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세포암종에 대한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발생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조윤원,이정미,최자윤,유동훈,차라리,오혜원,김홍준,민현주,김현진,정운태,이옥재,하창윤,이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6 No.1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has become an effective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y for patients with in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lthough TACE is relatively saf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ssociated with pulmonary lipiodol embolism is a rare and potentially fatal complication. We report a rare cas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fter TACE for inoperable HCC. A 75-year-old man, with huge HCC in right lobe, was treated by TACE for the first time. Seven hours after uneventful TACE procedure, he felt dyspneic and his oxygen saturation recorded by pulse oximetry (SpO2) fell to 80% despite of applying non-rebreathing mask. He underwent mechanical ventilation with a protective ventilatory strategy. We experienced a cas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fter TACE for HCC.

      • KCI등재

        자궁경부암 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annexin-I의 역할

        유영옥(Young Ok Lew),박태철(Tae Chul Park),남궁성은(Sung Eun NamKoong),박동춘(Dong Choon Park),김재훈(Jae Hoon Kim),김대훈(Dae Hoon Kim),양용재(Yong Jae Yang),이지현(Jee Hyun Lee),조성대(Sung Dae Cho),조형권(Hyeong Kwon J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인간 자궁경부암에서 annexin-I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annexin -I의 발현과 암세포증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면역조직화학 (immunohistochemical) 염색법 과 Western blotting으로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annexin-I 발현의 정도와 분포를 조사하였다. 악성세포주인 SiHa와 HeLa 세포주를 tamoxifen, β-estradiol과 all-trans retinoic acid로 3일 또는 5일간 처리한 후 각 세포의 증식을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 colorimetric assay로 측정하였고 동시에 유세포측정기(flow cytometry)로 annexin-I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결과: Annexin-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분석 결과 자궁경부암세포가 진한 과립상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으며, Western blotting 분석에서는 annexin-I의 발현이 정상이나 양성조직보다 암조직에서 증가하였다. 한편, tamoxifen, β-estradiol 또는 all-trans retinoic acid와 같은 세포증식 조절물질을 이용한 세포주 실험에서는, tamoxifen이나 β-estradiol로 SiHa와 HeLa 세포주를 증식시킨 뒤 annexin-I의 발현이 증폭되었고 all-trans retinoic acid에 의한 항증식 후 annexin-I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결론: Annexin-I의 발현은 정상조직보다 자궁경부암에서 증가되어 있었고 자궁경부암 세포주의 증식과 비례해서 annexin-I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ole of annexin-I in human cervical cancer, w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annexin-I and the relation with the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Methods: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and the western blotting of annexin-I , we investigated the extent and distribution of the expression of annexin-I in cervical cancer tissues. After treating the human cancer cell lines ( SiHa and HeLa cell lines ) with tamoxifen, estradiol, and retinoic acid for 5 days to make the cells proliferate and antiproliferate, we measured the proliferation simultaneously with 3-(4,5- dimethyl thiazol- 2-yl)-2,5-diphenyl-tetr -azolium bromide (MTT) colorimetric assay and the expression level of annexin-I with flowcytometry. Results: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s, a granular staining pattern involving the entire cytoplasm was more heavily observed in malignant lesions than in normals. In the western blotting, the antibodies against 35-kDa annexin-I appeared to react more strongly with the lysates of cancer tissues than normal and benign tissues. In SiHa and HeLa cell lines with tamoxifen and β- estradiol treatment, increased expressions of annexin-I were noted with correlated increased proliferation of cells, and with the treatments of all trans retinoic acid, decreased expressions of annexin-I were noted with correlated decreased proliferation of cell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annexin-I might correlate with cervical cancer than normal and the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영지(Ganoderma lucidum)균사체의 액체배양에 의한 세포외 수용성 다당류의 분획 및 항암활성

        이신영,강태수,문순옥,류인덕,이명열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4

        영지 균사체의 액체배양에 의하여 생산된 세포외 다당 시료를 분획하였고, 이들 각 분획에 대한 항암 활성을 균사체 유래 다당 분획들과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배양여액으로부터 세포외 수용성 다당(BWS)을 얻었고, 이를 순차적으로 이온교환 및 겔 크로마토그라피 하여 BWS를 포함한 세포의 수용성 다당 분획, 총 5종을 얻었으며, 균사체 유래의 수용성 다당(MWS)에서도 세포외 다당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획하여 총 5종의 분획을 얻어 대조구로 시용하였다. 세포외 다당 시료들의 항보체 활성(ITCH_50, %)은 15~30% 정도로 15~70%인 균사체 유래 다당 분획들의 값보다는 낮았으나, 이들 세포외 다당 분획들의 값보다는 낮았으나, 이들 세포외 다당 분획들중, BWS-DA와 BWS-DA-GI는 1000 ㎍/ml의 시료 농도에서 30% 정도의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MTT assay에서는 mouse leukemia L1210에 대하여 BWS-DN 및 MWS가 600㎍/ml의 농도에서 각각 86 및 89%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BWS-DA 및 MWS-DN의 경우는 3㎍/ml의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32~35%의 저해율을 보였다. 또 human cell line인 COLO-205에 대해서는 BWS와 BWS-DA 및 MWS-DA가, 그리고 HL-60에 대해서는 BWS-DA와 BWS-DN 및 MWS-DN이 각각 300㎍/ml의 시료 농도에서 약 50%(IC_50)의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Exo-polysaccharide (BWS) obtained from submerged cultivation of Ganoderma lucidum mycelium was fractionated. Antitumor activity of their fractions was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the mycelial polysaccharide fractions. Eight kinds (BWS-DN, BWS-DA, BWS-DN-GI, BWS-DA-GI, MWS-DN, MWS-DA, MWS-DN-GI and MWS-DA-GI) of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obtain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Sepharose CL-4B gel chromatography from BWS and MWS, which were isolated from culture fluid and mycelial cell, respectively.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ITCH_50, %) of the exo-polysaccharide fractions showing 15% to 30% were lower than those of mycelial polysaccharide fractions showing 15% to 70%. The acidic fractions of BWS-DA and BWS-DA-GI fractionated from BW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30%. In the MTT assay, BWS-DN and MWS against mouse leukenia L1210 exhibited high inhibition ratio of 86 and 89%,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600 ㎍/ml. High inhibition ratio of 50% (IC_50) was achieved for BWS, BWS-DA and MWS-DA fractions against human colon adenocarcinoma COLO-205 and for BWS-DN, and MWS-DN fractions against human leukemia HL-60 at the concentration of 300 ㎍/ml among the six polysaccharide fractions, respectively.

      • KCI등재

        자궁육종 세포주에서 Taxol의 효과

        이혜영 ( Hye Young Lee ),박동춘 ( Dong Choon Park ),김성환 ( Sung Whan Kim ),유영옥 ( Young Ok Lew ),김대훈 ( Dae Hoo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4

        목적 : 자궁육종 세포주에서 Taxol의 세포독성 및 방사선 감수성 증진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 : 자궁육종 세포주 중 다제 내성 (multidrug-resistance. MDR) 유전자를 갖고 있지 않은 MES-SA와 이 유전자를 갖고 있는 MES-SA/MX2에서 10-8 M 농도의 Taxol, 10 Gy의 방사선 조사 및 같은 농도의 Taxol과 방사선을 함계 투여하였을 때의 세포증식의 변화를 XTT 분석 및 Tunnel study로 조 Objective : The cytotoxic and radiosensitizing effects of Taxol in uterine sarcoma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Methods : Two uterine sarcoma cell lines with different Taxol responses were used, namely, Taxol-sensitive and MDR gene negative MES-SA, and T

      • KCI등재

        The Util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TIMP-2 as tumor markers in cervical cancer

        Park, Dong Choon,Yoo, Jin Young,Lew, Young Ok,Kim, Dae Hoo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5

        목적 : 세포외 기질 (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 (basement membrane)의 분해는 악성 종양의 침윤과 전이에 중요한 과정이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조직과 혈청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와 억제인자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2, TIMP-2)의 발현을 조사하고 이들의 발현과 임상상태를 비교하여 자궁 경부암 환자에서 생물학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본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6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얻은 암조직에서 면역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MMP-2와 TIMP-2의 발현을 조사하고 MMP-2와 TIMP-2의 mRNA 발현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 이용하여 확인한다. 또한 각각의 환자에서 치료 과정 중 채취한 혈청에서의 MMP-2와 TIMP-2의 양을 효소결합 면역 흡착검사 (ELISA)로 측정하여 이들의 발현정도와 환자의 임상상태와의 연관성 여부를 알아본다. 결과 : 면역화학조직염색법을 이용한 MMP-2와 TIMP-2의 발현 비교에서 MMP-2는 정상 자궁경부조직에서는 부분적 양성을 포함하여 46% (28/60), 자궁경부암 조직에서는 75% (45/60)에서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발현 정도도 정상 자궁경부조직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났다. TIMP-2는 정상 자궁경부 조직과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각각 23% (14/60)와 27% (16/60)에서 양성을 보였고 그 발현정도는 미약하였다. MMP-2의 mRNA는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정상 자궁경부조직에서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TIMP-2의 경우는 정상 자궁경부조직과 자궁경부암 조직간에 차이를 볼 수 없었다. ELISA를 이용한 혈청에서의 MMP-2와 TIMP-2의 양성 반응율은 정상 대조군과 자궁경부암 환자군에서 각각 12% (7/54)와 76% (46/60), 22% (12/54)와 98% (59/60)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치료경과에 따른 혈청내 변화를 비교한 연구에서 MMP-2는 57.5%에서 임상 상태를 반영하였고 TIMP-2는 35%에서 임상 상태를 반영하였다. 결론 : MMP-2와 TIMP-2는 자궁경부암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MMP-2는 임상상태를 반영하는 종양표지인자로서 사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복막 봉입체 낭포로 수술 받은 환자들에서 초음파 소견과 수술소견에 대한 임상적 분석

        정재은 ( Jae Eun Chung ),김옥경 ( Ok Kyoung Kim ),조현희 ( Hyun Hee Jo ),김미란 ( Mee Ran Kim ),유영옥 ( Young Oak Lew ),임용택 ( Young Taik Lim ),김진홍 ( Jin Ho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0

        목적: 4년간 가톨릭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서 경험한 복막 봉입체 낭포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1999년 4월 1일부터 2003년 6월 30일까지 가톨릭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로 진단된 복막 봉입체 낭포 50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임상적 특징, 수술 전 진단, 수술시 소견 및 재발을 이전문헌과 비교하였다. 결과: 복막 봉입체 낭포 환자의 평균 연령은 40.2세 였으며, 대부분 폐경 전 여성 이였다. 대부분 (94%)의 환자에서 복부 개복 수술한 과거력이 있었고, 그 중 자궁 적출술을 시행한 경우가 70.2%였다. 수술 전 시행한 종양 표지자인 CA125, CA19-9은 대부분 정상치를 보였으며 초음파 소견은 대부분 왼쪽에 있었고, 크기는 5 ㎝ 이상 10 ㎝ 미만이 59.6%, 격벽이 있는 경우가 65.4%를 보였다. 수술 소견상 특징으로는 복막 봉입체 낭포만 있는 경우보다 다른 부위의 골반 유착이나 낭종을 동반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재발은 대부분이 유착 박리 술만 시행한 경우였다. 결론: 복막 봉입체 낭포는 양성질환이고 드문 질환이라 최근까지 진단율이 낮았다. 이번 50예를 통해 분석한 결과 복막 봉입체 낭포는 복부 수술의 기왕력이 있는 폐경 전 여성으로 초음파상 5 ㎝ 이상 10 ㎝ 미만의 크기를 갖고 격벽이 있는 경우 의심할 수 있으며 유착 박리술만 시행한 경우 재발이 많은 특징을 갖는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4 years` experience of peritoneal inclusion cysts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50 cases of peritoneal inclusion cyst between April 1, 1999 and June 30, 2003 was carried out and then clinical feature, preoperative diagnostic findings, operative findings and recurrence were compared with previous reports.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0.2 years old and most of them were premenopausal. The majority (94%) of patients had history of laparotomy and most (70.2%) of them had history of total hysterectomy. The values of tumor makers such as CA125 and CA19-9 were normal in most of the patients. The peritoneal inclusion cysts usually generate on the left side of the pelvic cavity, size of them were often (59.6%) 5 to 10 ㎝ and they usually (65.4%) have septum in ultrasonographic findings. They probably had pelvic adhesion or ovarian cyst with them in operative findings. Most of the recurrence occurred after only adhesiolysis was done. Conclusion: Because peritoneal inclusion cyst is benign and uncommon disease, its preoperative diagnosis rate was low. In our experience of 50 cases of peritoneal inclusion cyst, most of the patients have history of laparotomy and were premenopausal. When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cyst are 5 ㎝ to 10 ㎝ in size and have septum, they are likely to be peritoneal inclusion cyst. Their recurrence might be more common when adhesiolysis only was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