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퍼바이저와의 협동관계가 사회복지사(수퍼바이지)의 업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강선경(Kang Sun Ky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작업(Work Alliance)으로 개념화된 바와 같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업무만족(Working Satisfaction)과 소진(Burnout)에 관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간의 협동관계(Corporative Relationship)의 효과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종합 사회복지관 및 상담 센터를 중심으로 68명의 수퍼바이저와 80명의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이용하여 독립변수(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간의 협동관계)가 종속변수(업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수퍼바이지가 수퍼바이저에게 가진 친밀한 느낌이 그들의 업무만족과 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간의 협동이 당연히 소진 정도를 낮추는 것과 연관되어서는 통계적인 유의미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업무만족과 소진 간에는 반비례적인 부의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upervisory relationship, conceptualized as working alliance, on social workers' working satisfaction and burnout. The consented participants were 68 supervisors and 80 supervisees working at Social Servic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es of survey results from supervisors (n=68) and workers (n=80) revealed that the workers' sense of rapport with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is related to working satisfaction. While it was expected that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would also relate to levels of burnout, no association was found in the analyses. However,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upervisees' feelings of rapport within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bo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The implication of future research and of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added.

      • KCI등재

        HIV 보유자들의 자조공동체 생활경험과 낙인벗기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강선경(Kang, Sun Kyung),이근무(Lee, keun M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4

        본 연구는 HIV에 감염된 남성 동성애자 9인의 자조공동체 경험에 대한 연구로 근거이론 (grounded theory) 접근으로 그들의 공동체 맥락 속에서의 생활경험을 분석하였다. HIV 보유자들의 생활경험 내용과 이로 인해 야기된 문제, 구체적인 대처전략의 수립과 수행 및 영향요인 등을 일련의 과정틀 속에서 분절하는 동시에 총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접근이 요구되기에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 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한 9명의 연구참여자들을 심층면접한 결과 149개의 개념을 구성하였으며 37개의 하위범주와 13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자조공동체 생활경험의 핵심은 ‘폐허에서 연대하여 부르는 재기의 노래’로 나타났다. This study,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analyzed living experiences of 9 homosexual PL(people living with HIV) in the context of their self help community. The researchers used grounded theory since this study need to explain the process of serial events segmentally and totally such as PL’s living experiences, problems caused from these experiences, the specific strategies’ impact on their self help life.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 nine participants who had consented to the participation in the study. Through the interview, 149 meaningful concepts were derived and these concepts were then classified into 37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of self help communal living was ‘struggle to regain their lives in solidarity with each other from the ruin’.

      • KCI등재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의 알코올중독 경험과정 연구

        강선경(Sun-Kyung Kang),노지현(Ji-Hyun R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1

        본 연구는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의 알코올중독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재활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는 7명의 남성 이주노동자로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총 97개의 개념, 24개의 하위범주와 10개의 범주로 드러났다. 이 범주들을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한 결과, 인과적 조건은 ‘코리안 드림의 좌절’과 ‘체류 불안을 떨치기 위한 음주’, 맥락적 조건은 ‘생존을 위한 문화모방’과 ‘만연된 음주 풍속’, 현상은 ‘자기분열’, 중재적 조건은 ‘용도 폐기된 존재’와 ‘궁박함’, 작용/상호작용은 ‘흙탕물 튕긴 옷 증후군’과 ‘주변부에서의 반발심’, 결과는 ‘온 몸에 박힌 비난의 화살’로 드러났다. 연구참여자들의 알코올중독 과정은 ‘자기점검’ 단계, ‘혼란’ 단계, ‘자포자기’ 단계, ‘일상의 붕괴’ 단계를 거치면서 한국이라는 땅에서 자리 잡지 못하고 유리된 존재로 전락하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의 알코올중독 예방,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사회복지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lcoholism of Muslim immigrant workers and to provide with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Participants were 7 male Muslim immigrant worker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by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s, 97 concepts, 24 subcategory and 10 category were derived in open coding. In Axial coding, casual conditions were ‘The frustration of the Korean dream’ and ‘Being drunken for forgetting the anxiety to stay’. Contextual conditions were ‘The cultural imitation for the survival’ and ‘Widely customs about generous drinking’. Phenomenon was ‘self-dissolution’. Intervention conditions were ‘Destitution’ and ‘Worthless existence’. Strategies were ‘The syndrome like the clothes being muddy water’ and ‘Resistance as the aliens revolving on the periphery’. Consequence was ‘The arrow of blame the whole body studded’. In Selective coding was ‘Seeking for the solution to live together with anonymous existence who came alongside us but unfamiliar to us’. In the process analysis, as time goes on, the Muslim immigrant workers, who were addicted to the alcohol, changed during the four stage: the stage of self inspection, the stage of confusion, the stage of self-abandonment and the stage of the collapse of the daily life. Accordingly, they were ruined to the isolated existence who failed to settle in Korea. Based on the study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help the Muslim immigrant workers who became the alcoholism to rehabilitate, to treat and to develop a better quality of their lives.

      • KCI등재후보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선경(Kang, Sun Ky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5 생명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HIV/AIDS 감염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고,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이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추출한 260명으로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쉼터 및 보건소에서 관리를 받고 있는 HIV/AIDS 감염인들로서,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 삶의 질을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평균비교, 다중회귀분석 등의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성보다 여성이, 종교가 없는 감염인이, 서비스업 종사자가 기타 업종 종사자들보다 사회적 낙인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보다 여성이, 종교가 있는 감염인이 영성 점수가 높게 나왔다. 셋째, 종교가 있는 감염인이,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영성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에서 사회적 낙인을 덜 느낄수록, 영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감염인들의 삶의 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 및 후속연구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us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to identify social stigma, spirituality,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living with HIV/AIDS(hereinafter, "PL") and to assess the impact of these factors upon their quality of life. The study took purposive sampling and survey of 260 PL who were living in the shelter and under care of the outpatient health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of social stigma, spirituality,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scales. Using a SPSS program,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L who were female, no religion, employed in service areas turned out to recognize negative social stigma. Second, PL who were female and had religion turned out to have higher spirituality. Third, it appeared that PL, who had religion,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and higher spirituality were higher self-esteem. Further,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PL, who had higher negative social stigma, higher spirituality and higher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higher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활동과 죽음에 대한 공포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강선경 ( Kang Sun Ky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保健社會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사용하여 노인들의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변수들, 노인들의 사회활동, 죽음에 대한 공포 간의 관련효과를 분석하여 노인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본 정보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217명의 노인이다. 본 연구는 2010년 2월 22일부터 3월 15일 사이에 수행되었으며, 노인성 우울, 사회활동, 그리고 죽음에 대한 공포를 포함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들 중에서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연령, 결혼상태, 교육, 건강상태, 경제적 상태, 퇴직 이후의 기간, 부양자 유무였다. 둘째, 노인 우울 정도는 사회활동 수준과는 반비례 관계가 있는 반면, 죽음에 대한 공포와는 정비례 관계에 있었다. 셋째, 노인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는 교육, 건강상태, 경제적 상태, 참여하는 집단의 수, 고통스러운 죽음, 사후의 삶에 대한 기대감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통해 사회복지 실무에 미치는 함의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relevant socio-demographic variables, is to identify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 counseling programs by analyzing the relativ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social activities, and fear of death on the level of geriatric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217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22nd and March 15th of 2010,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ocial Activities Scale, and Fear of Death Scale. Using SPSS/WIN15.0 software,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among the relevant socio-demographic variables,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health condition, economic status, the period of retirement, and support provider affected depression in elderly individuals. Second, geriatric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b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ear of death. Third, education, health condition, economic status, number of social groups, painful death, and life after death were predictiv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s findings on social work practice a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om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 KCI등재

        노년층의 인터넷 중독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완전매개

        강선경(Sun Kyung Kang),이춘희(Choon Hee Lee)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3

        본 연구는 노년기의 인터넷 중독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으로 65세 이상 노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분석은 Hayes(2018)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접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노년층의 인터넷 중독과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첫째, 인터넷 중독은 노인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중독은 생활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인 인터넷 중독과 우울을 함께 투입할 경우, 인터넷중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노년기의 인터넷 중독은 생활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우울을 완전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인터넷 활용의 적정선을 유지하는 것과 우울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노인 복지서비스 개발과 일상 자원의 확장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노년기의 연령대별 특징을 파악하여 각기 다른 적절한 대안이 필요하며, 인터넷 중독 노인 대상의 집단상담 치료와 주요 도움 자원인 가족을 포함한 가족상담치료 프로그램 실시를 국가보험으로 체계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인터넷 중독과 우울의 잠재적 위험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예방적인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 등의 제언과 한계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seniors with Internet addiction. To this end, 286 people aged above 65 old were surveyed onlin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ayes (2018)'s PROCESS macro. The verification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by performing the bootstrap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In summary, first, Internet addi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Internet addic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when Internet addiction and depression, which are independent and mediating variables, were put together,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on life satisfaction did not appea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nternet addiction in seniors affects depression as a complete medium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Internet use should be maintained to a healthy degree, and to prevent and treat depression,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daily resources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different appropriate alternatives are needed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e group within seniors. It was also proposed to systematize group counseling treatment for the elderly addicted to the Internet and provide family counseling treatment programs. In addition, suggestions and limitations such as customized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each preventive case for the elderly at potential risk of Internet addiction and depress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A Study of Impact of Social Activities and Religion/Spirituality on Depression and Life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Kang, Sun Kyung(강선경),Kim, Hun Jin(김헌진)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2

        본 연구는 65세에서 80세 사이의 연령대에 있는 서울/경기지역 노인복지센터에 참여하는 217 명의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활동, 종교적 경험, 영성 수행 등이 노인 우울증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종교 및 영성에 관련된 변수는 일상적 영성 경험, 가치관, 관용, 개인의 종교활동, 종교 및 영적 수양, 종교적 지지 등 여섯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측정되었다. 사회활동과 종교 및 영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활동척도 (Social Activities Scale)와 종교/영성 다중체계 척도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sity/ Spirituality)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증측정을 위해서는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적용하는 동시에 삶의 만족도 측정은 삶의 만족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사용하였다. 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분석한 연구결과, 높은 수준의 종교 및 영적 수양, 사회활동, 높은 소득수준, 낮은 수준의 일상적 영성 경험이 노인들의 우울증 발생에 낮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일수록, 고령일수록, 사회활동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assessed the manner in which social activities, religious experiences, and spiritual practices related to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217 Korean elderly individuals, aged 65 to 80. The Social Activities Scale and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sity/Spirituality were employed to assess social activities and six domains of religiosity/spirituality: daily spiritual experiences, values, forgiveness, private religious practice, religious/spiritual coping, and religious support. In addition, depression was assessed with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life satisfaction with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lower depression scores were predicted by higher levels of religious and spiritual coping, social activities, higher income, and lower daily spiritual experiences. In addition, identifying as female, advanced old age, and lower social activities predicted lower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s findings on social work practice a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om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복지시설을 퇴소한 저소득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 완화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강선경 ( Sun Kyung Kang ),김미숙 ( Mee Sook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41 No.-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복지시설을 퇴소한 저소득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 완화 과정은 어떠한가?”이다. 이 연구문제는 질적연구방법론 중에 하나인 근거이론으로 접근되었다. 본 연구에 선정된 참여자는 모자가족복지시설을 퇴소한 저소득 모자가족 9명이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사회적 배제 완화경험을 관통하는 핵심범주는 ..복지수급 경험에서 자신의 삶에 대한 인식개선을 이루어 당당한 사회인으로 포섭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 완화 과정에서 나타난 범주들로서, 인과적 조건은 ‘바닥을 치는 경험’, ‘기회를 두드림’, ‘인식의 전환’으로, 중심 현상은 ‘삶의 방향성 회복: 마음이 부요하고 당당한 삶을 추구함’으로, 맥락적 조건은 ‘도덕적 민감성’으로, 중재적 조건은 ‘사회적 지원’, ‘민간시장에 의지’로, 작용 및 상호작용 전략은 ‘능력계발’, ‘정서적 지지’, ‘관계의회복’으로, 결과는 ‘사회적 포섭’, ‘자립생활에 적응’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범주를 바탕으로 본 연구 참여자들은 ‘바닥을 치는 경험’, ‘기회를 두드림’, ‘인식의 전환’, ‘마음의 부요함을 배움’, ‘가족역량강화’, ‘당당한 사회인’, 이라는 여섯 단계의 사회적 배제 완화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유형은 복지참여형, 자기계발형, 가족탄력형, 정서회복형, 진동형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using ground theory approach, aims to find out “what is the process for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among low income single mother families after discharge from the welfare facility.” For this purpose,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have been discharged from welfare facilit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re category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experience of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was “becoming reinstated into the society through improving one`s self-awarenes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welfare benefit”. The categories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of low income single mother families after discharge from welfare facility are classified as follows. The causal conditions are ‘hitting rock bottom’, ‘reaching out for opportunity’ and ‘change in awareness’. The phenomenon is ‘regaining a sense of direction in life: pursuing a life of contentment and dignity’. The context is ‘moral sensitivity’, The intervening conditions are ‘social support’ and ‘aid from private market’. The action/interaction are ‘development of competence’, ‘emotional support’, and ‘recovery of relationships’. Finally, its consequences are classified as being ‘social inclusion’, and ‘adjusting to independent life’. Based on these categori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ix subprocesses of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the stages of ‘hitting rock bottom’, ‘reaching out for opportunity’, ‘change in awareness’, ‘learning to be content’, ‘family empowerment’, and ‘becoming a proud member of society’. In addition, the lives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fall under five types: ‘welfare participatory type’, self-enriching type, ’family resilience type’, ’emotional balance restoring type‘ and ’oscillating type’.

      • KCI등재

        청년의 자존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사회적 고립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선경(Kang, Sun-Kyung),이석환(Lee, Seok-Hwa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자존감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사회적 고립감 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생명문화연구소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 실태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0․30대 청년 총 606명이 분석에 반영되었다. 분석방법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따랐으며, 상관관계분석, 이항 로지스틱회귀분석, 다항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로는 Stata 14.2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1단계 분석에서 독립변수인 자존감은 종속변수인 인터넷 중독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2단계 분석에서 독립변수인 자존감은 종속변수인 사회적 고립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3단계 분석에서 자존감과 사회적 고립감을 회귀식에 동시에 반영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고립감은 자존감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인과적 매개효과 추정 분석결과 총 효과에서 매개효과의 비중은 11.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존감이 낮은 청년들은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고, 자존감이 낮을수록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고립감이 높아지며, 코로나19 사회적 고립감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the experience of social isolation caused by the Covid19 incident affects you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Internet addiction. For the research, we used the "2020 Survey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Life Culture Institute" data, and a total of 606 youth ca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followed Baron and Kenny(1986) model of statistical mediation, and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ata 14.2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In the first-stage analysis,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and in the second-stage analysis,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isolation. In the third-stage analysis, self-esteem and social isolation were simultaneously reflected in the regression equation and found that social isol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Internet addiction. An analysis of estimates casual mediated effec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mediated effects in the total effect was 11.2%. The results suggest that youth with low self-esteem are more likely to fall into Internet addiction and the lower their self-esteem, the higher the social isolation caused by Covid19, and the higher the social isolation,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falling into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is, we suggest policy proposal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ternet addiction for y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