, repeatedly reported problems about improvements in profici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caused by poor execution of procedures in 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the current conditions where there is no research on the level of evaluation linked to the level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results with no utilization due to applying limited methods of request(collection) analysis. And based on some problems deducted from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discuss proposals like “Content Integration as well as Goal Principle Based on Major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iverse Applications of Request Analysis” as a follow-up project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adolescent immigrant Korean learner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베트남 유학생들의 쓰기 전략 연구

        강수정 ( Kang Su 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학습자 대상의 전반적인 쓰기전략에 대한 사용양상을 파악하여, 향후 쓰기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실마리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선행연구(Oxford, 1990)를 참조하여 5간 척도의 <쓰기전략 유형에 대한 41개 문항 질문지>를 구성하고 구글 URL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결과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유의미한 통계결과를 얻고자 t-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이후에 대응표본 분석까지 실시하였는데 그 주요한 전략사용상의 특징과 교수-학습 측면에서 제시한 몇 가지 개선점들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 <전체 전략>의 사용양상 결과에서는 ‘직접 전략이 간접 전략’보다 많이 사용하며, 그것은 ‘기억전략’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 전략과의 비교는 물론 간접 전략 내에서도 가장 사용률이 낮게 보이는 것은 ‘사회적 전략’이었음도 드러났다. 이어서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에 따른 그 사용양상 등도 정리해 본 결과, 직접 혹은 간접 전략 간의 균형 있는 사용은 물론 여성에게 더 다양한 전략 사용을, 연령대가 올라가거나, 학습기간이 3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특히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피드백을 통해 쓰기의 조절 능력 함양과 더불어 글쓰기의 개선 등도 꾀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외 교사는 학습자들이 대학원 진입을 희망하거나 숙달도가 중, 고급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들에게 정서적 지원을 통해 정의적 전략의 활용을, 쓰기 결과물에 대한 상위인지 전략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 그 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판단하고 다시 계획을 세워 관련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번 연구는 그간 미흡했던 베트남 학습자 대상의 쓰기를 특히 전략적 측면에서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usage patterns of the overall writing strategies of Vietnamese learners and to gain clues in developing future wri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of < 41 Questions on Writing Strategies > with 5 different scale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Google URL. The collected survey answ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underwent response sample analysis after first undergoing t-test and one-way ANOVA test in order to better achie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following we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usage of strategies and several points for improvement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irst of all, in respect to the usage of the < overall strategies >, the ‘direct strategy’ were used more often than the ‘indirect strategy’, and the most used strategy was the ‘memory strategy’. Furthermore, the ‘social strategy’ had the lowest usage in comparison with direct strategies and also within indirect strategies. Furthermore, the analysis on the usage patter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variables of learners suggests that more various strategies, as well as a balance of direct and indirect strategies, must be used to female learners; With increasing age or for more than three years of learning, it was found that, in particular, through the feedback of interaction among the learn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writing skills as well a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ntrol writing. the teachers should instigate an active usage of the following strategies respectively- ‘definitive strategy’ by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nd ‘high cognitive strategy’ so that they will solve problems through self-analyzing their works of writing and re-planning. Resulting in such findings, this study was a meaningful one for it shed light on the writing, especially on the usage of strategies, of the Vietnamese learners, on which research have been insufficiently done.

      • KCI등재

        이주민들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강수정 ( Kang Su-ju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4 No.-

        Through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immigrant’s experience in completing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the study aimed to gain suggestions in searching for the direction of future improvem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he experience of the learners, who have completed up till level 5, while regarding it as a‘narrative’. According to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of all, th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immigrant workers differed in how they were introduced to the program by‘love’and‘work’. Secondly, the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was relatively higher for the immigrant workers, who had less opportunity to receive other education programs and less chance to meet a Korean in person, than the marriage immigrants. Thirdly, the common struggle of both groups was the time in completing the program. Fourth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mands for additional learning were high in cultural aspects, and especially in terms of level 5 of Korean Text book for KIIP, systematic analysis was required in the ways to select and suggest the relevant components from the textbook composition while satisfying the principle of goals and the language level. Lastly, in the case of the immigrant worker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measures such as those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e problems for grammar usage, tasks for encouraging speaking, and they all had common demands for the advertisement of the program and the management plan that utilizes the‘teacher’factor. In this manner, the study was able to deduct several meaningful results an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IIP. (Ewha Womans University)

      • KCI등재

        이주민 대상 한국어 평가 연구의 발전 방향 모색 :사회통합프로그램 관련 평가 연구 고찰을 통한 시사점과 개선방안 도출을 중심으로

        강수정 ( Kang Su 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이주민 대상의 한국어 평가와 관련된 정책과 현황 추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의 주요 논의와 개선점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발전적 연구 방향을 탐색하였다. 우선 전반적인 실태 관련의 분석 결과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이 이주민 대상의 강력한 한국어 평가 도구로서 부각되고 있음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주민 한국어 평가 도구의 전체유형은 9개로서 활발한 개발 이후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들은 특정한 연구자와 학술지 게재 연구 유형 등이 주로 출현하는 편중성이 드러났다. 그리고 사회통합프로그램 평가 자체에 대한 타당성 검증 논의보다는 기존 평가들과 귀화시험 등 간의 연계방안 논의만이 반복되고 있음도 드러났다. 이어서 4개의 주제별 세부적인 탐색 결과에서는 사전, 단계별 구술평가에서의 평가 요소와 기준의 구체화가, 귀화시험에서는 언어적 난이도를 통한 출제 방법의 측면 등이 문제점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 과정을 통해 시사점을 얻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도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올해 2020년에는 이주민 한국어 교육이 사회통합프로그램으로 일원화될 현시점이기에, 이번 고찰이 적극적인 관련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도 더욱 의미 있는 연구였다고 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has been seeking future developmental insight through crucial discussions and observations of modification on the basis of policies and current statu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valuation for migrants. Foremost, according to the overall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it was apparent that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was being acknowledged as the most effective Korean evaluation tool. Furthermore, despite active improvements in the total of nine types of Immigrant's Korean Evaluation tool, related researches showed tendencies in involving specific researchers and in being a certain research type, such as those for a journal publication.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only the existing evaluations and the discussions on the resolutions for strengthening connections, such as Korea naturalizaton tests, were repeated, instead of holding discussions on verify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In addition, in concern with the results of the four topic-specific investigation,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concretization of the factors and criteria of pre-valuation and step-by-step oral evaluation and the aspects of setting the Korea naturalization test through appropriate adjustment by lingual level of difficulty were problematic. Thus this research has been most worthwhile considering that it was able to propose the potential long term course of direction for it in light of the implications deduced from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process and have provided the foundation for active discussion by 2020 where the Korean education for migrants will have been integrated by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