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through Occupation

        진예린(Jin, Yeri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4

        이 논문은 서울 광화문 세월호광장에 대한 사례 연구로, 지리학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은 도시 공공공간 점거의 역학을 분석함으로써 공공공간 장소만들기 과정을 그려낸다.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로 목숨을 잃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사고의 진상규명을 요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소인 세월호광장에 대한 관찰을 통해 공공공간의 점유가 확장되어 장소만들기 전략으로 사용되는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은 행위자 중심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세월호광장 만들기에 참여한 다양한 도시 행위자들의 정치적 의도와 역할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공공공간의 점유와 공공공간의 사유화의 담론을 분리하고 이를 도시 장소만들기의 이론적 틀 안에서 분석한다. This paper draws upon the politics of place-making by examining the dynamics around the occupation of public space, a topic that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geographers and urban scholars. This study looks at the case of Sewolho Gwangjang at Gwanghwamun plaza in downtown Seoul, a place made both to commemorate the victims who lost their lives in the Sewol ferry (Sewolho) disaster of 2014 and as a form of protest by their families. It explores how the occupation of Gwanghwamun Plaza by the victims’ families eventually turned into the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in the occupied territory as well as how the place was politically claimed as a public space, Gwangjang. An actor-oriented approach is taken to illustrate the dynamics and competi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around the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The main actors comprise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entities that both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became involved in the making of Sewolho Gwangjang. The findings demonstrate, first, that the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was concurrent with the expansion of the occupation and thus there was continuous tension between competing forces. Second,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took place through cooperative efforts of key political actors who engaged in and was supported and sustained by citizens who shared griefs and ideologies. This research ultimately aims to present a progressive understanding of the occupation of public space by contextualizing it as a place-making process.

      • UAV 영상자료를 활용한 경사밭 고랑식생멀칭에 따른 식생 피복도 비교

        양예린 ( Yerin Yang ),최순군 ( Soon-kun Choi ),안난희 ( Nan Hee An ),엽소진 ( So-jin Yeob ),안호용 ( Hoyong Ahn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농경지 비점오염 저감방법인 식생멀칭은 비구조적 최적관리기법 (BMPs, Best Management Practices) 중 하나로, 주작물과 함께 피복식물을 파종하여 피복도를 증가시키고 강우가 토양에 떨어지는 타격을 완충시킴으로써 토양침식 및 양분유출을 저감 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밭 옥수수재배지의 식생멀칭에 따른 식생 피복도를 관행 재배와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포장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경사지라이시미터 (전북 완주군 이서면)에 구성하였으며 대조구는 토양증발과 잡초 발아 억제를 위한 비닐멀칭 관행 재배로, 처리구는 관행 재배에 고랑식생멀칭을 적용하였다. 시험포장의 토성은 양토, 사양토이며 경사장은 24m, 경사도는 13%이다. 경운 및 비닐멀칭은 4월 4일, 옥수수는 4월 21일에 정식하였다. 고랑식생멀칭 처리구에 사용한 식물은 알팔파로 옥수수 정식 전인 4월 5일 파종하였다. 옥수수는 7월 6일에 수확하였으며, 수확 후에도 경운 없이 옥수수와 알팔파를 유지하였다. 옥수수는 7월 28일에 제거하였다. 시험 포장의 피복도 비교를 위해 시험구를 UAVs를 이용해 4월 ~ 8월 총 6회 촬영하였고, 가시광선파장(RGB)을 이용해 피복도를 산정하였고 근적외선 파장을 이용해 엽면적활력지수 (NDVI)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토양 피복도에 따른 토양침식 및 양분유출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SCIESCOPUSKCI등재

        Impact of High-Level Expression of Heterologous Protein on Lactococcus lactis Host

        ( Mina Kim ),( Yerin Jin ),( Hyun-joo An ),( Jaehan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7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27 No.7

        The impact of overproduction of a heterologous protein on the metabolic system of host Lactococcus lactis was investigated. The protein expression profiles of L. lactis IL1403 containing two near-identical plasmids that expressed high- and low-level of the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were examined via shotgun proteomics. Analysis of the two strains via high-throughput LC-MS/MS proteomics identified the expression of 294 proteins. The relative amount of each protein in the proteome of both strains was determined by label-free quantification using the spectral counting method. Although expression level of most proteins were similar, several significant alterations in metabolic network were identified in the high GFP-producing strain. These changes include alterations in the pyruvate fermentation pathway, oxidative pentose phosphate pathway, and de novo synthesis pathway for pyrimidine RNA. Expression of enzymes for the synthesis of dTDP-rhamnose and N-acetylglucosamine from glucose was suppressed in the high GFP strain. In addition, enzymes involved in the amino acid synthesis or interconversion pathway were downregulated. The most noticeable changes in the high GFP-producing strain were a 3.4-fold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stress response and chaperone proteins and increase of caseinolytic peptidase family proteins. Characterization of these host expression changes witnessed during overexpression of GFP was might suggested the metabolic requirements and networks that may limit protein expression, and will ai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lactococcal hosts to produce more heterologous protein.

      • KCI우수등재

        지리학적 행복 연구 - 행복과 공간적 역량에 관한 북유럽 사례 질적연구 -

        신혜란(HaeRan Shin),진예린(Yerin Jin)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행복과 복지의 모범적 사례로 거론되는 북유럽 대도시 사람들의 행복에 관한 질적 분석이다. 근래 들어 지리학에서 행복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행복을 정해진 상태가 아니라 구체적 맥락과 개인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보는 질적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요구에 답하여 노르웨이 오슬로와 덴마크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20-30대 청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 피면담자들의 심층 구술 면담을 통해 행복한 경험과 불행한 경험, 문제상황에서의 대응 방식, 인생 경험을 통한 행복 전략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이론적 틀로서는 삶에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뜻하는 인간 역량을 행복의 중심으로 보는 역량 이론(capability theory)을 거주, 이동의 자유에 관한 개념으로 발전시킨 공간적 역량(spatial capability) 개념이 사용되었다.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피면담자들은 행복을 정의하는 것에 선택의 자유와 만족감을 주요어로 얘기했고, 특히 보람을 느끼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에 큰 책임감과 의의를 두었다. 둘째, 거주, 이주의 자유에 관한 삶의 경험에서, 피면담자들은 수도 대도시에 사는 것에 만족했지만 높은 집값에 따른 부담으로 제한된 공간적 역량에 대해 거주공간 전략을 발전시켰다. 셋째, 피면담자들은 자신이 대면한 불평등에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는 편이었고 사회구조적 원인을 추적하기도 했다. 넷째, 심층면담에서 공통적으로 활발한 동호회 활동, 친한 지인과의 사교 관계는 대부분의 피면담자들에게 무척이나 중요한 삶의 요소였다. 본 연구는 삶의 경로에서 나타나는 행복의 구성 과정을 제시하여 인간과 환경의 상호 관계를 보는 지리학에서 행복 논의의 장점과 필요성을 제안하고 행복과 연관된 정책결정에서 공간적 고려를 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happiness of people living in big cities in Northern Europe, which are regarded as models of happiness and welfare. In the field of geography, calls for research into happines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is research responds to those calls, using qualitative and processual approaches to view specific contexts of happiness in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life experiences and individuals’ strategi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is constructed around ‘human capability,’ the freedom to choose a different kind or another way of life, and ‘spatial capability,’ the capability in the areas of residency and mobility. Based 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er adults in their 20s as well as adults in their 30s and older living in Copenhagen, Denmark, and Oslo, Nor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ir definition of happiness,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equated satisfaction with the freedom of choice, putting an emphasis on choosing a rewarding job. Second, in discussions of their experiences of freedom of residence and mobilities, most interviewees expressed contentment with living in the capital city but admitted to having had to develop a residential space strategy for limited spatial capabilities due to high housing prices. Third, those interviewees tended to actively raise questions about the inequality they faced that they attributed to social structural causes. Fourth, interviewees cited involvement in associations and social activities with friends as playing an important part in their happiness. This study outlines the merits of discussing happiness in geography and suggests the consideration of happiness in policy related to spatial decisions.

      • KCI등재

        재난적의료비 지표 특성에 관한 연구 -발생률과 발생강도 비교를 중심으로-

        정현우 ( Hyunwoo Jung ),이태진 ( Tae-jin Lee ),유예린 ( Yerin Yu ),이준협 ( Junhyup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2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 재난적의료비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발생강도 측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재난적의료비 발생과 발생강도의 개념을 각기 설명하고, 각 지표에 대한 분석결과가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2011년~2016년 자료를 사용하여 재난적의료비 발생률과 평균 발생강도 추이를 비교하고, 2016년 단일 자료를 통해 집중지수를 산출하여 각 지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패널 투파트 모형을 통해 재난적의료비 발생과 발생강도 각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시간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었던 재난적의료비 발생률과 달리 평균 발생강도는 상당 수준 감소하고 있었다. 둘째, 집중지수는 두 지표 모두 저소득층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발생의 경우 기준치에 따른 편차가 크고 발생강도는 작게 나타나 지표의 안정성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재난적의료비 발생과 발생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발생의 경우 건강보험 보장성보다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국내 재난적의료비 연구는 대부분 발생의 측면에서만 분석되어왔다. 향후에는 재난적의료비 발생강도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 of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CHE) in order to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ntensity aspect that has been overlooked in existing domestic research fields, and to suggests that the results for each indicator are difference. This study compared the trends in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CHE using data from 2011-2016 of the Korean Health Panel, and calculated the concentration index using a single data in 2016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cator. Finally, we analyzed the factors of CHE in aspects of incidence and intensity through the panel two-part model. As a result, firstly, while the incidence had little change over time, the intensity was significantly decreasing. Second, in the concentration index, both indicatos were concentreated in the low-income group, but the incidence was vulnerable to the threshold. Third, factors influencing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CHE differed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cidence was more associated with demographic factors or prevalence than insurance coverage. Existing studies on CHE in Korea have been analyzed only in terms of incidence. In the future, research on the intensity of CHE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