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tagonizing effect of protein kinase C activation on the μ-opioid agonist-induced inhibition of high voltage-activated calcium current in rat periaqueductal gray neuron

        Cho, Young-Wuk,Han, Seung-Ho,Min, Byung-Il,Rhee, Jeong-Seop,Norio Akaike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1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Vol.2001 No.-

        Opioids have been thought to induce analgesia by activating the descending pain control system, especially at the level of periaquenductal gray, and regulate the neurotransmitter release through the inhibition of calcium channel. In the present study, the modulatory effects of protein kinase C and protein kinase A on the μ-opioid agonist-induced inhibition of the high-voltage activated calcium current were examined in the acutely dissociated rat periaqueductal gray neurons with the nystatin-perforated patch-clamp technique. Among 505 neurons tested, the barium current passing through the high-voltage activated calcium channels of 172 neurons (34%) were inhibited by 32±3% with the application of an μ-opioid agonist, [D-_Ala^2, N-MePhe^4, Gly^5 -ol]-enkephalin (DAMGO, 1 μM). The barium currents itself and the DAMGO-induced inhibitory effects were not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either an adenylate cyclase activator (forskolin, 1μM) or a protein kinase inhibitor (staurosporin, 10nM) for 2 min. The DAMGO inhibition was completely and irreversibly antagonized by the application of a protein kinase C activator,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 1μM) for 2 min without any alteration of the barium current itself. However, the antagonizing effect of PMA was completely abolished by the application of 10 nM staurosporin for 2 min. After then, PMA did not show the antagonizing effect any more. Inversely, when staurosporin was applied before PMA, the antagonizing effect of PMA was also not show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μ-opiod agonist-induced inhibition of the periaqueductal gray neuronal high-voltage activated calcium current can be antagonized by protein kinase C activation. This finding may provide us a significant clue to understand the action mechanism of opioid-induced analgesia in the periaqueductal gray. ⓒ 2001 Elsevier Science B.V.All rights reserved.

      • 골격근 근형질세망의 ATPase활성도에 대한 Vanillylnonanamide의 영향

        박경섭,홍장희,류영수,성지연,허강민,임종호,이재흔,석정호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9 충남의대잡지 Vol.26 No.2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nillylnonanamide(VN) on the ATPase activity of the sarcoplasmic reticulum(SR) of the skeletal muscle, we prepared the SR vesicles from the back muscle of the rabbit, and measured ATPase activity. The results as follows: Ca-ATPase activity was about 50% in the total ATPase activity of skeletal muscular SR. In the reaction mixture with calcium, 100μM VN increased ATPase activity to 20%, and 100 nM and 10 μM thapsigargin(THP) inhibited the ATPase activity to 50% and 60%, respectively. And 100 μM VN plus 100 nM or 10 μM THP more inhibited ATPase activity than THP alone did it. However, without calcium, 100μM VN did not affect ATPase activity, and 10 μM THP inhibited it to 41%, but VN plus THP inhibited it to 31%. The above results show that VN in the reaction mixture with or without calcium has the different action to ATPase activity when it is used alone or together with Ca-ATPase inhibitor THP. This suggests that VN might increase or decrease the skeletal SR Ca-ATPase activity through affecting the lipid membrane around the Ca-ATPase.

      • KCI등재

        아동기 경계선 장애 : 8 CASES 8증례

        신민섭,이정섭,홍강의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1995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6 No.1

        요 약 아동에서의 경계선 장애는 현실감각의 불안정, 대인관계의 장애, 충동조절의 장애, 심 한 기능의 변동, 발달상의 불균형, 불안등을 보이며 현재의 진단 체계로는 진단하기 어려운 환아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Bemporad등과 Vera등이 제안한 '경계선 아동'에 부 합하는 7세에서 11 세사이의 8명의 소아정신과를 내원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37개의 병인들을 비교하여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적인 특징으로는 모든 환아들이 다 남아였으며, 현재의 진단체계에서는 진단을 내리기가 어려웠고, 공존정신과적인 진단이 많았다. 주소는 산만하고 또래와 어울리지 못한다는 것 이 많았다. 현실과 환상사이의 경계가 불명확한 것과 사고의 장애가 특징적인 증상이었다. 2) 심리학적 및 신경생리학 검사상 지능은 보통수준이었으며, 동작성 지능이 언어성 지능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었다. 투사법 검사에서는 사고 장애의 지표를 보였으며, 정서적으로 불안 정하고 공격성이 심하였다. 반수에서 주의력 검사상 주의력결핍을 시사하였다. 기질적인 요인은 뚜렷하지 않았다. 3) 발달력 및 가족력상 원하지 않았던 아이가 많았고, 주 양육자는 어머니였으나, 양육 방식에 중등도의 문제가 있었다. 부모간에 불화가 많았고, 사회 경제적으로는 중하가 많았다. 언 어발달은 대부분에서 지연이 되었거나, 성장하면서 점차로 정상이 되었다. 공격적이어서 또래들로 부터 따 돌림을 많이 받았다. 4) 치료 및 경과상 6세경에 처음 병원에 방문하였으며,평균 치료 기간은 2년이었고,주 로 외래에서 치료를 받았다.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장기 놀이치료의 필요성이 암 시되었 다. 본 연구 방법에 여러가지 제한점이 있으나, 앞으로 이 장애의 명확한 진단 기준을 확 립하고 역학 및 치료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so-called borderline children are characterised by disturbances in the sense of re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ack of control, fluctuation of functioning, uneven development and excessive anxiety. But the concept of borderline disorder of childhood is very difficult to define and diagnose in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The present study adapted the consensus symptoms in borderline children by Bemporad and Vera. Eight cases aged 7-11 were examined in 37 variables. Results are as follows. 1) All subjects are boys and can hardly be diagnosed in current diagnostic system and have many concurrent diagnoses. Common chief complaints are hyperactivity and poor peer relation. The most prominent clinical feature is disturbances in the sense of reality. 2) In KEDI-WISC test, the borderline children showed average intelligence, but performance IQ tends to be higher than verbal IQ. In Rorschach test. they showed high thought disorder index, emotional instabilities and aggressive impulses. The results of TOVA suggested attentional deficit in half of the subjects. The organicity is not prominent. 3) Many of the borderline children were unwanted baby. Although primary care takers of all the subjects were their mothers, there were moderate problems in caring attitude of their children and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Socioeconomic status was generally below middle class. Most of all subjects have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but have overcome subsequently. Many subjects were rejected by peers because of their aggression. 4) The first visit of the subjects was about 6 years of age. Average duration of treatment was 2 years. All of them were treated in the outpatient basis except one. The effect of pharmaco- therapy was doubtful and the necessity of long term play therapy was suggested. Although there were many limitations of method in present study, it wa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diagnostic criteria, epidemiology and treatment.

      • KCI등재

        자폐적 장애 및 발달적 언어장애 환아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에 대한 구조적 예비연구

        이정섭,강민희,홍강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자폐적 장애가 있는 환아에서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에 대한 구조적인 연구가 시행이 되었으나, 아직까지 일관된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또한 발달적 언어 장애가 자폐적 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가설도 있으나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개량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자폐적 장애에서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을 하고, 자폐적 장애와 발달적 언어장애가 뇌의 구조적으로 연관이 있는 가를 연구하였다. 방 법 : 진단기준은 DSM-Ⅲ-R로 하였으며, 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8명 자폐적 장애와 8명의 발달적 언어장애를 선정하였으며 모두 남아로 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10명의 남아를 선정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은 정중시상영상에서 NIH image를 이용하여 뇌량, 시상, 소뇌 및 뇌교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뇌량은 Witeleson의 방법에 따라서 7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으며, 소뇌는 다시 충부소엽에서 Ⅰ - Ⅴ, Ⅵ - Ⅶ, Ⅷ - Ⅹ의 3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비교하였다. 결 과 : 자폐적 장애군에서 뇌량의 문(rostrum)부가 대조군이나 발달적 언어장애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으며(F=3.93, d.f.=2.23.25, p=0.03. scheffe의 사후검증에서는 p=0,06이 나왔다. 시상, 뇌교, 소뇌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발달적 언어장애에서는 시상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크다고(t=2.21, d.f.=16, p=0.04) 나왔으며, 뇌량, 뇌교, 소뇌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자폐적 장애에서 뇌량의 문부가 대조군보다 감소되어 있는 소견을 발견하였으며, 후두와나 시상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이는 자폐적 장애가 신경발달학적인 이상이 더 많고 전 전두엽(prefrontal area)에 장애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여 준다. 자폐적 장애와 발달적 언어 장애 간의 뇌의 구조적인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planimetrically measure the corpus callosum, cerebellum, pons and thalamus in the boys with autistic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Method : The midsagittal brain MR images of 8 autistic and 8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subjects who met the DSM-Ⅲ-R diagnostic criteria and 10 comparison subjects were collected. MR image were recapitalized with flatbed scanner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NIH IMAGE 1.61 software. Pixel counting and area measurements were done. The corpus callosum was divided into seven regions and the cerebellar vermis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Results : In autistic subjects, the rostrum of corpus callosum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smaller area than comparison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subjects. I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subjects, the thalamu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comparison subjects. the cerebellar vermis and pons did not differ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 The rostrum of the corpus callosum in autistic disorder was significantly smaller. This finding supports the theory of abnormal prefrontal lobe development in autistic disorder.

      • KCI등재

        한국판 아동용 Leyton 강박증 척도의 개발

        홍강의,신민섭,이정섭 대한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회 1994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5 No.1

        요 약 소아의 강박증 평가 도구인 아동용 레이톤 강박증 척도를 한국판 집단용 지필 검사로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국민학교 4학년부터 고등하교 3학년까지 127 명을 대상으로 한국어로 번역한 지필 검사 양식의 아동용 레이톤 강박증 척도를 실시하였고, 검사- 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3주뒤에 82명에게 재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전 대상 군에 신뢰도와 타당도가 이미 입증된 간이진단검사(SCL90-R)를 함께 실시하여 공존타당도가 있는 지를 알아 보았 고, 강박환아군과 정신과 환아대조군 그리고 정상대조군을 9명씩 비교하여 진단 변별력이 있는 지를 보 았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내적 일관성 등은 상당히 만족스러운 수준이었고, 간이진단검사와의 공존 타당도도 비교적 높게 나왔다. 강박환아군이 정신과 환아대조군이나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가 나와서 변별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상 문항들을 5개의 요인 으로 묶을 수 있었다. 한편 증상과 저항척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 으며, 특히 국민학교 여아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한국판 아동용 레이톤 강박척도는 실시하기 간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좋은 척 도임 이 입증되 었다. 향후 전국 규모의 규준을 작성하고, 미흡한 부분을 보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Object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Korean form of Leyton Obsessional Inventory-Child Version(LOI-CV) designed to assess the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LOI-CV was modified into a paper-and-pencil form in order to administer it to group. Methods : We applied the Korean form LOI-CV to 12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and retest it to 82 children with 3 weeks interval. Togather with LOI-CV, Korean form of SCL-90-R which had been prov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dministered to the all subjects for examininig of concurrent validity And then we examined whether this scale discriminates between obsessive patients, psychiatric controls and normal controls in the level of obsessive symptoms. Results : Test-retest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were very satisfactory. Concurrent validity with SCL-90-R was moderate level. And obsessive patients wa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sychiatric and normal controls in the level of obsessive symptoms. In factor analysis, items are clustered to 5 factors. In the global obsessive symptom, obsessive scores of female elimentary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form of LOI-CV is a reliable and valid self-rating scale to assess the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 nts. Author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is needed for Korean version standardization study in normal and clinic-refered population.

      • KCI등재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의 Cavum Septi Pellucidi에 관한 자기공명영상 연구

        신상은,강민희,김철응,이정섭,배재남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뇌자기공명촬영술을 이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와 기분장애 환자, 대조군의 Cavum Septi Pellucidi를 측정하여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에서 생물학적인 원인 중 하나인 신경 발달학적 가설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34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18명의 기분장애 환자, 22명의 대조군에게 자기공명촬영술을 시행하여 CSP의 출현 빈도 및 CSP의 크기에 따른 출현빈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CSP의 출현 빈도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61%, 기분 장애환자에서 61%, 대조군에서 41%로 나타났다. T1 강조 축상 영상에서 가장 크게 보이는 단면에서 가로로 가장 긴 부분의 길이가 3mm 이상으로 정의한 큰 CSP의 출현빈도는 정신분혈병환자에서 24%, 기분 장애 환자에서 11%, 대조군에서 5%였고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대조군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대조군의 순으로 큰 CSP의 빈도가 높은 경향성은 확인할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었기 때문에 신경발달학적 가설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향후 환자수를 확대하고 보다 정교하게 고안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of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Methods: We perform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in 34 schizophrenic patients, 18 mood disorder patients and 22 controls and compared the incidence and the size of carum septi pellucidi(CSP). Results: The incidences of CSP in schizophrenia, mood disorder and controls were 61%,61%, and 41%, respectively. The incidences of large CSP, defined as largest diameter larger than 3mm in T1-weighted image, were 24% in schizophrenic patients, 11% in mood disorder patients, and 5% in controls.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We could find the tendency that the incidence of CSP was high as following order ; schizophrenia, mood disorder, control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we need larger pool of patients and better study design.

      • KCI등재

        조기 발병한 정신증적 장애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측뇌실에 대한 구조적인 예비연구

        이윤희,강민희,김철응,이정섭,배재남,홍강의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2

        연구목적:측뇌실의 확장은 성인기의 정신분열병에서 잘 확립되는 소견이지만, 조기에 발병한 정신증적 장애에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후향적인 방법을 통하여 지금까지 비교적 연구가 많이 시행되지 않았던 조기발병한 정신분열증·양극성 장애 환아들을 대상으로 측뇌실의 구조적인 이상을 연구하여, 이러한 뇌의 구조적 이상이 병의 초기부터 시작되어 정상과는 다른 경과로 진행되는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정신분열병과 양극성 장애의 DSM-Ⅲ-R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14명의 환아(평균 연령 14.0세,표준편차 2.1)와 26명의 두통 대조군에서 뇌자기공명 영상상을 후향적으로 모집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측뇌실이 가장 잘 보이는 축 영상(axial image)를 선택하였다. 뇌자기공명영상상은 평판형 스캐너로 읽어들여서 NIH IMAGE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환자군에서는 측뇌실 크기, 측뇌실확장지수가 연령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연령과 측뇌실 크기, 측뇌실확장지수 등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환자군에서는 정상군에서 보이는 좌우 측뇌실 비대칭성이 소실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측뇌실과 측뇌실확장지수가 큰 경향을 보였다. 결론:정신증적 환자에서의 뇌의 구조적 이상은 병의 비교적 초기 경과에서부터 시작되며, 정상과는 다소 다른 경과를 취하여 진행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Objective : The enlargement of the lateral ventricle is well established finding in adult-onset schizophrenia, but in the patients with early-onset psychotic disorder(EOPD) is still controversal. To identify structural abnormalities of the lateral ventricle in patients with EOPD and difference of the brain developmental course in EOPD group, planimetrical assessment of the lateral ventricle was conducted by means of retrospective quantitative neuroimaging. Methods : The brain MR images of 14 patients with EOPD(mean age 14.0±2.1 years) who met the DSM-Ⅲ-R diagnostic criteria for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and 24 control subjects with simple headache(mean age 10.0±2.1 years) were collected. Single best view for the lateral ventricle, one axial slice was selected for analysis. MR images were redigitalized with flatbed scanner and data were analyzed with NIH IMAGE software. Results : In the patients with EOP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ging and lateral ventricular sizes and between aging and ventricular brain ratio(VB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normal asymmetry of the lateral ventricle was not observer for the EOPD group. The EOPD group had larger lateral ventricular sizes and VBR than control group, but thes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rain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EOPD progress from the earlier course of the disorders and the course of brain development in EOPD group is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 KCI등재

        Tourette 장애 소년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기저핵의 용적 분석

        선우영경,신용범,이명지,김지영,배재남,강민희,김철응,이정섭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4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differences of the basal ganglia volume between the boy subjects who have Tourette's disorder and the control group who don't have this disorder by using Brain MRI. Methods : Sixteen subjects who were diagnosed as Tourette's disorder using DSM-IV criteria, and sixteen healthy subjec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ronal slice images of the basal ganglia were collected and collected MR images were analyzed with NIH Image (version 6.1 ppc). Resuls : The total brain volume in the subjects with Tourette's disorder were smaller than control group by 6.2% (F=6.2, d.f.=1, P=0.019). The right putamen volume in boys with Tourette's disorder were significant smaller than control group statistically (F=3.2, d.f.=3, P=0.040). The asymmetry (1eft>right) in the globus pallidu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boys with Tourette's disorder (p=0.06) were found from this experiment.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ys with Tourette's disorder may have neuropathological abnormalities in the basal ganglia. Moreover, the present findings point out the important role of basal ganglia, especially putamen, in Patho-physiology of Tourette's disorder. More studies about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e basal ganglia in Tourette's disorder are highly required.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