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 내 재검색 상세검색
통합상세검색
기본검색
키워드 완전일치
무료 기관내 무료 유료
내보내기| 내서재담기| 한글로보기
10개씩 출력| 20개씩 출력| 30개씩 출력| 50개씩 출력| 100개씩 출력
기지(基地)의 ‘평화'와 전장의 글쓰기 ― 장혁주의 한국전쟁 관련 텍스트(1951~1954)를 중심으로 = Peace' of Military Base and the Writings of the Battlefield
특집논문 : 귀화의 에스닉 정치와 알리바이로서의 미국 -"해방" 이후 장혁주의 선택과 「아, 조선(嗚呼朝鮮)」(1952)- = The Ethnic Politics of Naturalization and America as an Alibi -The Choice of Chang Hyuk-ju after the "libertation" and his novel Alas! Chosun (1952)-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re there delicate occupations about suicide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nge?
기획 : 원한, 노스탤지어, 과학-월남 지식인들과 1960년대 북한학지(學知)의 성립 사정- = Ressentiment, Nostalgia, Science -The Defector Intellectuals from North Korea and the Conditions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n Research in South Korea During the 1960`s-
재현의 사각지대 혹은 해방기 ‘중간파'의 행방 = A Blind spot of Representation : Whereabouts of the Moderate-wing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일반논문 : 치안과 정치 사이에서 -해방기 빈곤 대중의 존재론 = Between the Police and the Politics -focusing on how the poor masses were called by the rulers during the Korea`s liberation period
은유로서의 포로 : 수용소의 삶과 ‘적/ 동지'의 구별 정치 = POWs as Metaphor : Life in concentration camps and the politics of distinguishing between “enemies and allies” - A focus on Korean War POW's experience in UN-managed concentration camps
해방기 공간 상상력의 전이와 ‘태평양'의 문화정치학 = The Transition of Spatial Imagination and Cultural Politics of 'The Pacific' in 1945~1950
스트레스 연구의 의료사회학적 접근에 대한 평가와 전망 = EVALUATIONS AND PROSPECTS OF SOCIOLOGICAL APPROACHES IN STRESS RESEARCH: A THEORETICAL CONSIDERATIONS
학병, 전쟁 연쇄 그리고 파병의 논리 -선우휘의 「물결은 메콩강까지」(1966)를 중심으로- = Student Soldiers, Serial Wars, and the Logic of Sending Troops to Vietnam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BMI 관련요인 = Factors Affecting BMI in a Rural Community
잊혀진 설계자들과 ‘자유주의 이후'를 위하여 - 김건우의 『대한민국의 설계자들』(2017) - = Forgotten Founding Fathers and for the ‘Future of Liberalism'
90년대 환상(the fantastic) 문학의 또다른 가능성 : 메타 픽션(Meta-fiction)의 환상성에 관하여 = Another Potentiality of the 1990's “the fantastic” novels - On “the fantastic” of Meta-fiction
라이샤워(Edwin O. Reischauer), 동아시아, ‘권력/ 지식'의 테크놀로지 = E. Reischauer, East Asia and the Technology of ‘Power/Knowledge' : Area Studies in Postwar America and the Disposition of Korean Studies
전후 아메리카와의 조우와 “전통“의 전유 : 50년대 『사상계』의 “전통“ 담론을 중심으로 Focalizing on [사상계 Sasan-gye]`s Discourse of the “Tradition“ in 1950`s = The Encounter of America and the appropriation of the “Tradition“ in 1950`s Korean Literature
트랜스내셔널리즘, (불)가능 그리고 재일조선인이라는 예외상태: 재일조선인의 한국전쟁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 Transnationalism, (im)possiblity and Jainichi Korean as a state of Emergency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특집:1960년대 소설의 근대성과 주체] ‘아비 부정', 혹은 1960년대 미적 주체의 모험 : 김승옥과 이제하의 텍스트에 나타난 주체 형성과 권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 The denial of Father, the adventure of 1960's aesthetic subject
안티테제로서의 "반둥정신(Bandung Spirit)"과 한국의 아시아 상상(1955~1965) = Bandung Spirit as Antithesis and Asia as a Concept in the Korean Imagination(1955~1965)
진정성의 알리바이(Alibi) : 장정일 소설에 나타난 예술의 의미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art in Chang Jung-il`s novels = The Alibi of the authent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