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방향 중공슬래브에 매립된 이형철근의 부착특성에 관한 변수분석

        강성훈,정주홍,이승창,최창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1 No.9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ond characteristics of deformed bar embedded in biaxial hollow slabs with donut type hollow shapes. Analysis methods conducted with the pullout test methods using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program LUSAS for a parametric study on the bond characteristics of deformed bar embedded in biaxial hollow slabs. The main analyzed parameters were hollow sphere Rectangular type, Ellipse type, Sphere type, Donut typ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비보강 조적벽체의 면내 강체회전 성능에 관한 연구

        강성훈(Kang Sung-Hoon),홍성걸(Hong Sung-Gul),이승준(Lee Seung-Joon) 대한건축학회 201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6 No.12

        This paper presents in-plane seismic behaviors of the rocking-critical unreinforced masonry walls. Reliable approaches to accurately assess the seismic capacity (strength, stiffness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walls a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n addition, the practical strength and stiffness formulas are proposed by modifying the theoretical formulae. In particular, a design chart, predicting the ultimate strength of the walls, is developed using the proposed strength formul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ormulas and the design chart are rationally predict the seismic capacity of the walls.

      • KCI등재

        고대 그리스어 ‘einai’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 비정언적 존재 개념으로서의 ‘있음’과 ‘einai’

        강성훈(Sung-Hoon Kang) 韓國西洋古典學會 2012 西洋古典學硏究 Vol.48 No.-

        본 논문은 그리스어 ‘einai’와 한국어 ‘있다’, 그리고 영어 ‘be’와 ‘exist’를 비교 검토한다. ‘exist’는 정언적 존재를 의미하는데 ‘있다’는 비정언적 존재를 의미하기에 두 개념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지만, 둘의 차이가 상당히 미묘하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exist’에 대한 주장과 ‘있다’에 대한 주장을 혼동하기 쉽다. 반면, 현대 서구어에는 비정언적인 존재를 나타내는 표현이 없는데, ‘einai’는 ‘있다’와 같이 비정언적 존재를 나타내는 표현이기에 서구 학자들은 ‘einai’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처소 문장에서 우리말은 ‘있다’를 사용하지만 영어는 ‘exist’를 사용할 수 없다. ‘있다’는 비정언적 존재 개념이어서 특정 장소에 국한한 존재 주장을 얼마든지할 수 있지만, ‘존재(existence)’는 정언적 개념이기에 이렇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영어는 이런 경우 장소적 계사 ‘is’를 사용하지만, 계사는 독립적 의미를 갖지 않고 단순히 주어와 술어를 연결해주는 허사이다. 어떤 것의 존재를 특정장소에 국한해 주장할 때 영어는 ‘there is’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볼 때 ‘there is’는 비정언적 존재를 주장하는 표현이라고 보기 어렵다. 영어에서 존재사 ‘there is’를 쓰는 경우와 장소적 계사 ‘is’를 쓰는 경우에 모두 우리말은 ‘있다’를 사용하는 것처럼, 고대 그리스어는 양자에 모두 ‘einai’를 사용한다. 또 영어에서는 ‘is’가 아니라 ‘have’를 사용하는 소유 구문에서 우리말은 ‘∼에게 있다’를 사용하듯이 그리스어는 ‘einai’를 사용한다. 명사류 서술문의 경우, 우리말의 ‘∼이다’가 ‘∼으로 있다’와 근본적으로 의미차이가 없고 양자 모두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이라면, 처소와 소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도 비정언적 존재의 의미가 표현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어의 명사류 서술문에서도 ‘einai’가 단순히 주어와 술어를 연결시켜주는 계사의 역할만하는 것이 아니라 정체성을 나타내는 비정언적 존재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하는 사실들이 있다. 이 모든 경우에서 ‘einai’와 ‘있다’는 거의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이지만, 형용사 서술문에서는 양자의 유비가 깨지며, 이것이 우리가 양자를 동일시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된다. 그리스어는 형용사 서술문에 ‘einai’를 사용하지만, 우리말은 형용사가 동사와 비슷한 독립품사여서 ‘있다’나 ‘∼이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스어에서는 형용사가 일종의 명사 상당어이고 우리말에서는 이것이 일종의 동사 상당어라는 사실은 그리스 철학의 어떤 부분들을 이해하는 데 우리에게 심각한 방해요인이 된다. 하지만, 이 부분을 제외하고 보자면, ‘einai’를 ‘있다’와 같이 비정언적 존재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einai’의 애매성과 관련한 해석의 문제들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compare the Greek word ‘einai’ and the Korean word ‘itta’ together with the English words ‘be’ and ‘exist’. ‘Exist’ and ‘itta’ are different in the sense that the former is a categorical concept and the latter represent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But since the difference is very subtle, Korean readers often misunderstand claims about existence for claims about ‘itta’, and vice versa. Likewise, if ‘einai’ represent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like ‘itta’, as I argue it does, Western readers may have misunderstood the true meaning of ‘einai’, because modern Western languages lack any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In locative sentences, you use ‘itta’ in Korean while you cannot use ‘exist’ in English. Since ‘itta’ represents a non-categorical existence, you can assert ‘itta’ with regard only to specific places. But you cannot do that with ‘exist’. You use the locative copula ‘is’ in such cases, and a copula has only grammatical functions and lacks any concrete meaning. Although you can use the locution ‘there is’ in asserting existence of a certain thing in a certain place, in several important respects the locution does not represent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A ‘there is’ sentence and a corresponding sentence with the locative copula ‘is’ are translated into the same Korean sentence using ‘itta’ and the same Greek sentence using ‘einai’. Also, in possessive sentences ‘itta’ and ‘einai’ are used in Korean and Greek. In the case of nominal sentences, if Korean ‘ida’ and ‘~ro itta’ express the idea of identification, a kind of non-categorical existence is meant here as in locative and posse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several facts about ‘einai’ in nominal sentences suggest that it also plays the role of identification. In all those cases ‘einai’ seems to mean almost the same as ‘itta’. But in adjectival sentences, ‘einai’ is used in Greek but there is no corresponding expression in Korean. Adjectives in Korean are like verbs: they can be predicates by themselves. The fact that Greek adjectives are like nouns and Korean ones are like verbs presents a serious obstacle to a clear understanding of some parts of Greek philosophy for Korean readers. With the exception of this aspect, however, taking ‘einai’ a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as ‘itta’ is will help explain away a lot of interpretative difficulties concerning the ambiguity of ‘einai’.

      • KCI우수등재

        플라톤은 심신이원론자였는가?

        강성훈(Sung-Hoon Kang)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4

        플라톤이 심신이원론자라는 생각은 대중들 사이만이 아니라 학계에도 만연하고 있다. 그런데 그러한 생각의 바탕에는 물리주의가 아니면 심신이원론이라는 데카르트적 전제가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물리주의와 심신이 원론을 대비시키는 논의 구도를 플라톤에게 적용시킬 수 없다면, 플라톤을 심신이원론자라고 부르는 것은 일종의 범주착오를 범하는 셈이 된다. 본 논문은 먼저 사람들이 플라톤을 심신이원론자라고 생각하는 몇 가지 이유를 살펴보고, 그 이유들이 충분하지 못함을 밝힌다. 그 다음에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 흩어져 있는 플라톤의 영혼관과 물질관을 살펴보고, 물리주의와 심신이원론을 대비시키는 현대의 논의 틀이 전제하는 물질관은 플라톤의 물질관과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밝힌다. It is commonly believed, not only among ordinary people but also in the scholarly circle, that Plato is a mind-body dualist. But this belief seems to presuppose a Cartesian dichotomy between physicalism and mind-body dualism. If it is improper to apply the dichotomy to Plato, it would be a sort of category mistake to call Plato a mind-body dualist.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 popular reasons for thinking that Plato was a mind-body dualist, and show that they are insufficient. I then make some observations about Plato’s conception of the soul and the matter in his various dialogues.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I show that Plato’s conception of the matter is incompatible with the modern conception of it, which is presupposed in the dichotomy between physicalism and mind-body dualism.

      • KCI등재후보

        파르메니데스의 단편 2에 등장하는 양상문의 역할

        강성훈(Kang, Sung-Hoo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5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4

        파르메니데스는 단편 2에서 사유를 위한 탐구의 길이 둘 있다고 이야기한다. 하나는 ‘있다라는, 그리고 있지 않을 수 없다라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있지 않다라는, 그리고 있지 않음이 필연적이다라는 길’이다. 하지만 여기에 붙어있는 양상문의 역할은 제대로 해명되지 않은 채로 이 두 길은 그냥 ‘있다라는 길’과 ‘있지 않다라는 길’이라고 불려왔다. 본 논문은 파르메니데스가 했던 작업이 맥락-상대적으로 사용되었던 단어인 그리스어 ‘einai(있음)’를 맥락을 초월해서 고정불변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설정하는 작업이었으며, 양상문은 그의 작업이 그러한 성격의 것임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였다고 제안한다. 이렇게 보면, 첫 번째 길은 ‘있지 않음이 섞여있지 않은 것으로서의 있음’의 길이고, 두 번째 길은 ‘있음이 섞여있지 않은 것으로서의 있지 않음’의 길이다. 그러면 ‘있음과 있지 않음이 섞여있는 것으로서의 의견의 길’의 지위가 분명해지며, 파르메니데스의 시에 등장하는 길이 모두 몇 개이며 단편의 각 부분이 어떤 길에 해당하는지와 관련한 많은 혼란이 해소될 수 있다. In Fragment 2, Parmenides says that there are two ways for thinking. One is the way that it is and that it is not possible not to be, and the other is the way that it is not and that it is necessary not to be. However, these two ways have been called the way that it is and the way that it is not, without proper explications of the existence of the modal parts. This paper suggests that what Parmenides did in his poem was to set up the Greek word einai (to be) as having a context-independent meaning, and that the modal parts were the device to show that he was doing just that. With this understanding, the first way turns out to be the way of being that is free of non-being, and the second way to be the way of non-being that is free of being. The status of the way of Doxa, then, becomes clear as the way that combines being and non-being, and the confusions about how many ways there are in Parmenides’ poem and about which part of his poem belongs to which way can be explained away.

      • KCI등재
      • KCI등재

        플라톤에서 영혼의 기개적 부분과 분노

        강성훈(Kang, Sung-Ho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7 No.-

        플라톤은 영혼을 세 부분으로 나누며, 이 중 두 번째 부분을 ‘그것을 통해서 화내는 부분’이라고 규정한다. 이성과 정념의 이분법적 대비라는 오랜 전통 속에서 화내는 부분의 독립성은 항상 문젯거리였으나, 플라톤은 자신이 화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아서 그가 화라는 감정을 특별대우하는 정확한 이유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노 규정을 안내자로 삼아서 플라톤이 분노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지를 추적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분노를 얕잡아 보임을 당해서 그에 대해 보복하려는 욕구라고 규정한다. 이러한 규정은 너무 좁은 규정이어서 분노에 대한 플라톤의 생각을 온전히 반영할 수 없다. 하지만 플라톤이 분노와 관련해 언급하는 사례들을 고려해서 이 규정을 확장시키다보면, 우리는 ‘나쁜 것으로 지각된 일이 발생했을 때, 따져봄의 작업 없이 즉각적으로 제시된, 그것을 바로잡는 것으로 보이는 방향 쪽으로의 영혼의 움직임’라는 분노 규정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정은 플라톤이 화내는 부분을 독립적인 부분으로 설정하는 것에 정당성을 부여하며, 이 부분을 또 명예를 사랑하는 부분이라고 부르는 이유에 대해서도 그럴 듯한 추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In dividing the soul into three parts, Plato defines the second(spirited) part as the part by which we get angry. Within the long tradition of a dichotomy between reason and passion, the independence of the angry part has always been problematic. Plato, however, does not explicate what he thinks of anger,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reasons for his special treatment of this particular emotion. This article seeks to shed light on Plato’s understanding of anger by using Aristotle’s definition of anger as a guide. Aristotle defines anger as a desire for retribution against apparent slights. This definition is too narrow to fully accommodate Plato’s ideas about anger, but if we extend this definition to incorporate Plato’s remarks about anger, we are able to arrive at a definition of anger as the movement of the soul towards the direction, offered uncalculated, of correcting a perceived badness. This definition justifies the independence of the angry part of the soul and allows reasonable conjecture as to why Plato calls the angry part the honor-loving p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