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ormalized Rayleigh Likelihood를 활용한 표적신호세기정보 적용 다중표적추적 기술

        김수진,정영헌,김성준,Kim, Sujin,Jung, Younghun,Kim, Seongjoo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0 No.4

        This paper presents a multiple target tracking system using Normalized Rayleigh likelihood of amplitude information of target. Although many studies of Radar systems using amplitude information have been studied, they are focused on single target tracking. This paper proposes the multiple target tracking using amplitude information as well as kinematic information from Radar sensor. The amplitude information are applied in generating the association probability of joint probabilistic data association(JPDA) algorithm through the normalized Rayleigh likelihood.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enhance the track maintenance and tracking accuracy, especially, in the target crossing case.

      • KCI등재

        희귀질환 약제, 항암제 별도 기금 도입에 대한 약제급여 결정 전문가와 이해관계자 시각

        김수진,정승연,김동숙,Kim, Sujin,Jung, Seungyeon,Kim, Dong-Sook 한국임상약학회 2020 한국임상약학회지 Vol.30 No.3

        Background & objective: The Korean government has expanded its benefit coverage to enhance patients' access to orphan drugs and cancer medicines. However, the number of new drugs whose indications were not applied to reimbursement in health insurance was increased.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experts and various stakeholders on the introduction of a new funding program for cancer treatment and orphan drugs. Methods: We conducted email surveys comprising 19 questions, from September 9 to 26, 2016.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members of the Pharmaceutical Benefit Appraisal Committee and Cancer Assessment Committee. We also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through group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including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some patient groups for diseases. Results: A total of 35 survey respondents recommended the introduction of a funding program for orphan drugs, whereas 66% recommended the launch of funding for anticancer drugs. In addition, most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patient groups recommended the introduction of new funding programs targeting patients with cancer and rare diseases. However, some participants asserted that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modify the existing reimbursement scheme than launch new funding.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introducing new funding needs a social consensus to relieve financial hardships at the patient level.

      • KCI등재

        광역자치단체 공립예술단의 평정제도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부산 4개 단체를 중심으로

        김수진(Sujin Kim),김원명(Wonmyoung Kim)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6

        시 ․ 도립 예술단의 평정제도에 대해서 공정성, 객관성, 합리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근본적인 개선을 요구하는 지적이 있다. 또한, 평정 결과를 두고 많은 갈등이 있다. 본 연구는 평정제도가 가진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단체별 조례와 규정집에 제시된 평정 방법 및 결과 조치를 비교 분석한다. 조사의 범위는 2017년을 기준연도로 설정하고, 서울의 (재)서울시립교향악단 ․ (재)세종문화회관 서울시예술단 ․ 경기도립예술단 ․부산광역시립예술단 총 4개 단체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4개 단체는 상시평가제도를 시행하는 단체로서, 기존의 시 ․ 도립 예술단의 평정 방법과 결과 조치보다 진일보한 체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평정자 선정, 평정의 방법과 항목의 구성, 평정 후 조치 등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개선과제로 제안한다. 첫째, 상시평가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세부 평정 지표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결과 공개 및이의제기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정기적인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There is a question for the fairness, objectivity, and rationality of the appraisal systems of municipal and provincial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a request for radical improvement. In addition, there are many conflicts over the results of the appraisal.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appraisal system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I compared and analyzed the appraisal methods and measures presented in the ordinances and regulations of the organization. For the scope of the study, 2017 was set to be the base year and four organizations in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9 Seoul Metropolitan Arts Organizations, 5 Gyeonggi Provincial Art Organizations, and Busan Arts Organization were analyzed. The four organizations, implementing the regular appraisal systems, have a more advanced system than the existing appraisal methods and measures of other municipal and provincial art organizations. However, improvement was still necessary in the selection of the appraisers, the method of appraisal, composition of items, and measures after appraisal. Therefore, I suggest the following items as improvement measures. First, improvement is needed to meet the purpose of the regular appraisal system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tailed appraisal index. Third, results disclosure and an objection system are necessary. Fourth, regular training is required.

      • KCI등재

        한국 저소득층 하위권 중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사례 연구 :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을 기반으로

        김수진(Kim, Sujin),김태영(Kim, T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Motivational Languaging Activity)을 통한 영어 학습 동기 질적 사례 연구로, 저소득층 하위권 중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변화와 그 원인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연구 실행을 위해, 서울시 금천구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중학교 1학년 여학생 4명을 대상으로 9주 동안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관찰하고 활동 종료 후 반구조화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저소득층 하위권 학생들의 영어 학습 무동기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지속 및 미래의 꿈과 연계성 부족. 둘째, 부모의 관심 결여. 셋째, 학습 방법 및 사용 능력 부재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소득층 하위권 학생을 지도할 때 상기한 원인들을 고려하여 세심하게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과 더불어 학생들에게 미래의 자아를 탐색하는 시간의 빈도를 높여 제공하고, 이상적 제2언어 자아와 영어 학습을 연관시키는 것이 영어 학습 동기 향상에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low-income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rough the motivational languaging activity (MLA). The MLA is a classroom-friendly activity in which learners can contemplate their reason for studying English and objectively reflect on themselves. This activity aims to discern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determine learning objectives, and consequently engage in learning by encouraging them to think of their ideal L2 self for the future. For this study, four low-income middle school girls in the community children learning center in Guemcheon-gu participated in the MLA for six times, nine weeks. Following the MLA,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se interviews reveal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e interviews indicated several reasons explaining this issue: 1) negative attitudes towards studying English and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studying and their future goals, 2) a lack of emphasis on English learning from learners’ parents, and 3) a lack of ability in using effective learning methods. This study implies that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ontinually focus on students’ dreams and provide successful experiences and positive feedback to students. Additionally, teachers should actively develop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and teach effective learning methods to each student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for studying English.

      • KCI등재

        지역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에코뮤지엄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진 ( Sujin Kim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산업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국가, 도시 그리고 지역들의 경쟁력과 문화적 가치는 더욱 주목되고 있다. 이는 현대인들의 문화적 충족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증가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역의 정주적 환경 및 장소성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지자체들은 지역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 문화정체성 구축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문화와 장소성은 중요시되고 있으며 지역 활성화 전략의 핵심수단으로 에코뮤지엄을 도입하여 지역 가치상승의 다양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고유의 유산을 보존 및 개발하여 차별화된 지역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가치를 밝히고 지속적인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지역문화공간과 에코뮤지엄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여 에코뮤지엄이 장소성을 구축함을 파악한다. 구축된 장소성을 부각하기 위해 장소마케팅을 적용한 에코뮤지엄의 구성요소 5가지를 도출하고, 부각된 장소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적 특성요소 4가지를 제시한다. 앞에서 도출한 장소성 관련 요소들을 바탕으로 국내외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에코뮤지엄 조성의 가치적방안을 검증한다. (결과)첫째, 대부분의 에코뮤지엄은 지역의 유·무형의 유산을 보존·활용한 장소 자산과, 지역주민의 능동적 참여, 그들에 의해 주도되는 네트워크, 박물관 및 연구 활동을 가지고 장소성을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소마케팅을 적용한 에코뮤지엄은 지역문화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이룩함으로써 지역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장소성을 부각한다. 셋째, 에코뮤지엄의 지속가능적 특성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교감, 소통, 공감, 공유할 수 있는 끌림이 있는 매력적인 공간을 조성하여 부각시킨 장소성을 유지한다. (결론)본 연구에서 지속적인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에코뮤지엄의 조성으로 지역과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관광증진으로 경제적 효과를 얻으며, 지역민의 교육과 문화의 장이 되고, 쾌적하고 윤택한 환경의 조성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어 사회적·문화적·경제적·환경적인 가치가 창출되었다. 장소에 내재된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과거에 뿌리를 두고 미래를 위해 현재를 연결하는 에코뮤지엄은 사람과 공간을 잇는 정서적 문화공간으로써 지역의 장기비전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지역발전의 대안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 도시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문화적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기대 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With the paradigm shift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competitiveness and cultural value of the countries, cities and regions are picking up more attention. This is due to the growing desire for cultural fulfillment and quality of life in modern people and the growing interest in local settlement environment and place that can satisfy them. Therefore, to have locally cultural uniqueness and competitiveness,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interest over the strategy of “Place Marketing” through cultivating cultural identity. In the modern society, culture and place are important, and the eco museum is introduced as a key means of regional activation strategy, showing various achievements of local value enhan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eco museum in terms of location marketing that can enhance differentiated regional image by preserving and developing local heritage. (Method)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ultural space and the eco museum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eco museum`s strategical effectiveness.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structed place, five element of eco museum are derived from applying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and four elements of sustainable space composition are proposed to maintain the highlighted property of place. We analyz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ccess stories bas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place of locality derived from the above and verify the value of the eco museum. (Results)First, I found out the majority of the eco museums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created the places with the well-preserved of local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network led by them, and research activities. Second, the eco museum, which uses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not only promotes local culture but also promotes local economy, thereby creating a synergy effe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the place. Third,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eco museum strengthen its locality by creating charming space that engenders atmosphere suitable for exchange of feelings, communicate, share common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 people around them. (Conclusions)In this study, the eco museum for the continuous innovation of the local culture has l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local and local residents, better off the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and promoting regional tourism, the education of the local people and culture. As a result,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values are enhanced. The eco museum is an cultural space and a communication platform that links people and space to discover the potential value inherent in the place, create new value, and connect the present to the future roots in the past. Creating such future-oriented region will serve as another form of communal development, and serve as a cultural asset to strengthen c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 프레임 개발

        김수진(Kim, Sujin),도재우(Do, Jaewoo),강성국(Kang, Seongguk)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2

        교육 사업에 대한 국가의 예산 투자 사례와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가 가져온 교육의 디지털화는 에듀테크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 사업의 추진을 촉진하고 있다. 실제 정부는 K-에듀 통합 플랫폼 구축, 콘텐츠 유통 환경 조성 등 공교육 차원의 대규모 교육 재정사업을 기획 및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 주도의 교육 사업 성장 속에서 예산의 적합한 활용을 위해 해당 사업에 대한 타당성 분석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재정사업에 대한 타당성 분석은 건설, 정보화, R&D 분야에서 주로 이뤄졌으며, 교육 사업의 경우 해당 사업이 가지는 공공성으로 타당성 확보에 대한 별도의 노력은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분석 필요성을 바탕으로 교육 사업의 타당성 확보에 활용할 수 있는 타당성 분석 프레임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가 교육 재정사업의 타당성 분석 프레임 개발은 문헌분석, 전문가 자문, 포커스그룹 인터뷰,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특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전문가 3명과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기존 예비타당성조사 틀의 교육 사업 타당성 분석에 적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타당성 분석 프레임(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레임을 사이버 고등학교 설립 방안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해당 프레임의 적합성 및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사업에 타당성 분석의 도입을 제안하는 초기연구로서 그 연구적 의의가 있다. 연구가 제시하는 타당성 분석 프레임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국가 교육 재정사업에 대한 정책적 의사결정에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ortion of the government´s budget invested in educational projects continues to grow. In particular, the digitalization of education due to COVID-19 is facilitating many such projects. The government plans to conduct large-scale financial endeavors, such as establishing a K-Edu integrated platform. Due to the expansion of government-led educational projec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se undertakings to ensure appropriate budget use. Feasibility analyses of large-scale financial projects with national budgets have primarily been limited to the construction, informatization, and R&D sectors. Moreover, the feasibility analyses of educational projects have taken limited approaches. This study serves is to develop a feasibility analysis frame that may be used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educational funding projects. To that end, researchers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expert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 expert review.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ree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experts, we explored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framework for educational funding projec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feasibility analysis framework (technical, policy, and economic feasibility) was develop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project. We present an example of the framework s application to the cyber high school establishment plan, proposing the suitability and usability of the former. The feasibility analysis framework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meaningfully contribute to policy decisions for future educational projects.

      •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위한 2018 DAC 장애마커 자발적 보고 현황 분석

        김수진(Sujin Kim) 한국국제협력단 2020 국제개발협력 Vol.15 No.1

        장애분야에 대한 세분화된 양질의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은 UN장애인권리협약(CRPD) 및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서 강조되고 있다. 이에 OECD DAC에서는 ODA를 통한 장애인 포용성 및 역량강화 활동 지원에 관한 자금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지난 2018년에 장애인 정책마커 도입을 승인하였고, 2018년 개발도상국에 대한 ODA자금흐름에 대한 2019년 보고건에서부터 장애마커에 대한 자발적 보고를 요청하였다. 이에 20개국이 최초로 장애마커에 대한 자발적 보고를 실시하였다. 본 고에서는 지난 2019년 12월 최초 취합 및 발표된 DAC 장애마커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공여국들의 ODA 활동에서의 장애특정적 사업 및 장애주류적 사업 운영 현황을 공여국 및 수원국 차원에서 살펴본다. 아울러 통계보고시스템(CRS) 목적코드별로 장애마커 통계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장애포괄적 개발협력 사업이 전세계적으로 어떠한 추진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장애마커가 앞으로 한국의 장애 마커 보고 및 장애ODA 생태계 확산, 그리고 장애ODA 직간접 사업 운영에 있어 이번 장애마커가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ke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by categorizing it into “disability-specific development” and “disability mainstreaming” in development, as a crosscutting issue. Analyzing the 2018 ODA data earmarked for the empowerment and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was voluntarily reported by 20 donors in 2019, this study examines how well the aid targets disability as well as how the Kore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can help enhance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 KCI등재

        데이터거래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상품가치 평가모델 연구

        김수진(Sujin Kim),이정현(Junghyun Lee),박천웅(Cheonwo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국내 데이터 거래시장은 구매데이터의 불합리한 가격책정이 데이터 거래 시의 주요 애로사항으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는 상품정보 및 사용경험 부족으로 인해 데이터상품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없는데서 발생한 문제로, 데이터 거래소는 거래활성화를 위해 가격 외에 수요자가 데이터상품의 가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데이터 가치평가에 주로 적용되는 원가기반, 수익기반, 시장기반 평가방법은 공급자 관점에서의 가치평가결과인 가격정보만 수요자와 공유가능하기 때문에 거래 및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데이터가치평가방법으로는 부족한 점이 있다. 본 논문은 데이터거래 이해관계자(거래소, 공급자, 수요자)가 공통된 시각으로 데이터상품의 가치를 판단하고 공유할 수 있는 측정가능한 가치평가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해외 데이터거래소 및 관련 연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데이터상품의 가치 동인을 파악하고, 가치동인별로 정량적 측정이 가능한 평가방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거래용 데이터상품을 활용하여 평점표 형식의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상대적 가치비교가 가능하도록 계층화분석(AHP)을 통해 가치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실제 데이터상품에 평가기준을 적용할 결과, 개별 데이터상품의 특성에 따라 가치평가 값이 차별화됨에 따라 가치비교도구로 활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domestic data exchanging market, unreasonable pricing of purchase data is consistently mentioned as a major obstacle in data trading. This is a problem caused by the inability to properly evaluate the value of data products due to lack of product information and experience in using them. In order to activate trading, the data exchanges ne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allows consumers to comprehensively judge the value of data products in addition to prices. The cost-based, income-based, and market-based methods, which are mainly applied to data valuation, are insufficient as data valuation methods to stimulate trading and distribution because only price information, a result of valuation from a suppliers point of view, can be shared with consumer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easurable valuation method that allows data trading stakeholders (exchanges, suppliers, and consumers) to judge and share the value of data products from a common perspective.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value drivers of data product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in overseas data exchanges and related research, and derived an evaluation method that can quantitatively measure each value driver. In addition, evaluation criteria in the form of a rating table were developed using data products for transactions, and a value evaluation index was developed through stratification analysis (AHP) to enable relative value comparis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valuation criteria to actual data products,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values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data products, so it could be used as a relative value comparison tool.

      • KCI등재

        가구 내 1인 조사를 위한 통합가중치 연구: 농어업인복지실태조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진 ( Sujin Kim ),박진우 ( Jin Woo Park ),박인호 ( Inho Park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8 조사연구 Vol.19 No.4

        가구조사의 분석대상으로 가구와 가구원이 모두 고려된다면 단위수준별로 표본가중치가 산출되어야 하며 가능한 단위간 구성적 측면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성적 측면의 반영은 주로 관련된 보조정보를 이용한 통합가중방식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가구당 한 명만을 추출하는 가구조사에서는 가구와 응답자라는 상이한 추출 및 분석단위 간의 개념적 물리적 차이로 인해 가중치 산출은 물론 자료해석이 다소 모호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농어업인복지실태조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개인화 통합가중치의 산출방법에 대해 살펴보며 추가적으로 가구당 1인조사임에도 두 종류의 가중치를 제공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혼선을 피할 수 있는 대리응답을 가정한 통합가중치 산출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개인화 통합가중치와 대리응답 통합가중치는 비통합의 개별적 가중치에 비해 변동 증가가 많이 크지 않지만 보조정보 기준의 적합성은 물론 정도수준의 변동도 많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Many household surveys involve sampling and analysis of both household and persons within household. Thus, it is desirable to ensure their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levels in developing their sample weights. An integrated weighting procedure can achieve this goal utilizing the auxiliary variables on the household and person levels. When only one person per household is sampled, there may exist an ambiguity in either implementing integrated weighting or analyzing complex survey data due to conceptual and/or physical differences in the role of the sampled person within the household, house and/or personal representatives per se. In this article, we compare several weighting approaches including two single-step calibration methods, one with assigning equal shares value for persons and the other with assuming proxy-response. The comparisons are carried out using data from a Survey on the Rural Well-being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e find that both methods aforementioned tend to have better goodness of fits in terms of benchmarking totals with not inducing much variation on the integrated weights when compared with non-integrated calibration.

      • 위치 기반 문화 관광 서비스 시스템 구성 및 설계

        김수진(Sujin Kim),서보경(Bokyung Seo),최종원(Jongwon Choe)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PDA상에서 동작하는 위치기반의 개인맞춤형 가이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청계천에서 좀 더 편리하게 관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목적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기술을 통해 언제 어디든지 누구나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실현하고 있다. 이 연구의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POI(points Of Interest)를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개인맞춤형정보를 제공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Location-Based and Personalized Guide system operating in PDA. This system helps users go sightseeing more conveniently at the Cheonggye stream in Seoul,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s a systemwhich let anyone make use of customized information of sightseeing anywhere anytime based on state-of-the-art ubiquitous technology. A prototype application in this paper offers pedestrian tourists Points of Interest on the basis of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also gives a user the customized information in real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