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장세진,고상백,강동묵,김성아,강명근,이철갑,정진주,조정진,손미아,채창호,김정원,김정일,김형수,노상철,박재범,우종민,김수영,김정연,하미나,박정선,이경용,김형렬,공정옥,김인아,김정수,박준호,현숙정,손동국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Background and Purpos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numerous studies performed in Korea have reported that job stress is a determinant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and work disability. Every society has its own culture and occupational climate particular to their organizations, and hence experiences different occupational stres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therefore needs to be developed to estimate it obj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tandardiz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which is considered to be unique and specific occupational stressors in Korean employees. Subjects an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A total of 12,631 employees from a nationwide sample proportional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were administered. The KOSS was developed for 2 years (2002-2004). In the first year, we collected 255 items from the most popular job stress measurement tools such as JCQ, ERI, NIOSH and OSI, and 44 items derived from the a qualitative study (depth interview). Forty-three items of KOSS, in the second year, were retained for use in the final version of the KOSS by using Delphi and factor analysis. Items were scored using conventional 1-2-3-4 Likert scor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Results: We developed eight subscales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process: physical environment (3 items), job demand (8 items), insufficient job control (5 items), interpersonal conflict (4 items), job insecurity (6 items), organizational system (7 items), lack of reward (6 items), and occupational climate (4 items). Together they explained 50.0% of total variance. Internal consistency alpha scores were ranged from 0.51 to 0.82. Twenty-four items of the short form of the KOSS (KOSS-SF) were also developed to estimate job stress in the work setting. Because the levels of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gender dependent, gender-specific standard norms for both the 43-item full version and the 24-item short form using a quartile for the subscales of KOSS were presen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OSS might be an appropriate measurement scale to estimate occupational stress of Korean employees. Further and more detailed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scale.

      • KCI등재

        어깨 근막통 증후군에서 어깨 관절운동범위에 대한 분석

        김정수,김인아,이수진,김용규,박시복,고재우,송재철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f the measurement of range of motion(ROM) could be applied in the diagnosis of Myofascial Pain Syndrome(MPS) and to determine the severity by analyzing ROM in MPS pati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76 femal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service workers. Southampton Protocol and Pittsburgh Protocol were used to diagnose MPS and to measure ROM. ROMs were measured by 2 inclinometers exercising each shoulder passively and actively in 5 directions ; abduction, forward flexion, extension,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Result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n=147), the mean of right side ROM in the subjects (n=270) with same side MPS was 2.1˚ (SD=11.5) lesser in active extension and 1.7˚ (SD=10.4) lesser in passive extension. Compared to the mild group (n=210), the mean of right side ROM in the patients with same side severe MPS (N=58) was lesser in all directions. Especially in active forward flexion, passive forward flexion, active extension, passive extension and active external rotation, ROM in the subjects with severe MPS was lesser by 6.5˚ (SD=13.1), 5.1˚ (SD=12.8), 5.9˚ (SD=11.8), 5.0˚ (SD=10.6) and 3.9˚ (SD=9.8), respectively, than those of the subjects with mild MPS. Compared to the subjects with left side mild MPS(n=172), ROM in the subjects with left side severe MPS (n=59) was 5.3˚ (SD=13.3) lesser in active forward flex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ROMs in the subjects with severe MPS tended to be lesser than those in mild patients. This tendency was more prominent in the right side than the left, active range of motion than passive and forward flexion and extension than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iagnose shoulder MPS and determine severity.

      • EGFR 돌연변이와 ROS1 전위를 동시에 가진 폐선암 환자의 Erlotinib 치료 1예

        김민환,박예현,박혜정,지아영,송창호,진무년,김영주,김선욱,이중희,김인수,김혜련,김주항,조병철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14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7 No.1

        The rearrangement of c-ros oncogene 1 (ROS1) has been recently identified as an important molecular target in non small cell lung cancer (NSCLC). ROS1 rearrangement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utation were mutually exclusive each other in previous studies, and the clinical implication of co-existence of the two genetic alterations has not been determined. We report a case of 46-year-old female never-smoker NSCLC patient whose tumor harbored ROS1 rearrangement and EGFR mutation concomitantly. She had undergone curative surgery for stage IIIA NSCLC, and the recurrence in left pleura and brain occurred at 2 years after the surgery. She received several lines of chemotherapy including docetaxel plus carboplatin, erlotinib, pemetrexed, and gemcitabine. Erlotinib therapy showed a favorable treatment response with progression-free survival of 9.5 months and partial response of tumor on radiologic evaluations. This case represents a successful erlotinib treatment in a NSCLC patient with concurrent ROS1 rearrangement and EGFR mutation.

      • 침 시술로 발생한 Non-O1, Non-O139 Vibrio cholerae에 의한 패혈증

        임태섭,지아영,이중희,장수연,김인수,김영주,김범경,김승업,박준용,안상훈,한광협,김도영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1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6 No.S

        Vibrio cholerae is mainly known to cause gastrointestinal infection after seawater exposure or raw seafood intake. It is rarely reported to cause cellulitis or sepsis, but threre has been no known case after acupuncture. Herein, We report a 56-year-old cirrhotic patient of non-O1, non-O139 Vibrio cholerae septicemia caused by cellulitis of both lower extremities after acupuncture.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현황과 전망

        임종한,장성실,김성아,문재동,채창호,홍윤철,김수영,김진석,김영욱,한상환,이혜숙,원종욱,송동빈,하은희,강성규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기존의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직업병 관리가 진폐증, 소음성난청 등의 소수 특정질환에 국한되고 실제 직업병 발생 규모 파악이나 신종 직업병의 발견에 한계를 보인다는 사실은 산업의학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이루고 있다. 미국과 영국 등에서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에 대한 경험은 우리 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에도 새로운 자극제가 되면서, 1998년이후 인천, 대전, 여천, 구미, 부울경 지역에서 지역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산업보건관리의 중요한 시스템으로 구축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새로이 구축되어지는 이들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질환,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 및 자료원, 지역 의료체계의 특수성 등에 따라서 목적과 방법을 달리하면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다. 각 지역단위 감시체계들이 그 상황에 맞게 독특한 목적과 전략들을 발전 시키면서도, 향후 발전할 국가적인 차원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하여 직업성질환 감시의 기본 전략 등을 공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환례 정의 및 기본적인 등록 서식의 공유, 직업성질환 감시 자료원의 발굴, 공동의 정보 네트워크 및 직업성질환 감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직업성질환 감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기초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집된 자료의 질 관리를 위한 직업성질환 감시의 원칙 제정과 감시 전략의 공유 등이 필요하며, 전국적인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하부구조라고 할 수 있는 지역감시체계의 기초 토대 마련과 강화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 KCI등재

        경기도 일부 지역 청소년들의 치과공포 및 불안에 대한 연구

        심연수,김아현,안소연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지역 일부 중학생의 치과치료 관련 공포 및 불안 수준을 측정하고, 그와 관련된 요인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여 불안과 공포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보다 편안하고 효율적인 구강건강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중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남학생 337명, 여 학생 277명으로서 과거 치과치료 경험이 있는 총 614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문항별 답변의 분포를 알아보 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남녀별 응답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포점수의 비교를 위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기도 일부 중학생들은 치과 전문가가 일반적으로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 서도 치과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료실에서 직접 치료를 하는 경우와 관련된 항목에서 공포를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수준의 치과공포도를 보였다(p<0.0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fear and anxiety levels of some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o analyze the relevant factors, to seek how to alleviate such fear and anxiety and thus enable to make a comfortable and efficient oral management. Six hundred twenty two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used the data of 614 respondents, i.e. 337 males and 277 females.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answers for each question, a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gender differences in answer and an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fear scores. According to the results patients feared even in unexpected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y feared when receiving direct treatment. In terms of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fear than male ones (p<0.05).

      • 대학생들의 다이어트 식습관 실태 조사

        김연정,문진아,왕수경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0 自然科學 Vol.21 No.-

        대전대학교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식생활과 다이어트’ 교과목을 수강하는 남녀 학생 151 명을 대상으로 다이어트 경힘과 함께 그들의 식습관을 알아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81 명과 여학생 70명으로 총 151 명이었다. 남학생들의‘식생활과 다이어트’ 수강동기는 식생활 전반에 대해 공부하고 싶다는 응답이 여학생들은 특히 다이어트에 관심이 있어서 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높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 중 51 .4%, 남학생 중54.3%는 다이어트에 대한 경험이 있었으며, 다이어트 해 본 시기는 남학생은 대학교 때 여학생은 고등학교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다이어트 정보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인터넷과 경험 있는 친구 나 선배를 통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남녀 학생의 평균 운동 시간은 유의적 차이를 보여 남학생은 주 1 - 3시간 운동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여학생들의 주 1 시간미만 운동하는 학생이 많았다. 식생활 태도에 대한 조사에서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학생이 남녀 각각 19.6%. 18.6%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과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간식을 먹는 횟수는 여학생이 많았다. 조사대상자 자신의 식생활의 개선점으로 남녀 학생이 각각 56 .4%와 47.0%가 불규칙한 식사로 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남녀 학생들이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고 식습관에 문제가 있어 “식생활과 다이어트”과목을 수강함으로써 식습관과 다이어트 과목을 통한 영양교육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In th is study, 151 students(male were 81 and female were 70enrolled in ‘' Food and Diet course were asked about their diet experiences and food habits . In the question asking the reasons for taking this‘' Food and Diet'class , most male subjects answered they enrolled 'to learn about overall knowledge’, whereas female students answered ' special interest in diet’' led to taking th is class. 67 .1 %of women and 64.2% of men said they put effort to maintain weight. Also , 51 .4%of female and 54.3% of male have experience of diet. The period of diet was most frequent in University for men (33 .3%) and in high school for women (47.1 %). Diet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internet of from friends with previous experiences for both genders . It showed students gain little through reading nutrition related books , percentage was low for men and women (3 .7%. 1.4%, respectively). For diet methods. 40% of the subjects in total said they do diet through exercise. Female subjects showed that they've tried many different methods such as yoga and diet therapy . 53 .1 % of male and55.7% of female answered the diet was effective and lost weight. I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dietary life and habits. percentage of the subjects who do not eat breakfast was 19.6% for men and 18.6% for women. The frequency of excessive eating and taking snacks was higher in men 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From above results , we can conclude that the interest in diet was high in both gender and they both have problems regarding eating habits. 80 by taking ‘' Food and Diet’' class , it is predicted that this course will have educational effect on students 'eating habits and their diet.

      • 치료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Issues and Future Delivery System

        안수경,김영태,전헌선,정동일,한현민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2005년 3월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에 의하여 특수학교 치료교육교사의 확대배치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의 치료교육 담당교원 배치 등 치료교육 분야의 발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개정법률이 실제 교육현장에 보다 실효성있게 적용되기 위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 공교육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치료교육활동의 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고 보다 적합한 치료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 정책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치료교육의 개념, 역사, 외국 사례 등에 관한 문헌을 탐색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치료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치료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위하여 전국의 142개 특수학교와 182개 지역교육청을 대표하는 1,078명의 교사들로 조사단을 구성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 결과 전국의 16개 시·도교육청에 소속된 142개 특수학교 중 140개 특수학교에서 설문응답에 참여하였으며, 182개 모든 지역교육청에 소속된 교사들이 설문응답에 참여하여, 총 1,046부의 설문지가 수합되었음을 밝힌다. 이 조사를 통하여 치료교육 담당인력의 양적 부족, 치료교육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합의 부족으로 인한 교육실제 상의 혼란이 현 특수학교 치료교육의 대표적인 문제로 제기되었으며, 특수아동 요구의 다양성과 치료교육의 효과성을 동시에 충족하기 위한 치료교육 담당교원의 자격제도 및 배치방법의 해결과 치료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공간 확보의 문제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치료교육을 위한 주된 요구로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섯 명의 연구진 중 대학에 재직 중인 세 명의 공동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치료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조명하였다. 따라서 세 가지의 큰 학문적 흐름을 가지고 방안이 주창되었으나, 그 방안 속에서 논해진 구체적인 하나하나의 제안들은 각자의 학문적 입장에서만이 아니라 다양한 현실적 상황을 고려하여 심사숙고된 결과임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맺는 말에서는, 일단은 특수교육진흥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육서비스로서 행해지고 있는 치료교육 시스템의 견고한 틀 안에서의 개선을 논하는 것이 최선일 것으로 보고, 세 가지 큰 흐름의 방안들에서 최소한의 공통되는 제안들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우선 첫째, 치료교육 교사 양성에 있어서의 전공 분야 세분화가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치료교육 교사들이 세부 전공 영역의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보완적 교육이 행해져야 한다. 셋째, 특수교사로서의 치료교육교사에 의한 치료교육 제공을 교실교육과 순회교육을 기본 원칙으로 하되, 순회가 불가능한 지역이나 일반학교 일반학급, 일반 유치원 내의 특수아동들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교육기관 외의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치료사 인력들을 활용할 수 있는 권역별 인력풀 제도를 마련한다. 넷째, 특수교육과 치료교육의 관계 및 내용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근본적인 재조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in Korea.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32 therapeutic educators, 367 special school teachers, and 347 special classroom teacher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nd discussed by three of the researchers based on their academic standpoints. The problems of current therapeutic education analyzed by this study are the lack of therapeutic educators, confuse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rapeutic education, low professionalism of the therapeutic educators, and the lack of space to carry out therapeutic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etc. The common suggestions from the three researcher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rses of universities for training therapeutic teachers have to be more specialized. Second, some kind of training programs for the existing therapeutic teachers are needed to get them more specialized certificates. Third, the community human resource pool including not only therapeutic teachers but also professional therapists should be available. Fourth, the identity of the therapeutic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delivery system needs to be reestablished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 입지별 초고층 아파트단지의 일조환경에 관한 연구

        김경철,이아희,박수호 동의공업대학 2000 論文集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nshine environment that following conditions of location at high-rise apartment house in Pusa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 1) According to conditions of location, an area of shadow is analyzed into a difference between the flatland and the slopeland. 2) On the basis of winter solstice, average of an area of shadow a per time that results of analyses were as follow SS apartment house 49.08%, HL apartment house 38.94%, WI apartment house 49.18%, MB apartment house 58.86%. 3) There are many influenced by crossed block of both sides arrangement on layout pattern ㄷ·ㅁ types.

      • 정상치은열구액과 치주질환시 치은열구액의 단백질 조성비교에 관한 연구

        김수아,김형섭 全北大學校 齒醫學硏究所 1991 전북치대논문집 Vol.9 No.1

        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is a promising source for markers of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activit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rotein composition of GCF in varying stages of the gingival inflammatory response. GCF sampled from 26 people with clinically healthy gingiva and 18 people with periodontitis were examined via sodium dodecyl sulph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otal amount of GCF protein of diseased group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group. But difference in protein concentration was not that significant. 2. In analyzing GCF with SDS/PAGE, it was suggested that albumin is used as indicator plasma protein leakage because of heavily staining band of albumin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3. In diseased group, overall bands of protein and bands of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were heavily stained. It was proved useful information on high molecular plasma protein leakage with increasing vascular permeability due to inflam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