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 생태계에서 영농방법이 미꾸라지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강기경 ( Keekyung Kang ),한민수 ( Minsu Han ),조광진 ( Kwangjin Cho ),남형규 ( Hyungkyu Nam ),나영은 ( Youngeun Na ),김미란 ( Miran Kim ),김명현 ( Myunghyun Kim ),최락중 ( Lakjung Choe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본 연구는 영농방법에 따른 미꾸라지개체군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 국 8지역의 유기재배 및 관행재배 논에서 미꾸라지와 저서무척추동물을 채집하였다. 조사지역에서 포획된 미꾸라지는 총 1,882개체였으며, 영농방법별로 유기재배 논에서 1,333개체, 관행재배 논에 서 549개체가 조사되었고 2.4배 차이가 확인되었다. 조사지역별로는 주변 자연환경조건이 좋은 문 경시와 안성시의 미꾸라지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지역에서 채집된 저서무척추동물은 3문 6 강 19목 46과 68속 74종으로 유기재배 논에서 3문 6강 17목 41과 62속 66종이, 관행재배 논에서 3문 6강 18목 42과 60속 66종이 확인되었다. 우점종으로는 깔다구류, 새각류, 패형류, 요각류 등이 있었고 영농방법별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꾸라지의 개체수와 저서무척추동물 중에서 미꾸라지의 주요 먹이원인 깔다구류, 요각류, 새각류를 비교해 본 결과, 깔다구류, 요각류 및 새각류의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꾸라지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새각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깔다구류와 요각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 서 미꾸라지 개체수는 인위적인 간섭빈도가 높은 시가지 비율이 낮고 주요 먹이원인 깔다구류와 요각류의 출현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논 생태계에 서식하는 미꾸 라지개체군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주변의 자연환경조건과 영농방법에 의한 먹이원의 양적 상태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C<sub>4</sub> 식물 목록과 분포 변화:고찰

        김명현,한민수,강기경,나영은,방혜선,Kim, Myung-Hyun,Han, Min-Su,Kang, Kee-Kyung,Na, Young-Eun,Bang, Hea-Son 한국농림기상학회 2011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3 No.3

        $C_4$ 식물의 식별 및 자료구축은 식생의 계절변동이나 천이와 관련된 생태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최근 주목받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지표로서 그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생육하는 $C_4$ 식물에 대한 전체 목록을 작성하고, 지구온난화에 따른 $C_4$ 식물의 반응과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광합성 경로 유형에 대한 자료는 1971년에서 2010년 사이에 출판된 학술논문에서 얻어졌고, 그 자료와 국내에 구축되어 있는 식물목록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에 생육하는 $C_4$ 식물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는 약 197과 1123속 4476종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그 중 $C_4$ 식물($C_3$-$C_4$ 중간형 포함)은 약 21과(10.7%), 84속(7.5%), 206종(4.6%)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 생육하는 $C_4$ 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53종(25.7%)이고, 단자엽식물은 153종(74.3%)으로 나타났다. 과 수준에서는 벼과가 102종(49.5%), 사초과가 45종(21.8%), 명아주과가 15종(7.3%), 비름과가 13종(6.3%), 국화과가 6종(3.0%), 석죽과, 대극과 및 메꽃과가 각각 3종(1.4%)으로 나타났다. 생활형을 살펴보면, 휴면형은 1년생식물이 95종(46.1%), 번식형에서 지하기관형은 $R_5$가 123종(59.7%),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_4$)이 179종(85.9%), 생육형은 총생형(t)이 122종(59.2%)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은 국내에 생육하는 $C_4$ 식물에 좋은 환경조건을 제공해 줄 것이며, 그 결과 $C_3$ 식물과 $C_4$ 식물간의 종간경쟁, $C_4$ 식물의 분포, 식물계절 및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expected that identification and lists of $C_4$ plants in specific regions are useful not only for the ecological researches that are related to vegetation phenology and succession but also as an index of climate change. In this review, $C_4$ plants growing in South Korea were listed and their life form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influences that climatic change and the $C_4$ plants exerted on plant ecosystem. Photosynthetic pathway types ($C_3$ and $C_4$) for the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were determined by reviewing the scientific literatures published between 1971 and 2010. Of the total 4476 species in 1123 genera and 197 families, 206 species (4.6%) in 84 genera (7.5%) and 21 families (10.7%) were identified as $C_4$ plants (including $C_3$-$C_4$ intermediate plants). Among the identified $C_4$ species, 53 species (25.7%) in 26 genera and 15 families were classified as Dicotyledoneae, while 153 species (74.3%) in 58 genera and 6 families were classified as Monocotyledoneae. The majority of the $C_4$ species belong to four families: Chenopodiaceae (15 species), Amaranthaceae (13 species), Gramineae (102 speceis) and Cyperaceae (45 species). With respect to life form composition of 206 $C_4$ species, Th-$R_5$-$D_4$-t was most dominant: 95 species (46.1%) were included in Th, 123 species (59.7%) in $R_5$, 179 species (86.9%) in $D_4$, and 122 species (59.2%) in t.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C_4$ plants. Such a result will have considerable impacts on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C_3$ and $C_4$ plants, the distribution of $C_4$ plants, plant phenology, and plant diversity.

      • KCI등재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sub>4</sub>식물의 출현과 분포

        조광진,오영주,강기경,한민수,나영은,김미란,최락중,김명현,Cho, Kwang-Jin,Oh, Young-Ju,Kang, Kee-Kyung,Han, Min-Su,Na, Young-Eun,Kim, Miran,Choe, Lak-Jung,Kim, Myung-Hyun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논, 밭, 과수원, 도로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사하여 $C_4$식물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4과 231속 352종이 확인되었으며, 쌍자엽식물 255종, 단자엽식물 89종, 양치식물 8종으로 분류되었다. 농경지유형별로는 논에서 55과 203종, 밭에서 49과 218종, 과수원에서 44과 115종, 도로변에서 48과 202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논은 쑥과 고마리, 밭과 도로변은 쑥과 개망초, 과수원은 닭의장풀과 바랭이로 대표되며 농업생태계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쑥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현식물 중 $C_4$식물은 8과 25속 3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논, 과수원, 도로변에서는 $C_4$ 단자엽식물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밭에서는 다른 농경지유형에 비해 쌍자엽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C_4$식물의 출현율 차이는 고온 건조한 우리나라 밭 주변 식물서식환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논과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습윤한 미기후조건에서 건조조건이 아니라 온도조건에 의해 $C_4$ 단자엽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농업생태계를 대표하는 $C_4$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바랭이와 닭의장풀이며 쌍자엽식물은 개비름과 명아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총 47종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수분환경조건이 상대적으로 건조한 밭과 도로변에서 많은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가운데 $C_4$ 식물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털비름 2종으로 나타났으며, 단자엽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C_4$식물의 분포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으로 고온에 적응성이 높은 $C_4$식물의 새로운 유입과 이미 유입된 종 가운데 농업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래식물의 확산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search fo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C4 plants at the paddy fields, uplands, orchard and roadside in South Korea,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Flora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from May 2002 to October 2006 at 241 plots. In the results of survey, the flora of these areas consist of 74 families, 231 genera and 352 species totally. The class frequencies were arranged by the order of Magnoliopsidae (255 species), Monocotyledoneae (89 species), Pteropsida (7 species) and Sphenopsida (1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agricultural field types was 55 families with 203 species in paddy field, 49 families with 218 species in uplands, 44 families with 115 species in orchard and 48 families with 202 species in roadside respectiviely. Representative species compositions of these four agricultural field types were characterized by Artemisia princeps, Persicaria thunbergii in paddy field, Artemisia princeps, Erigeron annuus in upland and roadside, Commelina communis, Digitaria ciliaris in orchard, respectively. Therefore, indicative spec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was Artemisia princeps. Among the investigated 352 species, $C_4$ plants identified were 38 species, and the occurrence ratio of $C_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higher in paddy field, orchard and roadside than upland. Such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ratio of $C_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reflec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micro-climate, soil moisture under various agricultural fields. Dominant $C_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Digitaria ciliaris and Commelina communis, while $C_4$ dicotyledonous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agricultural fields.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7 species and occurrence ratio were higher in upland and roadside than other agricultural field types. Among the investigated naturalized plants, $C_4$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Amaranthus retroflexu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C_4$ plants in agricultural field types, revealed that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C_4$ plants. Thus, the necessity of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on the diffusion of $C_4$ plants that may threaten influence agroecosystem in Korea.

      • 랜덤하중스펙트럼하에서 단일 모서리 균열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 2024-T3 판재의 균열진전에 관한 연구

        황영진(Young Jin Hwang),강기경(Ki Kyung Kang),이석순(Seok Soon Lee) 대한기계학회 200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1 No.3

        Modern aircrafts are designed by the damage tolerance concept. Fatigue cracks will occur at the initial flaw such as micro flaws in the material and scratches during the material process, and stress concentration parts such as notches, fillets and rivet holes under the random loads. This cracks will propagate by the repeated loads and finally occur the failure. Therefore aircraft parts must be performed the fatigue test and prove the safety of the design life under the loads during the aircraft operation. In this study, we have tested and analyzed the crack propagation during the aluminum alloy 2024-T3 plate under the random loads. The crack lengths measured by the fractography analysis were compared to the analysis results with the retardation effect.

      • 논 생태계 내 둠벙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최락중 ( Lak Jung Choe ),강기경 ( Kee Kyung Kang ),김미란 ( Miran Kim ),조광진 ( Kwang Jin Cho ),나영은 ( Young Eun Na ),김명현 ( Myung Hyun Kim ),한민수 ( Min Su Han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둠벙은 농업생태계 내 생물다양성 보전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농 업환경의 변화로 과거에 비해 급감한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친환경농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친환경 농업 육성과 관련하여 둠벙의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둠벙의 생태적 중요성을 확인하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과 둠벙의 입지여건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둠벙 복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둠벙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채집 은 20010-2012년 3년간 연 2-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량조사에는 Hand-net (Mesh size, 0.1㎜; Diameter, 27㎝)을 이용하였으며, 단위노력당 채집 개체수(CPUE)를 정량 단위로 분석하였다. 저서 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은 종다양도 및 밀도를 이용하였으며, 그룹 간 비교는 ANOVA,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전체 둠벙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131종 137,118개체로 국내 최대 습지인 우포와 비교할 정도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였다. 서식처 특성상 정수성 환경에 잘 적응한 딱정벌레목, 잠자리목, 노린재목의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둠벙의 경관과 조성시기에 따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에 차이를 보였으며, Cluster analysis 결과 군집 분포는 지역적으로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CA ordination 결과 저서 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분포는 경관적 특성을 결정짓는 입지 요소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둠벙의 수변부 유형 및 조성시기도 군집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둠벙 복원 시 경관적 특성과 함께 수변부 유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바이오에너지 작물의 에너지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 평가

        고병구(Byong-Gu Ko),강기경(Kee-Kyung Kang),이덕배(Deog-Bae Lee),김건엽(Gun-Yeob Kim),홍석영(Suk-Young Hong),김민경(Min-Kyeong Kim),소규호(Kyu-Ho So),서명철(Myung-Chul Seo),서종호(Jong-Ho Seo)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우리나라 주요 바이오에너지 작물인 밀, 유채, 보리, 옥수수, 고구마를 대상으로 그 에너지화 하는 잠재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생산열량을 조사 분석하였고, 작물재배기간 동안 투입 및 생산요인을 작물간에 분석하였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작물별 조사한 결과와 농림통계연보에 있는 데이타와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작물간 및 품종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물별 직접 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량, 총생산열량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에 대하여 주요 에너지 이용 부위만 고려할 때 고구마가 가장 많았고, 지상부의 곡류부위를 포함한 총 바이오매스는 옥수수(강다옥)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열량을 비교해 보면 바이오 에탄올의 주 원료가 되는 밀, 옥수수 등은 3,879∼4,317 ㎈ g?¹으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바이오 디젤의 주 원료로 사용되는 유지작물인 유채의 씨(에너지 이용부위)는 6,673∼6,725 ㎈ g?¹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총 생산열량은 총바이오매스가 가장 많은 옥수수의 강다옥이 8,263 ㎉ m?²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의 경우 영농에 필요한 투입이 가장 많았으며 생산량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구마는 투입요소가 전반적으로 보통임에도 불구하고 생산요인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대상작물을 확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좁은 농경지 면적을 감안하여 효율적 이용 측면도 고려하여 적절한 바이오에너지 작물을 선발할 필요가 있다. To evaluate the potential value of the major bioenergy crops which are wheat, canola, barley, corn, and sweet potato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biomass and calorific value of crops, and also compared input and output factors among bioenergy crops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biomass values in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2006) and the one investigated in this experiment, also there was difference in crops and in species. Among the crops investigated, sweet potato(Jinhongmi, Yulmi) was shown the highest amount of biomass production and corn(Gangdaok) was shown the highest amount of the total biomass which is the total aboveground biomass at harvest. Oilseed canola which is presently a major source of bio-diesel had highest calorific value as 6,673~6,725 ㎈ g?¹. Wheat and corn grains which are source of bio-ethanol were in the range of 3,879~4,317 ㎈ g?¹. Gangdaok(Corn) produce the highest total calorific value in unit cultivating area among the crops as 8,263 ㎉ m?². Corn was shown that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were the highest level among bioenergy crops during cultivation period. Sweet potato also was shown that output factor was the highest level though its input factors were average level. It is needed to be investigated more crops for collecting the higher potential value of bioenergy production further considering small land area and its effective utilization in Korea.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농업의 홍수조절기능과 수자원함양기능 계량화 및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서명철(Myung-Chul Seo),강기경(Ki-Kyung Kang),현병근(Byung-Geun Hyun),윤홍배(Hong-Bae Yun),엄기철(Ki-Cheol Eom) 한국토양비료학회 200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1 No.2

        In order to share the understanding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with people, we carried out quantification and monetary evaluation for controlling flood and fostering water resources function in paddy and upland farming in Korea. The amount of water controlling flood and fostering water resources function in paddy farming was much greater than that in upland. The quantification of flood control function could be estimated by sum of the height of dike and water infiltrated during the flooding periods in paddy farming, and water excepting runoff water from precipitation at flooding time in upland farming. As results of estimation of flood control function, the amounts of water controlling flood have been evaluated as 294 mm year-1 in paddy farming and 72.6 mm year-1 upland farming, and was calculated 3.71 billion MT on a nation basis in 2006. When it was carried out monetary estimation as the cost of dam construction and the depreciation expense by using replacement cost method, flood control functions in paddy and upland were evaluated as 44,338.9 and 7,221.5 billion won, respectively. Comparing with previous reports, monetary value was analyzed much to increase because of rising price cost recently. Fostering water resource functions were also quantified in paddy and upland farming as the amount of water keeping and infiltrating water during the cultivation. In the basis of estimation model, it was showed that paddy and upland farming had been estimated to have 414.28 mm year-1, 18.7 mm year-1, respectively. They were also calculated to 4.49 and 0.137 billion MT on a nation basis in 2006, respectively. The economic values of fostering water resources function in paddy and upland farming were also estimated to 1,769.4 and 52.8 billion won, respectively, as replacing the amount of water to the cost of drinking water in 2006. There were differences by much to the amounts of controlling flood function and fostering water resource between paddy and upland farming. It means that paddy farming more play an important role in environment than upland farming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