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KCI등재

        Preliminary Guidelines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Long COVID

        Kim Yoonjung,Kim Seong Eun,Kim Tark,Yun Ki Wook,Lee So Hee,Lee Eunjung,Seo Jun-Won,Jung Young Hee,Chong Yong Pil 대한감염학회 2022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54 No.3

        Long-lasting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ymptoms beyond 12 weeks, the so-called ‘long COVID’ have been increasingly reported worldwide. Long COVID can be manifested in various forms, an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proper assessment and management. However, it is challenging when trying to determine the best-practice standards of care based on the current evidence because there is no internationally agreed clinical definition or clear treatment pathway. Therefore, the present guidelines have been drafted to provide advice on diagnosis and management based on the latest updated available evidence and the consensus of expert opinion. So far, no standard test and drug treatment can be strongly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long COVID because of a lack of evidence. The present guidelines provide advice based on 12 key questions, includ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long COVID that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Continuous careful observation and studies related to long COVID are needed for the long-term impact of COVID-19 and proper management for long COVID to be determined.

      • 흡연에 의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 2예

        박종빈,김학렬,주현준,유태양,신성남,신정현,송정섭,황기은,김소영,양세훈,정은택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2

        최근 흡연을 시작한 젊은 성언에서 급성 호산구성 폐렴의 발생에 대한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급성 호산구성 폐렴은 대개 발열을 동반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감염성 폐렴으로 잘못 진단, 치료되는 경우가 많다. 아직 정확한 병태 생리 및 조직학적 소견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병력 청취 및 임상 양상, 방사선 소견의 관찰을 통해 급성 호산구성 폐렴을 의심하고, 진단을 위해 기관지 폐포 세척액 검사를 시행한다면 좀 더 쉽게 진단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자들은 최근 처음 시작한 흡연에 의해 발생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을 진단하고,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환자 2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eosinophilic pneumonia(AEP) is characterized by acute febrile respiratory illness associated with diffuse pulmonary infiltration and pulmonary eosinophilia. The specific etiology for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is elusive. By some investigators, cigarette smoking is suggested as a causative substance which can cause AEP. In recent, the authors experienced two cases of AEP following cigarette smoking. Both cases had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ing age around 20 years, new onset smoking before occurance of AEP, diffuse infiltration on chest radiography, pulmonary eosinophilia based on bronchoalveolar lavage and acute improvement after steroid therapy. These clinical features are resemble with previous smoking induced AEP case reports. Base on these clinical features, cigarette smoking associated AEP could be diagnosed more easily.

      •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 균혈증의 임상적 특성

        정두련,송재훈,김은옥,류지소,이남용,이혁,백경란,김성민,배직현,우준희,김양수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4

        목적: 지역사회 획득 감염의 매우 흔한 원인균인 폐렴구균의 페니실린 및 다른 항균제에 대한 내성의 증가는 세계적으로 문제가 될 뿐 아니라 국내에서 더욱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항균제 내성 여부에 따른 폐렴구균 균혈증의 임상적 특성 및 위험 요인를 분석하여 항균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를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1989년부터 1994년까지의 폐렴구균 균혈증 41례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지를 조사하였다. 균주의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oxacillin 디스크 확산법으로 페니실린 내성 여부를 거사한 후, 한천 희석법을 이용하여 페니실린을 비롯한 11개의 항균제의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를 구하고 감수성 여부를 판정하였다. 결과: 41균주 중 68.3%가 페니실린에 대하여 내성(중등도 12.2%, 고도 56.1%)을 보였으며 다제내성률은 61%였다. 특히 소아에서는 100%(고도 88.2%)의 내성률을 보여 성인보다 내성률이 더 높았다. 페니실린 내성 균주는 대부분 다른 β-lactam 항균제에도 내성을 보였으며 특히 페니실린 고도 내성 균주는 cefotaxime, ceftriaxone에 대하여 100% 내성을 보였고 imipenem에 대해서도 95.5%의 중등도 내성률을 보였다. 혈청형은 19와 23이 많았고 그 외에 6이 있었다. 임상적 특성의 분석상 환자들의 연령분포는 3개월부터 82세까지였으며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56%이었으며 지역사회 획득 감염이 71%였다. 균혈증의 일차감염원은 폐렴(22례, 54%)과 수막염(5례, 12%)이 가장 많았다. 페니실린 내성의 위험요인으로는 소아 연령만이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항균요법에 대한 반응을 볼 때 실패한 경우는 고도 내성 군의 20%에서만 있었으며 병원내 총사망률은 페니실린 감수성 군이 30%, 중등도 내성 군이 20%, 고도 내성 군이 13.6%로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은 국내에 만연하고 있으며 높은 다제내성률을 보였다. 이들은 대개 지역 사회 획득 감염을 일으키는데 균혈증의 경우 그 사망률은 내성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아연령만이 페니실린 내성의 위험요인으로 분석되었다. Background: The emergence of penicillin-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 (PRSP) poses serious therapeutic problem in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in cases with bacteremia or meningitis. Methods: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acteremic pneumococcal diseases due to PRSP, we retrospectively analyzed 41 cases with cocumented bacteremic diseases seen in a tertiary care hospital between 1989 and 1994. Results: Agar dilution test of 41 strains isolated showed that 68.3% of S. pneumoniae were PRSP [high-level resistance(R) 56.1%, intermediate resistance(I) 12.2%]. High-level resistant strains were not susceptible to other β-lactam agents, whereas isolates of penicillin-susceptible S. pneumoniae(PSSP) were uniformly susceptible to all β-lactam agents. Predominant serogroups of PRSP were 19, 23, and 6. Bacteremic diseases caused by PRSP included pneumonia (22), meningitis (5), peritonitis (3), acute otitis media (2), acute tonsillitis (2), endocarditis (1), pyelonephritis(1), and primary bacteremia(5).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be infected with PRSP with high-level or intermediately resistant strains than were adults(P=0.0001), but no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PRSP and PSSP regarding sex. previous antibiotic history, previous hospitalization, and underlying immunocompromised conditions. Most cases were community-acquired (R 78.3%, I 60%, S 61.5%). Fatality rates of patients infected with PRSP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from PSSP (22.6% vs. 30%). However, most fatal cases had underlying immunocompromised conditions. Conclusion: PRSP is widely prevalent in Korea and shows resistance to most antibiotics. It causes community-acquired bacteremic diseases with poor outcom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patients infected with PRSP and PSSP. Pediatric age was the only risk factor for penicillin resistance.

      • KCI등재후보

        전경대원에서 발생한 결핵의 임상 양상

        문창기,박상준,조민구,김영중,김소연,김윤권,정준오,안석진,김은실,서승오,김지훈,최원제,이윤영,박형기,최규영,김현근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TB) in combat and auxiliary police, living in a group, in Korea where the incidence rate of active TB in a general population is higher than in Western countries. Material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tuberculosis patients diagnosed at National Police Hospital from January 2002 through December 2004. Results:In 2002-2004, a total of 156 cases of tuberculosis were identified wit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ge of 20.6 (±1.0) years. Of these, 134 (85.9%) patients were registered as new cases, 11 (7.1%) as relapse, 2 (1.3%) as failure, 5 (3.1%) as treatment-after-default cases whereas 4 (2.6 %) patients were not included in any categories. Average annual new TB rate and smear-positive TB rate were 86.5/10^(5) and 17.4/10^(5) person-years, respectively. In 12 of 31 smear-positive cases, time from onset of symptoms to diagnosis was more than 30 days. Two multidrug-resistance TB cases were identified and two suspected outbreak episodes of TB had occurred during 3 years. Conclusion: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new cases of TB between the general population aged 20 to 29 years and combat and auxiliary police in Korea. 배경 : 국내 결핵의 발생은 감소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후진국형 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집단생활을 하는 젊은이들에서 발생하는 결핵의 유행이 간헐적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전경대원의 결핵 발병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3년간 경찰병원에서 결핵 진료를 받은 전경대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도별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결핵 신환율, 진단 지연, 집단발병, 다제내성결핵을 조사하였다. 결과 : 연도별 결핵 신환자 수(10만명당 발생추정치)는 2002년 50명(83.6명), 2003년 42명(83.7명), 2004년 42명(93.5명)이었고 도말양성 폐결핵 신환자 수는 2002년 10명(16.7명), 2003년 11명(21.9명), 2004년 6명(13.4명)이었다. 3년간 도말양성 폐결핵 환자는 31명이 있었고 그 중 12명은 호흡기 증상 발생 30일이 지나서 진단을 받았다. 다제내성 결핵은 2명이 있었으며 결핵의 집단발병이 의심되는 사례는 2차례 있었다. 결론 : 전경대원과 20-29세 연령군 일반인의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 폐결핵 발생률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SCOPUSKCI등재

        Bioconversion enhanc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the Mulberry Tree (Morus alba L.), especially the leaf (Mori Folium)

        ( So-hyun Chon ),( Min-a Kim ),( Han-saem Lee ),( Jeong-eun Park ),( Yu-mi Lim ),( Eun-jeong Kim ),( Eun-kyung Son ),( Sang-jun Kim ),( Jai-hyun S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9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2 No.2

        The mulberry tree (Morus alba L.)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Chinese medicine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ioconversion o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mulberry tree, and determined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s of five different segments (fruit, Mori Fructus; leaf, Mori Folium; twig, Mori Ramulus; root, Mori Cortex; and mistletoe, Loranthi Ramulus) of the mulberry tree show enhanced anti-oxidant effects in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v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ssays, and enhance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after being treated with a crude enzyme extract from Aspergillus kawachii, in the following order of activity: Mori Folium>Mori Cortex>Mori Ramulus>Mori Fructus> Loranthi Ramulus.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mulberry leaves (Mori Folium) that underwent bioconversion was most effective, and was devoid of any cytotoxicity. The fraction was also effective against mRNA expression of LPS-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1β, and interleukin-6. In addition, the fraction was effective in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IKK, and IκB degradation, followed by translocation of the nuclear factor-κB from the cytoplasm to the nucleus. Thus, bioconversion increased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ulberry leaf.

      • KCI등재후보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 실태에 대한 다기관 공동연구

        은소희(So-Hee Eun),권순학(Soonhak Kwon),권영세(Young Se Kwon),김성구(Sung Koo Kim),김원섭(WonSeop Kim),남상욱(Sang-Ook Nam),심지윤(Gi Youn Sim),은백린(Baik-Lin Eun),이준화(Jun Hwa Lee),허윤정(Yun Jung Hur),황태규(Tae Gyu Hwang),주찬웅(C 대한소아신경학회 201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9 No.2

        목적 : 소아청소년기 간질 치료는 단순히 경련 조절뿐 아니라 간질과 흔히 동반될 수 있는 인지장애 및 정신신경 질환 유무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동반치료가 필수적이다. 특히 소아 간질 환자의 16-77%에서 동반하는 ADHD에 대한 치료가 성장기 소아환자의 장기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소아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 실태에 대한 보고가 미미한 상태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방법 : 규격화된 설문지를 전국 대한소아신경학회원에게 배포하여 참여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 조사하였다. 실험 대상으로 2005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간질로 진단 받고 치료중인 만 4-20세 환자에서 DSM-IV 기준으로 ADHD에 합당한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2005년부터 2010년 6월까지 매년 각 기관에서 치료 받고 있는 등록된 소아 및 청소년 간질 환자의 수를 파악하여 간질 환아에서 ADHD 유병률, 치료 실태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0기관 178명의 환자 설문지를 얻을수 있었으며, 이중 불충분한 자료를 보인 4명을 제외하고 174명(남:녀=139:35, 평균나이 12.2±3.3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부분 간질 환자는 125명(복합부분발작 102, 이차전범화발작 8, 단순부분발작 3, 로란딕 간질 13), 전신발작 40명(특발성 29, 결신발작 11), LG 증후군 8명이었다. 간질발생 나이는 평균 5.69세, 간질 치료 나이는 6.52세때 치료를 시작하였다. 동반질환으로 66명(37.9%)에서 정신지체를, 66명(37.9%)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신-신경 질환을 동반하였다. 112명에서 DSM-IV를 기준으로 진단하였으며 이중 80명이 ADHD-combined 형태였다. 174명 중 162명에서 ADHD 약물 치료는 받았으며 ADHD 치료율은 평균1.9% (기관별 0.3-8.9%)을 보였다. ADHD 평균진단 나이는 8.94세, 치료 시작 나이는 9.26세였으며 평균 21개월 동안 약물 치료를 받았으나, 51명에서 6개월 미만의 단기 유지율을 보였다. 92명에서 concerta, 66명은 methyphenidate를 사용하였다. 완전 조절 18명 등 130명(80.2%)에서 치료 효과를 보였다. 9명에서 발작 증가, 17명에서 식욕감퇴를 보이는 등 총 48명(29.6%)에서 부작용을 보였다. 18명은 부작용으로, 18명은 효과가 없어 중단하였고, 39명(24.1%)에서는 보호자 임의로 중단하였다. 결론 : 간질을 동반한 ADHD 아동에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방법 및 치료 효과는 간질을 동반하지 않은 ADHD 아동과 비슷하다. 간질과 ADHD를 가진 아동의 많은 수가 다른 정신신경계 질환을 동반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의 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률은 다른 보고와 비교 할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여 간질환자에서 ADHD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urrent therapeutic statu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 A cross-sectional survey of 178 patients aged 4-20 years from ten pediatric neurology clinics in eight cities in South Korea from January 2005 to July 2010 was used to asses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HD patients with epileps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DHD. Results : A total of 178 pediatric epileptic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One hundred seventy-four subjects' (M:F=4:1, mean age: 12.2±3.3 yrs old) records were evaluated excluding four patients due to incomplete data. One hundred twentyfive of 174 patients (71.8%) had partial epilepsy and 45 had generalized epilepsy. Eighty of 112 patients showed ADHD combined type from the DSM IV. The mean prevalence rate of ADHD treatment among the epileptic patients was 1.9%. Over 45 % of patients showed complete or persistent symptoms without difficulties in school life with CNS stimulants. Adverse reactions were reported in 19.8% of patients who received ADHD medication, and 18 patients discontinued ADHD medication due to severe adverse effects such as aggravated seizures (5.6%) or ADHD symptoms (3.7%). About 60% of children with ADHD and epilepsy had psychiatric comorbid disorders.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 that ADHD treatment in epilepsy patients is safe and effective. However, these data also show that ADHD in pediatric epilepsy patients in Korea is under-diagnosed and under-t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