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필리핀 결혼 이주 여성의 “엄마 되기”: 경험을 중심으로 본 정체성의 문화정치

        강미연 ( Mi Youn Kang ),장인자 ( In Ja Jang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9 현대사회와 문화 Vol.28 No.-

        본 논문은 전지구적 자본주의라는 경제질서 속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이주의 여성화’, 특히 결혼이주여성들의 재생산 경험이 어떠하며, 그러한 재생산 및 ‘엄마되기’의 경험이 어떻게 해석되어질 수 있는지를 전북 장수군과 경기도 안양에 거주하고 있는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주여성들의 이주행위, 출산 등의 삶의 경험을 개인적인 의사결정에 의해 행해지는 미시적인 측면만으로는 해석할 수 없다. 거기에는 송출·수용국의 이주정책, 출산정책 및 경제적 상황 등 여러 가지 구조적 측면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본 논문은 그들에게 당연한 의무로 내면화되는 출산과 양육 등의 돌봄노동이 전지구적 위계질서 속에서 열등한 위치에 처해 있는 여성들에게 ‘강요’된 노동이라는 ‘피해자’의 단일한 관점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학자들의 주장에 동의하면서, 그들의 선택과 삶이 주체의 미래 전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주목하여 경험을 중심으로 한 정체성의 문화정치의 관점에서 한국에서의 그들의 삶, 출산, 양육, 돌봄 노동의 경험을 해석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reproduction experience of Filipino marriage migration women and how to interpret their `mothering experience`. The method of the paper is the depth interview with the Filipino women who live in Jangsu and Anyang. Their life experiences, such as the decision of migration, childbirth and so on, are not just seen in terms of micro aspect and not regarded as personal choices. Because those are affected by the structural aspect, like the migration policies of sending and receiving countries, childbirth policy and economical status. However, this paper adapts the stance on that those women and their internalized caring work cannot be represented as just `victims` and subordinated people in the global hierarchy.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interpret how their life experiences and choices in Korea, such as childbirth, rearing and caring work, influence on their future prospect focused on the aspect of cultural politics of identity.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들의 행위자성과 평생교육의 지향점 모색

        나윤경(Nah, Yoon kyeong),강미연(Kang, Mi Youn),장인자(Jang, In Ja),허수연(Heo, Su Ye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결혼 이주’여성들에게 월경(月境)에 대한 욕망을 형성하는 세계화 맥락과, 필리핀의 경제구조 및 이민정책으로 인한 욕망 추동의 지형, 그리고 결혼생활의 경험을 통해 발현되는 결혼 이주에서의 행위자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행위자성에 대한 강조는 결혼 이주 여성들을 위해 실시되는 다양한 평생교육적 기획이 지금까지 매스컴이나 문헌들이 드러낸 것처럼 그들을 수동적인 소수자로 인식함으로써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할지만을 고민하고 있는 것에대해 성찰적 지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다. 평생교육은 그녀들의 잠재 능력을 함양하는 것은 물론 그녀들의 존재로 인하여 한국 사회가 어떤 방식의 발전과 성장을 ‘변화’라는 이름으로 이루게 될 것인가,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그녀들과 그녀들의 한국 가족들을 위해 어떠한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한국으로 결혼 형태로 이주해 들어온 여성들의 행위자성을 드러내면서 그녀들을 위한 평생교육적 기획이 목표로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모색한다. This study reveals the ‘agentship’ of Philippine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through marriage to Korean men. These women’s agentship has been exercising in the process of planning, practicing, and experiencing ‘crossing over the nation boards’ and their marriage to foreign men. Revealing theses women’s agentship is intended to reflect on existing educational projects targeted on them, which recognize these women just as ‘passive minorities’, make an effort to enlighten them, and help them adopt to Korean society. However, authors insist that lifelong education needs to work on marriage-immigrant women with a framework which takes in their ability to bring about ‘changes’ to Korean society. At a micro-level, inter-adaptation should be taking place between these women and her Korean family members, and marriage-immigrant women and Korean society at a macro level as well. Lifelong education is required to intervene with this process and help Korean society re-born into a space where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can lead ‘fair‘ lives among themselves, Philippin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interviewees provide lifelong educators with insights on how to and what to do with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within Kore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혼자들의 '외도'를 통해서 본 한국 사회의 가족, 그 평생교육학적 의미

        나윤경(Nah, Yoon Kyeong),박은실(Bark, Eun Sil),강미연(Kang, Mi Youn),서정미(Suh, Jung M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4

        자기계발만이 최고의 가치가 되어 가고 있는 신자유주의 맥락에서 '영혼의 위안처'로서의 위치를 가져 왔던 가정이 부부에게 갖는 의미는 어떤 것일까? 특히 신자유주의 시대에 중산층 가정에서 일고 있는 변화는 자녀의 계층을 유지, 상승시키기 위해 돈 버는 기계로 변한 아버지, 교육 매니저로 변신한 어머니가 두 영역간 역할 차이를 더욱 공고히 하며 가정을 자녀 중심의 '사교육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도구적 공간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이제 아무도 가정에서 위로 받을 수 없으며, 자녀를 중심으로 한 중산층의 사교육 프로젝트는 남편의 경제력과 아내의 정보력만을 요구할 뿐이므로, 부부간의 대화는 물론 다툼도 적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그렇다면 지금 사람들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가능하게 하는 '친밀감'이라는 가치를 가정 내에서,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가정 밖에서 어떻게 만들고 경험하고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만일 친밀감과 사랑이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전유되고 있다면, 그것은 평생교육학적 관점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게 되는가라는 질문도 던진다. '인적자원개발'이라는 명분으로 신자유주의의 자기계발 담론에 저항적 실천이나 담론을 펼치지 못한 평생교육학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 성찰이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In the context where the ideology of 'self-development' is counted the most, what does 'home', which once meant to be 'the shelter of the soul', mean by to married couples in the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changes taking place in Korean middle-class families in the Age of neo-liberalism are that husbands and wives became instrumental for escalating their children's socio-economic class and resulted in reinforcing the division of gender labor and turing home into an instrumental place where "after-school private education" is brought about. No one is being taken care of in home and no one is arguing or fighting at home because the project of "after-school private education" requires only husbands' economic and wives' informational ability. In this vein, researchers ask where Korean married couples obtain 'intimacy' which we think makes human beings social beings; if home is not the place where intimacy can be found, elsewhere they seek for it. If intimacy is appropriated by those who are "outside" the marriage, what does this mean by to life-long education.

      • 아토피피부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질병인지도 변화

        염혜영 ( Hye Yung Yum ),한기옥 ( Ki Ok Han ),박지애 ( Ji Ae Park ),강미연 ( Mi Youn Kang ),장석일 ( Suk Il Chang ),조상헌 ( Sang Heon Cho ),편복양 ( Bok Yang Pyun ),나영호 ( Yeong Ho Rha ),김규한 ( Kyu Han Kim ),윤호주 ( Ho Joo Yo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2 천식 및 알레르기 Vol.32 No.1

        Background: Education programs are essential in improving disease 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their families by promoting disease knowledge. In these perspectives, the Seoul Atopy Asthma Education and Information Center has been established under the project ``Atopy-free Seoul`` by Seoul City since 2008. Our goal is an improvement in public health through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and counseling activities based on scientifically proven medicine. However,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redeem configu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an education program of atopic dermatitis for optimal disease management. Methods: An education program for citizens was designed by the advisory organization of Korean Asthma Allergy Foundation.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education program, 9 questionnaires about disease knowledge were developed.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and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ducation. Results: In 5 sessions, 359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on disease knowledg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5 out of the 9 questions. This result prov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isease knowledge of atopic dermatitis. Conclusion: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sease knowledge after education of atopic dermatitis supports the need and feasibility of education programs for citizen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2;32:21-2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