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양파의 Quercetin 관련 물질의 분리 기술 개발 - 1. 양파의 Quercetin 관련 물질의 함량과 안정성

        강성구(Seong-Koo Kang),김용두(Yong-Doo Kim),현규환(Kyu-Hawn Hyun),김영환(Young-Whan Kim),송보현(Bo-Hyeon Song),신수철(Soo-Cheol Shin),박양균(Yang-Kyu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4

        양파 착즙후 부산물인 고형물(양파박)과 양파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인 quercetin 관련물질을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양파의 유리 quercetin 관련물질의 함량과 이 성분들의 열, 빛 및 pH에 대한 안정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파의 부위별 유리 quercetin 관련물질의 함량은 비가식부위가 317.99㎎%로 가식부위의 4.10㎎%보다 77배 이상 풍부하였다. 생양파를 압착하여 착즙한 착즙액과 양파박에 함유된 유리 quercetin 관련물질의 총 함량을 보면 2.26㎎%와 1.57㎎%를 보였으며, 양파를 8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압착하여 착즙한 착즙액과 양파박에 함유된 유리 quercetin 관련물질의 총 함량은 2.96㎎%와 1.30㎎%로 각각 나타났다. 양파에 다량 함유된 quercetin 물질에 대한 열 안정성은 2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해도 비교적 안정하였으며,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시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8시간에는 0시간보다 10~15%의 감소량을 보였다. pH용액에 대한 안정성은 quercetin은 강산 및 강알카리에서도 비교적 안정하였다. quercitrin과 rutin은 강산에는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use onion (Allium cepa L.) residue as raw materials of food products, contents and stability of quercetin-related substance in onion were investigated. The amount of quercetin-related substance of onion was richer in the inedible portion(317.99㎎%) than the edible portion(4.10㎎%). Total quercetin-related substances of juice and residue from fresh onions were 2.26㎎% and 1.57㎎%, respectively, but they were changed to l.50㎎% and 2.96㎎% by heating at 80℃ for 10min. Quercetin was found to be stable at 200℃ for 60 min, but it was unstable to light. When it was illuminated with 30W, the content was decreased and reached to 80~85% of the original content after 48 hours. Quercetin was not affected by pH, but quercitrin and rutin were unstable below pH 5.

      • SCOPUSKCI등재

        동백종실(Camellia japonica L.)과 유박의 일반성분, 사포닌 및 아미노산 조성

        강성구(Seong-Koo Kang),김용두(Yong-Doo Kim),최옥자(Ok-Ja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2

        동백종실과 유지를 착유하고 남은 “박(泊)”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식품학적 가치를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동백종실 자체를 이용한 식품의 개발과 유박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일반성분, 사포닌 및 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동백종실의 경우 조지방이 65.75%로 가장 많았으며, 조단백질은 8.44%, 수분과 회분은 4.06%와 5.28%로 각각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압착법과 hexane으로 지방을 추출한 동백유박은 조지방은 거의 없었으며, 조단백질이 17.49%, 수분이 10.31% 및 회분이 5.28%로 나타났다. 동백종실의 사포닌의 함량은 비색법으로 정량한 경우 조 인삼사포닌과 조 사이코사포닌은 각각 108㎎%, 0.42㎎%로 각각 나타났으며, HPLC를 사용해서 분석한 홍삼사포닌의 함량은 40.3㎎%로 나타났다. 총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종설이 7,851㎎%, 유박이 13,002㎎%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의 종류는 17종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의 조성은 glutamic acid가 1,784.84㎎%로 함량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arginine이 766.29㎎%, aspartic acid가 658.09㎎%, leucine이 573.66㎎% 순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동백종실의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29.27%이었다. To furnish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of camellia(Camellia japonica L.) seeds as a raw material of industrial products,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seeds and defatted camellia seed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fat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camellia seeds were 4.06%, 1.83%, 65.75% and 8.44%, respectively. Defatted camellia seeds indicates that it contains 10.31% moisture, 5.28% crude ash and 17.49% crude protein while no crude fat was detected. The crude ginseng saponin, crude saikosaponin and red ginseng saponin contents of camellia seeds were 108.0㎎%, 0.4㎎% and 40.3㎎%,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camellia seeds and defatted camellia seeds were 7,851㎎% and 13,002㎎%, respectively,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rginine, aspartic acid and leuc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f camellia seeds was 0.29.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갓(Brassica juncea)의 항균물질의 분리 및 항균성

        강성구(Seong-Koo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5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난 갓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계통 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항균활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중의 주항균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갓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프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순으로 용매계통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세균의 경우 대부분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에서 나타났으며,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효모의 경우는 세균과는 달리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갓 에탄올 추출물 분획물 중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을 이용해서 분리ㆍ정제하여 단일물질의 화합물A를 얻었으며, 이 물질의 항균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균성 보다도 9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The ethanol extract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exhibiting high antimicrobial activities was fractionated in the order of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to test antimicrobial activity.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for the bacteria tested was found in the ethylacetate fraction, but a lesser extent in the butanol fraction. In contrast to antimicrobial activity for the bacteria, both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showed weak antimicrobial activity for yeasts. Unknown compound A in the ethylacetate fraction which exhibit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was isolat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and exhibited 9 times more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e ethyl acetate fraction.

      • SCOPUSKCI등재

        갓(Brassica juncea)의 에탄올추출물이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강성구(Seong-Koo Kang),성낙계(Nack-Kie Sung),김용두(Yong-Doo Kim),이재근(Jae-Keun Lee),송보현(Bo-Hyeon Song),김영환(Young-Whan Kim),박석규(Seok-Ky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6

        갓 중의 항균성 물질을 검색할 목적으로 에탄올추출물이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전자현미경에 의한 세균의 형태변화를 살펴보았다. 갓 에탄올추출물의 농도별 항균활성은 대부분의 그람 양성균에서 10㎎ / ml로 강하게 나타났으며, 그람 음성균의 경우는 20㎎ / ml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젖산균 및 효모에서는 40㎎ / ml로 세균에 비하여 항균력이 약하게 나타났다. 갓 에탄올추출물이 미생물의 대수증식기에 미치는 영향은 E. coli와 S. aureus 두 균주 모두 20㎎ / ml 이상의 첨가시는 4시간 이후부터 균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갓 에탄올추출물로 처리한 E. coli와 S. aureus 두 균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람 음성균인 E. coli의 경우는 균체표면이 불규칙적으로 수축된 형상을 보였고,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의 경우는 균체가 팽윤되고 타원형으로 변형되어 두 균주 모두 심한 형태학적인 변화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To develope natural food preservatives, ethanol extract was prepared from the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Cos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12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 borne pathogens and / or food poisioning microorganisms and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The most active antimicrobial concentration of the ethanol extract for most Gram positive microorganisms, Gram negative microorganisms, and lactic bacteria and yeasts was found to be 10, 20 and 40㎎ / ml, respectively, when tested by a dose response manner. Growth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completely inhibited 4 hours after the addition of more than 20㎎ / ml of ethanol extract to the logarithmic phas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of E. coli and Staph. aureus treated with ethanol extract exhibited morphological changes, including the irregularly contracted cell surface of E. coli and expanded ellipsoidal shape of the Staph. aureus.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갓(Brassica juncea)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

        강성구(Seong-Koo Kang),성낙계(Nack-Kie Sung),김용두(Yong-Doo Kim),신수철(Soo-Cheol Shin),서재신(Jae-Sin Seo),최갑성(Kap-Seong Choi),박석규(Seok-Ky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6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옛 부터 김치재료, 조미료 및 향신료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십자화과 엽경채소류 중의 하나인 갓(Brassica juncea Coss.)을 대상으로 물과 에탄올로 항균성물질을 추출하여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및 효모 등 15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갓 에탄올 추출물은 실험에 사용된 대부분의 균주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는데, 특히 Bacillus subtilis 와 Bacillus natto의 최소 생육저해 농도가 10㎎/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물 추출물은 세균과 효모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최소 생육저해 농도는 40~60㎎/ml로 나타나 항균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1 / 3~1 / 6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갓 에탄올 추출물 중의 항균활성 물질은 121℃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활성이 유지되었으며 pH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To develope natural food preservatives,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the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Cos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15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 borne pathogens and / or food poisioning microorganisms and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Ethanol extract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the microorganisms tested, especiall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for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natto were as low as 10㎎ / ml. MIC of water extract was 40~60㎎ / ml for bacteria and yeast. The ethanol extract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by 3~6 times higher than the water extract.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not destroyed by the heating at 121℃ for 15min and not affected by pH.

      • SCOPUSKCI등재

        갓(Brassica juncea) 추출물의 항균물질이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의 균체 성분의 조성 및 누출에 미치는 영향

        강성구(Seong-Koo Kang),김용두(Yong-Doo Kim),박석규(Seok-Ky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2

        항균효과가 있는 갓 에탄올 추출물을 S. aureus와 E. coli 두 균주의 배양액에 처리하여 균체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 및 균체성분의 누출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대수증식기에 갓 에탄올 출추물 첨가에 의한 균체 지방산 조성비의 변화는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E. coli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palmitic과 oleic acid 함량은 증가한 반면 palmitoleic acid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 aureus 경우는 palmitic과 margaric acid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지방산은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대수증식기에 갓 에탄올 추출물 첨가에 의한 균체 아미노산 성분은 전반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나 E. coli의 경우는 proline, glycine, valine 및 histidine 등이 증가하였으며, aspartic acid, glutamic acid, tyrosine 및 arginine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 aureus 경우는 proline, methionine 및 histidine 등이 증가하였으며,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tyrosine 및 lysine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갓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서 균체성분인 단백질과 260㎚ 흡수물질의 누출은 E. coli와 S. aureus 두 균주 모두 40㎎/ml의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단백질은 1.02, 0.22㎎/g, 260㎚ 흡수물질은 0.12, 0.06㎎/g으로 누출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항균성 물질에 의한 균체의 막구조의 손상이 초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develope natural food preservatives,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leaf mustard against E. coli and S. aureus were examined in terms of compositions and leakage of cellular materials in the microorganisms treated with the extract. No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extract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E. coli and S. aureus at logarithmic phase was showen, but the content of palmitic and palmitoleic acid of E. coli slightly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palmitic and margaric acid of S. aureus sligh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each control. Ethanol extract did not affect most of the amino acids E. coli and S. aureus at logarithmic phase ; however, some of them (proline, glycine, valine and histidine of E. coli and proline, methionine and histidine of S. aureus) were elevated and some other amino acid (aspartic acid, glutamic acid, tyrosine and arginine of E. coli and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nd lysine of Staph. aureus) found to be decreased. The amount of cell body protein leaked from E. coli and S. aureus increased to 1.02 and 0.22㎎/g cell weight, respectively, as compared to controls. Similarly, the substances with absorbance at 260㎚ from E. coli and S. aureus increased to 0.12 and 0.06㎎/g cell weight,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