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혈연간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의 단일기관성적 : Single Center Experience

        김유진,김동욱,이석,이동건,박윤희,김희제,김태규,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3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8 No.2

        연구배경: 비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은 HLA체계에 대한 이해의 증진과 새로운 검사법의 개발, 그리고 기증자 수의 증가에 힘입어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방법: 가톨릭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1995년 10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비혈연간 이식을 받은 138명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질환별로 만성골수성백혈병 66예, 급성림프구성백혈병 23예, 급성골수성백혈병 16예, 재생불량성빈혈 21예, 골수이형성증후군 9예, 비호지킨림프종 2예, 그리고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이 1예였다. 일차 생차부전은 분석가능한 136예 중 4예(2.9%)에서 발생하였다. Ⅱ도 이상의 급성이식편대숙주병의 발생률은 48.1%였고, 만성이식편대숙주병은 49.5%였다. 재발 이외의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폐렴으로, 독성사망 64예 중 36예(52.3%)에서 관찰 되었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경우(n=66), 무병생존율, 재발률, 비재발성 사망률이 각각 45.7%, 11.4%, 49.2%였다. 무병생존율은 표준위험군이 고위험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50.3% vs 32.0%, p=0.03).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경우(n=23), 무병생존율, 재발률, 비재발성 사망률이 각각 30.0%와 49.4%, 44.8%였던 반면,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는(n=16) 28.6%, 39.4%, 52.9%였다. 이들 급성백혈병에서는 표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에서 재발률과 비재발성 사망이 모두 높게 관찰되었다. 중증재생불량성빈혈의 경우(n=21), 무병생존율과 비재발성 사망이 37.3%와 62.7%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비혈연간 이식은 HLA적합 형제가 없는 혈액질환 환자들에게 유용한 치료법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낮은 병기에서의 조기 이식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한 HLA 적합도의 개선이 이식관련 사망을 최소화시켜 비혈연간 이식의 효과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Unrelated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U-SCT) is recently on a increasing trend supported by better understanding of HLA system, development of new HLA typing, and increase of donor pool.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38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U-SCT between October 1995 and December 2001 at Cathol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Results: Diagnoses were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n=66),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n=23), acute myeloid leukemia (AML, n=16), severe aplastic anemia (SAA, n=21), myelodysplastic syndrome (MDS, n=9), non-Hodgkin lymphoma (NHL, n=2), and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 n=1). Primary engraftment failure was observed in 4 (2.9%) of 136 evaluable patients. Acute GVHD (≥grade II) occurred in 48.1% and chronic GVHD occurred in 49.5%.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other than relapse was pneumonia, which occurred 36 (52.3%) of 64 toxic deaths. In CML, disease-free survival (DFS), relapse rate, and non-relapse mortality (NRM) was 45.7%, 11.4%, and 49.2%. DFS of the standard-risk group (SR)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high- risk group (HR) (50.3% vs 32.0%, P=0.03). In ALL, DFS, relapse rate, and NRM was 30.0%, 49.4%, and 44.8%, whereas corresponding figures for AML were 28.6%, 39.4%, and 52.9%. NRM and relapse rate were higher in HR compared to SR in acute leukemia. In SAA, DFS and NRM was 37.3% and 62.7%.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U-SCT is a feasible therapeutic option for patients lacking a HLA-matched sibling donor. Transplantation at earlier phase of disease with more accurate HLA matching by molecular typing can minimize treatment-related toxicity and could extend the benefit of U-SCT.

      • KCI등재

        신축학교 실내공기질이 초등학생들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태섭,김선주,박시영,전만중,김규태,김창윤,정종학,백성옥,사공준 대한산업의학회 2007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9 No.1

        목적: 신축초등학교와 대조학교를 선정하여 교실 내 포름알데히드와 TVOCs를 측정하고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이용하여 실내공기 오염물질이 학생들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법: 신축초등학교 5학년 71명을 실내공기 오염물질 노출군으로 하고, 개교한지 12년째인 대구시의 일개 초등학교 5학년 2학급 63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실내공기 오염물질농도 측정 및 컴퓨터 신경행동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신축학교에서 의도적으로 창문을 개방한 학급에서 1교시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34.6 ㎍/㎥, 4교시에는 27.3 ㎍/㎥, 창문을 개방하지 않은 학급에서 1교시 80.2 ㎍/㎥, 4교시 127.1 ㎍/㎥, 대조학교에서는 2학급 각각 1교시에 12.6 ㎍/㎥, 7.5 ㎍/㎥, 4교시에 19.8 ㎍/㎥, 25.2 ㎍/㎥였다. TVOCs의 경우 신축학교의 의도적으로 창문을 개방한 학급에서 1교시에 농도는 487.2 ㎍/㎥, 4교시에 428.2 ㎍/㎥, 창문을 개방하지 않은 학급에서 1 교시에 농도는 1,283.5 ㎍/㎥, 4교시에 1,715.4 ㎍/㎥, 대조학교의 경우 2학급에서 각각 1교시에 농도는 240.9 ㎍/㎥, 150.8 ㎍/㎥, 4교시에 농도는 371.9 ㎍/㎥, 448.0 ㎍/㎥였다. 부호숫자 짝짓기의 평균반응시간은 대조학급이 1교시에 2,585 msec에서 4교시에 2,459 msec으로 감소한 반면 신축학교의 창문을 의도적으로 개방한 학급은 2,343 msec에서 2,510 msec으로, 평소대로 수업한 학급은 2,340 msec에서 2,563 msec으로 반응시간이 각각 167 msec, 223 msec 증가하였다. 1교시의 부호숫자 짝짓기 의 반응시간을 100%로 했을 때 창문을 의도적으로 개방 한 학급은 4교시에 5.9% 증가하였고(p<0.01), 평소대로 수업한 학급은8.3% 증가하였다(p<0.01). 반면에 대조학급은 4교시에 5.0% 감소하였다(p<0.01). 결론: 향후 학교의 실내공기질의 안전성 평가는 샘플링 된 공기의 오염수준의 측정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건강영향도 함께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bjectives: Most studies on the indoor air quality of newly built schools have focused only on the number of schools exceeding a standard or on subjective symptoms, such as sneezing, irritated eyes and an irritated nose.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 on how poor indoor air quality affects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neurobehaviora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e indoor air pollutants and compared children's performance, using a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between a newly built and a 12-year-old school.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regarding the indoor air quality related symptoms of children in a newly built and a 12-year-old school. Results: In the newly built school, the formaldehyde levels in the 1^(st) and 4^(th) classes with an open window were 34.6 and 27.3 μg/㎥, respectively. The levels in the 1^(st) and 4^(th) classes with the window closed were 80.2 and 127.1 μg/㎥, respectively. In the 12-year-old school, the formaldehyde levels in 1^(st) and 4^(th) class with open and closed window were 12.6 and 7.5 μg/㎥, and 19.8 and 25.2 μg/㎥,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e levels in the 1^(st) and 4^(th) classes with the window open in the newly built school were 87.2 and 428.2 μg/㎥, respectively. In the 1^(st) and 4^(th) classes with the window closed,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1,283.5 and 1,715.4 μg/㎥, respectively. In the 12-year-old school,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240.9 and 150.8 μg/㎥, and 371.9 and 448.0 μg/㎥ in the 1^(st) and 4^(th) class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a newly built school,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in the neurobehavioral test in the 4^(th) class with the window closed was 8.3% lower than for those in the 1^(st) class with the window closed, but was only 5.9% lower when the windows were open.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s of symptoms between the two schoo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a proper evalu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within schools is required into both the level of contamination and the health effects of these contaminants toward children.

      • 당뇨병성 합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혈중 Erythropoietin 농도

        김동규,유기동,허광식,김상용,윤성호,조영신,권용은,김태원,김건영,정종훈,배학연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98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3 No.1

        연구 배경 : 고혈당성에 의한 산화환원반응 이상(가저산소증)이 조절 되지않는 당뇨병의 특징으로 혈관과 신경 기능에 대한 진성 저산소증의 효과와 유사하며, 당뇨 합병증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혈당이 있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수준이 정상이듯이, 빈혈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서 EPO의 농도는 실제 혈색소 농도의 감소비율과 차이가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Friedman 등은 당뇨병성 합병증 원인 인자로 가저산소증(pseudohypoxia) 또는 저산소증(hypoxia)을 제기하였고 이런 인자들이 EPO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결핍에 의한 것임을 보고하였다. 방법 : EPO-Trac^(TM 125)I RIA kit을 이용하여 방사면역측정법으로 EPO 수준을 검사하였다. 전혈 3㎖을 5-10㎖ 시험관에 정맥 채혈하였으며, 용혈과 장기간의 보존을 위하여 원심분리를 즉시 시행하여 혈청을 영하 200C에서 냉동 보관 후 일괄적으로 검사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996년 9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내과에 입원한 2형 당뇨병 환자 63례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당뇨병성 합병증이 없는 군과 있는 군간의 혈색소, 혈중 EPO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색소의 감소율보다 혈중 EPO의 감소율이 더 높았다. 2) 당뇨병성 망막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중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증식성군에서만 혈중 EPO의 감소비율이 혈색소에 비해 높았다. 3) 당뇨병성 신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혈중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혈색소 감소율에 비해 EPO농도의 감소율이 높았다. 신증의 중증도에 따른 혈색소, EPO의 차이는 미세알부민뇨군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혈색소 감소율에 비해 EPO의 감소율이 더높았다. 4)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색소와 EPO의 감소비율은 비슷하였다. 신경병증의 중등도에 따른 혈색소와 EPO농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stage 3에서는 혈색소감소율보다 EPO감소율이 더높았다. 결론 : 당뇨병성 합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빈혈의 정도는 대부분 혈청 EPO치의 절대적 감소에 의함을 간접적으로 밝혀낼 수 있었으며 차후 더 많은 대상으로 비교 분석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Hyperglycemic-induced redox(pseudohypoxia) imbalance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poorly controlled diabetes that mimics the effects of true hypoxia on vascular and neural func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complications. As is true for apparently "normal" insulin levels typically found in NIDDM even in the presence of hyperglycemia, a "normal" erythropoietin level in an anemic diabetic subject may be disproportionally low for the actual red cell mass. Therefore, Friedman et al suggested that pseudohypoxia or hypoxia as an etiological factor of diabetic complications are due to absolute or relative erythropoietin deficiency Method: EPO-TracTM 125I RIA kit was us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rythropoietin(EPO) in serum by radioimmunoassay. An adequate sample of blood (3ml whole blood) was collected aseptically by venipuncture in a 5~10ml glass tube to yield a minimum of 400 L of serum per assay. The serum was promptly removed from the clot by centrifugation in order to avoid hemolysis. Then to increase its storage time it was frozen at -200C in a nonself defrosting freezer. Finally, tests were undertaken simultaneously Results We studied 63 cases with diabetes mellitus, who were admitted to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1996 to February, 1997 at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e defined the control group, as diabetic patients who did not have anemia(<13mg/dl), diabetic complications(retinopathy, nephropathy, neuropathy) and the remainders were defined as the experimental group(we excluded anemic patients, who had secondary causes of anemia and diabetic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Data were as follow 1) The relationship of Hb and the 24hr urine protein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significantly differed(p=0.02, < 0.001 respectively), but the Hb level was poorly related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retinopathy(except in preproliferative, proliferative subgroups) and neuropathy. 2) Subgroups of patients with diabetic complications had higher 24hr urine protein than patients without diabetic complications, except stage I diabetic neuropathy 3) The EPO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4) The correlation between EPO and Hb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with retinopathy and nephropathy according to severity of diabetic complications, compared with patients who did not have diabetic complications such as retinopathy and nephropathy. Conclusion: We know that anemia induced by diabetic complications is due to relative EPO deficiency than absolute EPO deficiency, and further evaluation and studies are needed on many cases in the future

      • 통풍성 관절염의 임상적 고찰

        윤채중,정승문,김영학,김동규,허광식,김태원,배학연,정종훈,이승일,김평남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97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2 No.2

        통풍은 Purine 대사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고뇨산혈증인 사람의 전부가 통풍으로 발현되지 않고 증상의 출현 양상이 다양하여 진단과 치료에 주의가 필요하며, 조기에 적절한 조치를 한다면 충분히 조절이 가능한 질환이다. 본대학 내과학교실에서는 통풍으로 치료한 32명의 환자에서 임상양상, 병력과 검사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음 결과를 얻었다. 1. 32명 모두 남자이며, 최초 발병 시기는 24세에서 72세로 평균 43.8±11.9세이었으며, 30대에서 40대까지가 19명(59.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내원 당시 나이는 27세에서 75세까지로 평균 52.3±10.4세였으며, 내원시 까지 평균 유병기간은 8.5±6.8년으로 나타났다. 2. 동반 질환으로는 고지혈증 12례, 신장질환 10례, 고혈압 12례, 비만 8례, 당뇨 2례 등이었다. 3. 이환된 관절은 단관절 침범이 19례(59.4%), 다관절 침범이 13례 이었으며, 최초 이한된 관절은 족무지 중족골지골 관절로 19례(59.4%)로 가장 많았고, 통풍 결절은 20례(62.5%)에서 관찰되었으며, 유병기간이 10년 이상된 12례중 11례 (91.7%)에서 결절이 관찰되었다. 4. 평균 혈중 요산치는 9.17±1.75 ㎎/dl이었으며, 8.0 ㎎/dl에서 9.9 ㎎/dl 사이가 19명으로 전체의 59.4%를 차지하였다. Objective: The gout is a heterogeneous group of diseases resulting from tissue deposition of monosodium urate or uric acid crystals from extracellular fluids supersaturated with respect to this end product of human purine metabolism.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re such as hyperuricemia, gouty arthritis, gouty nephropathy, uric acid nephrolithiasis. We analyze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associated factors in gout. Method: We hav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results of thirty-two patients admitted at our department from April 1996 to July 1997. Result: 1) All patients were male. The mean age at initial attack was 43.8 years old, ranging from 24 to 72 years old. 2) The mean level of serum uric acid was 9.17mg/dl on admission. 3) The first metatarsopharyngeal joint was involved in 19 cases (59.4%). Tophus was observed in 20 cases (62.5%). 4) Hyperuricemia wa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obesity, nephrolithiasis and hyperlipidemia.

      • Fe-20Cr-xNi-6Mo-0.3N계 스테인리스강의 부식 특성에 미치는 Ni의 영향

        김영식,박인규,김태희 안동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2 基礎科學 硏究論文集 Vol.3 No.1

        염산과 황산 용액 중에서 나타나는 Fe-20Cr-xNi-6Mo-0.3N계 스테인리스강의 부식 특성에 미치는 니켈 함량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양극 분극 시험, 재부동태화 시험 및 용액 분석을 행하였다. 니켈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식 전위는 상승하였으나, 임계 전류 밀도와 부동태 전류밀도는 각각 시험 용액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동태화 거동에 미치는 니켈 함량의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 검토하였다. The effect of nickel content on the corrosion properties of Fe-20Cr-xNi-6Mo-0.3N stainless steels in a hydrochloric acid and a sulfuric acid has been studied by anodic polarization test, repassivation test, and solution analysis. With an increase in the nickel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corrosion potential was increased, but the critical current density and the passive current density were depended on test solutions. In this work, the effect of nickel content on the passivation behavior was evaluated and discussed as well.

      • O_3와 O_3/UV를 이용한 수용액중의 음이온계면활성제의 처리에 관한 연구

        김태성,문병현,이택순,서규태 7개 국립대학교 환경연구 논문집 공동발행 위원회 2001 환경연구논문집 Vol.1 No.1

        Water pollution by discharging surfactant into receiving water has become serious. One of pollutants widely contained in domestic wastewater is surfactants. To remove these surfactants, ozonation has been used but it doesn't perfectly remove relatively non-degradable organic matter. Recently, an advanced oxidation process using OH radical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for removing such non-degradable pollutants. In this study it was treated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DBS) using Ozone and Ozone/UV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removal efficiencies by Ozonation increased as the dissolved ozone concentration, initial temperature and pH increased. The combination process of Ozone/UV for DBS removal resulted in 4 times higher reaction rate than the Ozonation process. The combination process showed higher removal efficiencies for treating laundry wastewater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was increased by pretreating particle matters.

      • KCI등재

        Chlorpromazine의 유전적 안전성에 관한 연구

        김한규,손윤희,이광현,윤태호,남경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3

        연구목적 ; 항 정신성약물로 사용빈도가 높은 chlorpromazine을 사용하여 이 약물의 돌연변이원성과 유전독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Bacillus subtilis을 사용한 DNA손상성검토(rec assay),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돌연변이원성실험(Ames test 및 SOS umu test) 그리고 생쥐에 chlorpromazine를 직접 주입하여 대사 후에 돌연변이원성을 확인하는 host-mediated assay법을 각각 사용하였다. 결 과 ; Rec assay에서 chlorpromazine은 Bacillus subtilis의 DNA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salmonella typhomurium TA 98 및 TA100을 이용한 돌연별이원성 실험에서도 chlorpromazine은 어느 균에도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S-9 mixture의 첨가에 의해 대사가 된 후에도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SOS umu test의 경우에도 β-galactosidase활성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chlorpromazine은 돌연별이원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S-9 mixture 처리 후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한편 생쥐를 이용한 host mediated assay에서도 Ames test에서 S-9 mixture를 첨가 한 경우와 같이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결 론 : 이상을 종합해 볼 때 chlorpromazine은 본 실험에 사용한 4가지 방법에서는 돌연병이원성과 유전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exposure to chlorpromazine causes mutagenicity and genetic disorders. Method : Ames(Salmonella typhimurium) test and Rec assay(Bacillus subtilis) were used as indicators for DNA damage. Furthermore, the levels of umu operon expression by measuring the β-galactosidase activity were monitered with the SOS umu test using S. typhimurium 1535 containing plasmid pSK1002. And the host-mediated assa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utagenicity of chlorpromazine after the activation with in vivo metabolic systems. Results : From the results, chlorpromazine did not affect DNA of S. typhimurium and B.subtilis strains and showed no mutagenicity at the all concentrations tested. These phenomena was also similar to that after metabolic activation of chlorpromazine in in vivo system.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lorpromazine did not show the mutagenicity and genotoxicity by four different methods u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