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내사망을 일으킨 Gastroschisis의 1례

        조영래(YL Cho),이성환(SW Lee),이종룡(J.R Lee),안종호(JH Ahn),이태호(T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3

        Gastroschisis is said to occur roughly once in 5000 to 6000 deliveries. A case of which we have experienced was 32 year old house wife delivered prematurity weighing 1812 gm with intrauterine fetal death. Brief case history has been presented with pertinent literature.

      • KCI등재

        부인과 종양에서의 종양표지물질 (- Tumor Markers in Gynecologic Malignancies -)장미

        조영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6

        종양의 진단과 처치에서 최선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상적인 종양표지물질은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끊임없이 연구되고 임상에 적용되어 오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사용상에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다. 이론적으로 이상적인 종양표지물질의 조건은 첫째, 정상인과 양성 질환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동일종양의 암세포에서만 생성되어 선별법(screeing)과 조기진단에 이용될 수 있어야 하며 둘재, 검사치는 종양의 크기를 잘 반영하여 치료의 반응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어야 하고 셋째, 치료후 재발암의 조기 진단과 조기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넷재, 종양에 대한 예후판정을 정확히 할 수 있어야 된다. 현재까지 부인과 종양에서 이러한 모든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종양표지물질을 개발되지 못하고 있지만 그러나 몇몇 표지물질은 어느정도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종양에 대한 치료의 효과 판정과 재발암의 조기발견 그리고 예후판정에 도움을 주어 임상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부인과 종양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종양표지물질의 정확한 이해는 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종양표지물질의 현명한 사용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이상에서 볼때 지금까지 부인과종양의 임상에 이용되어온 수많은 종양표지물질중에서 가장 이상적으로 종양표지물질의 조건을 만족시켜 주는 것은 영양막 종양에서의 HCG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종양표지물질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선별진(screening)이나 진단목적으로의 사용은 의미가 없지만 치료전의 혈중치가 높은 경우에서 치료효과의 판정과 종양상태의 평가 및 재발암의 발견 등에 있어서 충분한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자궁외임신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질식초음파의 자궁밖 소견

        조영래,전상식,이택후,구태본,유봉재,김향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5

        임상 소견상 자궁외임신이 의심되고 임신반응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나 자궁내 정상임신의 증거가 없는 환자에서 실시한 질식초음파 검사소견 중 자궁밖 부속기에서 배아나 난황낭을 발견한 경우는 물론 자궁밖 태낭 (혹은 태낭 유사체 포함)을 확인한 경우는 자궁외임신을 확진할 수 있었으나 complex 혹은 solid한 부속기 종괴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확진의 근 거는 되지 못하였다. 또한 중요한 소견으로 복강내 free fluid collecion의 성상이 자궁외임신 진단의 근거가 될 수 있었으며 특히 echogenic한 특성을 보일 때 자궁외임신의 진단에 확실 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결론적으로 임상증상과 민감한 임신반응 검사와 함게 질식초음파검사 소견 특히 자궁부속기 소견, 복강내 free fluid소견은 빠르고 정확학 자궁외임신의 진단을 위해 중요한 소견이라고 사료된다. Despite advances in diagnosis made by the sensitve B-hCG determination and ultrasound(US), ectopic pregnancies still present a major diagnostic challenge. Transvaginal US was performed to evalute the various extrauterine findings in 37 patients at risk for ectopic pregnancy. Of these, 31(83.8%) patients had surgically proved ectopic pregnancy (group I) and 6 (16.2%) patients had no evidence of pregnancy at initial transvaginal US but subsequent proof of an intrauterine pregnancy (group II). Extrauterine adnexal findings were demonstrated in 30(96.7%) group I patients , including an embryo and/or yolk sac in 7 (22.6%) a gestational sac in 12(38.7%),and a complex or solid mass in all 6 patients.Intraperioneal free fluid was detected in 23 (74.2%) group I patients , showing echogenic fluid in 21(67.7%) and anechoic fluid in (6.5%) but detected anechoic fluid in 2 (33.3%) groupII patients. Although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s of complex or solid mass and anechoic peritoneal fluid were low but, in comparison, those values of extrauterine gestational sac and echogenic peritoneal fluid were very high.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ransvaginal US findings, combination of an extrauterine gestational sac and echogenic peritoneal free fluid, allow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in women referred with clinical suspicions.

      • KCI등재

        태아 스트레스 호르몬들과 산ㆍ염기 상태에 대한 분만 방법의 영향

        조영래,전상식,김진홍,이택후,김대한,방준배,김삼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분만과 같은 비교적 짧은 기간의 스트레스 상황은 태아부신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ACTH와 cortisol이 증가되며 이에 비해서 DHEAS는 만성적인 스트레스 상황과 관계가 되는 것 같으며 이들 호르몬들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태아의 산ㆍ염기 상태는 pO2의 경우 선택제왕절개분만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pH는 흡입분만군과 선택제왕절개분만군에서 정상 질식분만군에 비해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다소 낮은 수치를 보여 주어 분만 방법에 따른 스트레스의 정도는 태아 산ㆍ염기 상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를 좀더 명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험 대상군의 조절과 새로운 디자인에 따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effect of delivery mode on fetal stress hormones and acid-base status and also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tal acidemia and these hormones. 44 women with term pregnancies were studied. All had singleton, healthy pregnancies. Twenty five women were delivered by spontaneous vaginal route, 10 by vacuum extraction and 9 by elective caesarean section. Umbilical cord blood samples were obtained immediately following the delivery. Blood gas (pH, pCO2, pO2) and hormonal analysis (ACTH,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were done in arterial and venous cord blood samples respectively. The cord blood ACTH values were higher in the vacuum extracted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group and caesarean section group (p<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effect of mode of delivery on fetal plasma cortisol levels among three study groups (p<0.05). In contrast, the mean umbilical cord plasma DHEAS levels were similar for all three study groups. High pO2 levels were found in caesarean section group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p<0.05). Low pH group had higher cortisol and ACTH level compared to high pH group. In conclusion, method of delivery may affect acid-base and stress hormonal status of human fetus.

      • KCI등재

        불임환자에서 자궁내막증 유무에 따른 IVF-ET의 성적에 관한 연구

        조영래,전상식,이택후,김항진,정한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불임크리닉에서 IVF-ET를 시술받은 불임환자중 남성인자를 제외하고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20명(32주기)을 대상군으로 자궁내막증 이외의 난관인자 등으로 진단된 79명(111주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자궁내막증이 IVF-ET의 각종 변수(parameters), 궁극적으로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부 다른 연구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자궁내막증의 IVF-ET 결과는 난관인자 등 다른 원인에 의한 IVF-ET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즉 자궁내막증은 난포, 난자의 발달, 수정율, 착상율 및 임신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시말해 자궁내막증은 난자의 질, 배아의 질에 영향을 주지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IVF-ET의 궁즉적인 목표인 임신율 등에도 영향을 주지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자궁내막증에 의한 불임환자에서 IVF-ET가 효과적이고 적절한 치료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is well known but unclear and of particular interest. To evaluate IVF-ET(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cycle parameters, including pregnancy rate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43 consecutive IVF-ET cycles (99 patients) 32 in women with endometriosis(group I) and 111 without endometriosis(group II) has been performed. Patients were excluded who had had hormonal therapy within recent 6 months or had a significant male factor. The mean age and duration of infertility were not de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IVF-ET parameters,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trieved(9.7+-4.1, 9.2+-5.2), the mean number of embryos transfered(3.4+-1.2, 4.3+-1.5), and cleavage rate(67.2%, 67.6%) for groups I and II, respectivel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regnancy rates per embryo transfer was lower in group I(20.0%) than in group II(29.3%) but was not significantly oocyte quality or the embryo quality, and the reproductive outcome of IVF-ET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endometriosis.

      • KCI등재

        자궁경부종양의 맥관 형성과 선행항암화학요법과의 관계

        조영래,전상식,이일창,곽정식,이택후,원재연,김대한,김삼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7

        자궁경부에 염증성 반응이나 종양성 병변이 없는 정상 자궁경부 조직 8예와 28예의 자궁경부 편평상피내종양조직과 항암화학약물요법 후 광범위 자궁절제술을 실시하여 최종 조직 소견을 얻을 수 있었는 46예의 자궁경부 편평상피 침윤암 환자의 생검 조직을 내피세포에서 분리한 CD34 항원에 대한 단일클론항체인 QBEnd/10 (BioGenex, CA, USA)을 이용한 면역화학염색을 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자궁경부 상피내종양군에서 정상 자궁경부 조직군에 비해서 신생혈관의 수가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p< 0.05) 상피내종양의 병변이 심할수록 신생혈관수의 증가도 비례하여 증가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경도의 자궁경 부 상피내종양에서부터 침윤암까지의 점진적인 진행 과 정에 맥관 형성이 관여함을 시사해 주었다. 2. 선행항암화학약물 치료를 실시한 침윤성 자궁경부 암군에서 치료의 반응이 우수한 군에서 평균 신생혈관의 수는 145.53±47.72(Mean±SD)개로 그렇지 못한 군의 101.40±30.70(Mean±SD)개에 비해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는데(p<0.01) 이러한 결과는 자궁경부암에서 선행항 암화학요법을 실시하는 경우에 그 반응도를 예측케 함으로써 환자에 따른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 등 임상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겠다. 3.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기존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 적 예후인자들인 종양의 크기, 임파절 전이, 침윤의 깊이, 임파혈관의 종양세포 침범, 그리고 자궁방 조직침윤 등과 신생혈관수와는 통계학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치료 후의 무병 생존율과 치료 전 종양의 생검 조직에서 의 맥관 형성 정도와도 통계학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 4. 선행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한 23예에서 항암화학요 법이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조직의 맥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항암치료 후 맥관 형성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통계학적으로는 의미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에서 침윤성 암으로 의 진행에 맥관 형성이 관여되지만 자궁경부 침윤암에서 맥관 형성 정도를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결정하는 것 은 아직까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며 다만 선행항암화학요법의 종양 반응도와 치료 전 생검 조직에서의 맥관 형성 정도 사이의 밀접한 관계는 앞으로 자궁경부암에 서 치료적 응용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Various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are currently used to obtain prognostic information about cervical carcinoma, but they do not predict accurately the outcome for individual patients. Thus, there is need to identify additional tumor characteristics that are able to predict more accurately the outcome for an individual patient with cervical cancer. Tumor microvessel density has recently been demonstrated to correlate strongly with disease aggressiveness in several types of malignancies. However, little is known of the significance of neovascularization in cervical cancer.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vessel count and progression of the cervical neoplasia, the correlation between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tumor angiogenesis, and we investigated if tumor angiogenesis could serve as a prognostic factor in cervical carcinoma. Tumor tissues were obtained from 28 patients with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46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Microvessel were identifi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using monoclonal antibody QBEnd/10 to the CD34. In each case, three microscopic fields (×200) with the highest number of microvessels were counted and averag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mparison of microvessel counts underlyng low grade lesion with microvessel counts of high grade le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ore advanced lesions (p<0.05). Patients whose tumor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were good had significantly higher microvessel counts than those showing poor response (145.53 47.72 vs 101.40 30.70, p<0.01).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icrovessel count and tumor size, node status, lymphvascular invasion, depth of invasion, or parametrial invasion. In univariate analysis by log-rank test, vascular count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Microvessel counts from postchemotherapy specimen showed lower tumor vascularity than prechemotherapy speci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giogenesis is an early, critical step in cervical neoplasm. Microvessel countingmay be a prognostic factor linked to tumor chemoresistance and may not be suitable for clinical use as a prognostic factor in cervical carcinoma.

      • KCI등재

        불임여성에서 혈청 Chlamydia 항체와 자궁경관에서의 Chlamydia DNA 검출의 의의

        조영래,전상식,이택후,정한일,전춘식,원재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9

        Genital chlamydial infection is increasing and now more common than gonorrhea. Chlamydial infection of the lower genital tract usually progresses to endometritis and salpingitis which may cause wuch sequlae as tubal infertility and ectopic pregnancy. This study was plann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detection of chlamydial deoxyribonucleic acid in endocervix and tub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71 infertile women who were undertaken diagnostic laparoscopy at infertility clinic had serum drawn for chlamydial antibody test by ELISA. PCR test for detection of chlamydial DNA was carried out in both endocervix and tube. We divided 71 infertile women into 3 groups by laparoscopic findings. Each group included 29 patients with tubal factor infertility(Group I), 20 patients for tubal reversal(Group II), 22 patients with nontubal factor infertility(Group III)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ositive rate of serum chlamydial antibody in group I, II and III was 65.5%(19/29 cases), 40%(8/20 cases) and 18.2%(4/22 cases) respectively. 2. In chlamydial positive patients, the proportion of tubal factor infertility was 61.3%(19/31 cases). 3. All 3 women who were PCR positive in endocervical swab were also chlamydial seropositive. Chlamydial DNA was detected in only one tubal specimen that was seronegative. In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serological test for chlamydia trachomatis is a useful parameter in tubal infertility(p$lt;01). Further study of PCR in endocervix will be of value in future management of chlamydial infection of female genital tr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