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개 대학병원에서 일년간 분리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임상 분자역학적 연구

        송진영,김창억,김성욱,우흥정,김미란,이규만,이란,장미화,정희진,김우주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4

        목적 : 한강성심병원에서는 2000년 3월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이 처음 분리되어, 원내전파를 막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나, 분리가 지속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좀더 자세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본원에서 분리된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에 대한 임상분자 역학적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에서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디스크 확산법, 최소발육억제 농도등의 측정을 통해 반코마이신 내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을 대상으로 PFGE를 시행하여 형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 분리된 균주는 총 32균주로 모두 E. faecium이었다.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 모두 Van A형이었다. PFGE 결과 1a형이 8검체, 1b형이 5검체, 2a형이 4검체, 2b형이 4검체, 3a형이 2검체, 3b형이 5검체였고, 그 외 4, 5, 6형이 각각 1검체씩이었다. 총 32균주 중 56%(18/32)의 균주가 같은 시기, 같은 병실에서 동일한 PFGE 형을 보이면서 분리되었다. 결론 :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PFGE 분석 결과 여러 종류의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이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같은 기간, 같은 병실에서 분리된 균주의 PFGE 형이 같은 것이 상당수 있었다. 이는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원내 전파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전파의 발생 및 전파 방지를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감염관리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VRE) have been a rising problem worldwide. In March 2000, VRE was first isolated from a patient in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Although efforts to prevent transmission of VRE were performed, isolations continued. So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of VRE was done. Method :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to vancomycin and teicoplanin, an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PFGE) pattern of VRE isolated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were evaluated. Results : 32 VRE were isolated. All of the VRE were Enterococcus faecium and showed Van A resistance phenotype. We found ou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VRE isolated during same period and in same room, were same PFGE patterns. (18 cases/ 32 isolates= 56%)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pread of VRE of same PFGE patterns. It suggests the nosocomial spreads of VRE.

      • KCI등재후보

        잉어류 바이러스성전신괴사증바이러스 (VSNCV) 백신 투여에 대한 잉어의 면역반응

        조미영,손상규,김이청,김진우,오명주,정성주,박수일 한국어병학회 2003 한국어병학회지 Vol.16 No.3

        양식 잉어류에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는 VSNCV에 대한 백신을 제작하며 잉어에 투여한 후 특이적 및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조사하였다. 백신은 포르마린처리백신 (FKV)과 가온처리백신 (HKV)를 제작하여 건강한 잉어에 0.2㎖씩 복강주사 하였으며, 2주 후 동일한 방법으로 boost처리하였다. 백신 투여 후 비특이적 면역반응 중 혈청 라이소자인 활성과 대식세포의 chemiluminescent (CL) reponses은 1차 주사 후 및 boost 처리 후 2일째부터 7일째까지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이후 대조구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ELISA법으로 항체가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를 제외한 FKV와 HKV 투여구에서 주사 후 2주 째부터 boost처리 후 6주 째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boost 처리 후 2주 째에 VSNCV로 공격 실험한 결과 FKV 투여구에서는 20%의 누적폐사율을 나타내어 방어력이 인정 되었으나, HKV투여구에서는 70%의 누적폐사율이 나타나 방어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SNC is a viral disease causing significant economic losses in cultured carp Ciprinus carpio L. in Korea. Carps were immunized with prepared vaccines against VSNCV and examined specific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Carps were injected by 0.2㎖ of formalin-killed vaccine(FKV), heat-killed vaccine(HKV) or E-MEM, respectively and dealt with boost with same way two weeks later. The lysozyme activity of serum and chemiluminescent reponses of head-kidney leucocytes showed increased responses during 2-7 days post-first injection(pfi) and post-boost(pb) in the vaccinated fish, and then decreased to the level of control. As measured by ELISA, vaccinated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VSNCV-specific serum antibodies between 2 weeks pfi and 6 weeks pb with a peak at 2 weeks pb. Results of the virus challenge showed that the fish vaccinated with FKV have induced protective immunity, white HKV injection hardly provided protection.

      • 유치원생 부모의 전래 놀이에 대한 요구도 실태조사

        김영주,정청미 울산대학교 2002 생활과학논문집 Vol.4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가 전래놀이 교육을 요구하는지의 여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찾아냄으로써 올바른 전래놀이 교육의 도입과 실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문항마다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고, 울산광역시 ○구 A유치원과 ○○군 G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세∼5세 유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배부된 150부 중 132부를 최종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부모의 거주지역와 요구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릴적 거주지역에 따라 대근육과 소근육 그리고 놀이감을 가지고 하는 전래놀이의 요구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거주지역에 따른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놀이감을 가지고 하는 전래놀이만이 거주지역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의 전래놀이에 대한 경험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대부분의 전래놀이 교육에 대한 요구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놀이감을 가지고 하는 전래놀이의 교육에 대한 요구도만이 학부모의 전래놀이에 대한 경험의 많고 적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kindergarten parent's demand on the traditional play.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ent's of kindergarten in Ulsan metro city. The content of questionnaire are the way which can activate the traditional play, the attitude and the opinion on the traditional play. At the result, the parents have a high demand on the Korean traditional play. There is no correlation the parent's sex, age and their demand. But there is a correlation on parent's residence and their demand.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농갱이 암,수의 성장 차이

        강언종,이배익,조미영,손상규,김광석,김이청,방인철 한국어류학회 2003 韓國魚類學會誌 Vol.15 No.4

        대농갱이는 동자개과의 담수어로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새로운 담수 양식 대상종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현재까지 성장도 등 양식에 대한 기초정보가 밝혀지지 않았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공으로 생산한 자 ? 치어를 사육하면서 암 ? 수의 성장 차이를 비교 ? 조사하였다. 암수의 정확한 성장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본 실험은 자어 초기 조직검사에 의한 조사와 치어기부터 표지법에 의한 조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조직학적 판별에 의한 암수간 성장비교 시험 결과 부화 후 50일까지는 수컷과 암컷의 성장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화 80일 후에는 수컷(체장 72.0±6.7㎜, 체중 3.71±6.7g이 암컷(체장 64.3±6.7㎜, 체중 3.71±0.99g)보다 성장이 빠른 것으로 나타나 대농갱이는 부화 후 50일에서 80일 사이에 암 ? 수의 성장차이가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부화 80일 이후 조사는 표지법이 개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후 본 실험에 착수하였으며 표지구는 대조구와 사이에 유으적인 성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체간 성장차이는 조직학적 판별 결과와 동일한 경향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성장이 유의적으로 빨랐으며(P<0.05), 시험 종료 후 암컷과 수컷의 크기는 수컷이 평균 체장 17.57㎝, 체중 52.19g으로 암컷의 평균 체장 11.02㎝, 체중 16.26g보다 체장은 약 1.5배, 체중은 약 3배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체중으로 본 성장곡선은 지수성장을 보였으며, 수컷은 Y=0.0024X^(1.738)(R^(2)=0.985), 암컷은 Y=0.0405X^(1.0316)(R^(2)=0.983)의 지수식에 밀접하게 수렵되었고 성장의 차이는 사육기간이 길어질수록 크게 나타났다. The Ussurie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of the family Bagridae has recently been targeted for freshwater culture in Korea.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sexual dimorphism in body size in rearing condition using specimens produced artificially. Tissue sections of gonads were made between 20 and 80 days after hatching to identify sex of the specimens investigated. A difference in body size between sexes was not observed in fry until they were 50 days old. Male fry 80 days old had attained 81.62f7.21 ㎜ total length, and females 72.84±8.62 ㎜ total length. After 80 days the difference in body size was analysed by tagging. Applying the tag by cutting fin tips had no affect on the growth of the fishes (P< 0.05). The growth in body size of males was significantly faster (P< 0.05) than in females, and males attained about 1.5 times more in standard length and about 3 times more in body weight than females at the end of 320 days. The growth curve of body weight was exponential and the body weight was expressed by Y = 0.0024X^(1.738) (R² = 0.985) and Y = 0.0405X^(1.0316)(R² = 0.983) in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observed at monthly intervals.

      • 국내 Fabry disease 환자의 a-Galatosidase A 유전자 돌연변이 검색

        박기범,최지혜,강윤성,김선미,정향민,문영준,이광호 中央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1 基礎科學硏究所 論文集 Vol.15 No.-

        Fabry disease(FD) is an X-linked recessive lysosomal disorder caused by a deficiency of a-galactosidase A(a-Gal A), localized at Xq22. Besides onset of pain and paresthesias in the extremities, FD was diagnosed by absence of a-Gal A activity. In this experiment the a-Gal A activity of Korean FD patients was spectrometrically analysed using an artificial substate, 4-Mrthylumbellifery1-a-D-galactoside. As expected, no a-Gal A activity was detected in lymphocytes and lymphoblastoid cells from FD patients. To screen the mutation in their a-Gal A genes, we performed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SSCP) and PCR-direct sequencing form seven a-Gal A exons. The nonsense mutation was identified both in classically affected hemyzygotes and a heterozygote. They showed the C to T transition at nucleotide number 11,002, resulting in a arginine-to-stop(R342X). This result will be applicable for pre- and neonatal detection of FD and to define th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 圓光醫大 附屬 第2病院 神經精神科 患者에 對한 統計的 考察(Ⅱ)

        박민철,장광철,김상원,김한주,유미경,김훈,유용진,김현정,박남진,오상우,이귀행,노승호,백영석 圓光大學校 醫科大學 神經精神科學敎室 1992 圓光精神醫學 Vol.8 No.1

        본 연구는 1986년 7월 11일부터 1991년 7월 10일까지 원광의대 부속 제2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의래 및 입원치료를 받았던 6,0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차조사 (박민철 등1986)와 비교했다. 1.전체 환자 중 남자가 54.4%로 여자보다 많았고, 이리와 이리 인접지역이 84.0%로 대부분의 지역을 나타났다. 의료보장상태는 보험환자가 57.1%, 의료보호환자21.8%, 일반환자 21.1%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 24.6%, 30대 22.8%로 20대 30대가 절반정도를 차지했다. 2.외래환자에서는 신경중성장애가 46.0%로 가장 많고 정동장애, 경련성장애 순이며, 입원환자에서는 정신분열증이 30.5%로 가장 많고 기질성정신장애, 정동장애의 순이었다. 3.남자는 신경증성쟝애(23.4%), 정신분열증, 기질성정신장애 순이고 여자는 신경증성장애(39.9%), 정동장애, 정신분열증의 순이었다. 남자가 여자보다 많은 진단은 알코올정신장애(94.6%), 기질성정신장애, 소아정신장애 순이고,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진단은 정동장애(64.5%), 신경증성장애였다. 4.진단별 연령분포에서 신경증성장에는 30대(25.3%), 20대, 40대 순이고, 정신분열증은 20대(40.5%), 30대, 40대 순이며, 정동장애는 20대, 30대, 50대 순이나 비교적 비슷한 융이었다. 5.진단별 발병연령에서 신경증성장에는 20대, 30대가 절반이고,정신분열증은 20대(51.3%), 10대, 30대 순이며 정동장애는 20대(30.7%), 30대, 50대 순이었다. 진단별 평균 발병연령은 신경증성장애 32.7세, 정동장애 36.1세, 정신분열증 23.6세였다. 6.진단별 이병기간은 2년이상이 신경증성장에 28.3%, 정신분열증 68.5% 정동장애 43.9%인데 전체적으로 41.0%였다. 진단별 평균 이병기간은 정신분열증 73.2개월, 정동장애 45.5개월, 신경증성장애 29.5개월이었다. We examined epidemiologic study of 6,072 patients who visited Wonkwang Neuropsychiatric hospital since July 11 of 1986 until July 10 of 1991 and compared this results with previous study(Park et al 1986). The study revealed as follows:1. Of total patients males visited this hosptial more than females as 57.1%, Most of them(84.0%) resided Iri and neighbouring Iri. In the point of insurance, insured patients, medicaid patients and uninsured patients were 57.1%, 21.8% and 21.1% respectively. On the distribution of age, the twenties, the thirties were 24.6%, 22.8% respectively and twenties and thirties were about half of total patients. 2. Of outpatient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46.0%, secondly mood disorder and thirdly convulsive disorder, but of inpatients schizophrenia was the most as 30.5%, secondly organic mental disorder and thirdly mood disorder. 3. Of male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23.4%, secondly schizophrenia, and thirdly organic mental disorder, but of females neurotic disorder was the most as 39.9%, secondly mood disorder and thirdly schizophrenia. alcoholic mental disorder(94.6%), organic mental disorder, child mental disorder were mostly found in males,but mood disorder(64.5%) and neurotic disorder were mostly found in females. 4. On the distribution of age neurotic disorder was found the most in the thirties(25.3%), next in the twenties and in the forties, and schizophrenia was found the most in the twenties(40.5%), next in the thirties and in the forties, but mood disorder was found the most in the twenties, next in the thirties and in the forties but revealed similar rates relatively. 5. On the distribution of age of onset neurotic disorder developed nearly half during the twrnties and the thirties, schizophrenia developed mostly during the twenties (51.3%), secondly the teens and thirdly the thirties, but mood disorder developed firstly the twenties(30.7%), secondly the thirties and thirdly the fifties. on the average age of onset of illness neurotic disorder, mood disorder and schizophrenia were 32.7 years, 36.1 years and 23.6 years respectively. 6. On the duration of illness more than two years was 28.3% in neurotic disorder, 68.5% in schizophrenia and 3.9% in mood disorder and on the average duration of illness schizophrenia, mood disorder and neurotic disorder were 73.2 months, 45.5 months and 29.5 month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