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Ergativity in Korean

        Eun-Ji Lee 한국언어학회 2014 언어 Vol.39 No.4

        Lee, Eun-Ji. 2014. Ergativity in Korean.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39-4, 945-969.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ergativity in Korean. I argue that the nal-li- type verb is the ergative verb, claiming that the causative suffix is the same as the passive suffix in Korean. The agent can never be the subject of an ergative verb.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ergative verbs and English ones are i) that the former have the (passive) suffixes, whereas the latter have no suffixes at all; ii) the causer can show up overtly with the former, whereas it cannot with the latter. Next, I argue that nal- type verbs are middle verbs, showing that they are very similar to nal-li- type ergative verbs in nature so that the former can be an alternative if the latter are not available. The causer is less likely to show up with the middle verb than the ergative verb, given that the former has no passive suffix added. The nal- type middle verb in Korean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English in i) that it does not describe a property of its subject; ii) it does not need a modifier nor allow only the present tense. Finally I investigate the matter of derivation in ergative constructions, concluding that the ergative/middle constructions are not derived from the causative, or vice versa, with the supporting evidence that the nal-li- type causative and ergative/passive constructions in Korean derived from nal- type middle constructions (or some transitive constructions). (Sehan University)

      • KCI등재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주관적 의식 분석

        이지은(Lee, Ji-Eun),이재완(Lee, Jae-W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이지은(Lee, Ji-Eun), 이재완(Lee, Jae-Wan) 본 연구의 목적은'삶의 질'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유형화하고 분석하는 데 있다.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Q진술문을 작성하였고, P샘플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질에 대한 주민인식은 ① 기본적 요건 지향, ② 물질적 요건 지향, ③ 비물질적 요건 지향으로 유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삶의 질에 관한 인식이 지역주민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지방자치 수준에서 숙의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지방정부가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정책을 수립할 때 다양한 주민들의 인식과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citizens' perceptions on 'quality of life'. In order to examine quality of life as perceived by citizens, Q-methodology was used. A set of Q-statements was 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field interviews of citizens and literature review of the precedent study, and it was rated by 40 citizens residing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itizens' perceptions of quality of life could be classified in terms of three perspectives: 1. Basic conditions orientation, 2. Material conditions orientation, and 3. Non-material conditions orient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as citizens' perceptions of quality of life can be divers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ublic sphere where deliberative democracy would be realized and advanced at local government level. By creating and developing public spheres, local governments would be able to take citizens' perceptions and opinions into account better when establishing policies for improving citizens' quality of life.

      • KCI등재

        Collective “We” and the Communal Consciousness of Diaspora Identity in Chang-rae Lee`s On Such a Full Sea

        이지은 ( Ji Eun Lee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4 미국학 Vol.37 No.2

        This paper examines how Change-rae Lee`s On Such a Full Sea imagines a communal consciousness of diaspora identity through the use of a collective narrative voice that creates a narrative sense of split identity in readers` minds. The novel`s use of heroine figure, Fan, as a locus of communal consciousness very much corresponds to the conventional framework of the Bildungsroman narrative, which builds a communal consciousness incorporated into a progressive history through a depiction of the individual hero`s or heroine`s reconciliation with social norms. The narrative consciousness grounded in this individual hero/heroine invites readers to experience the sense of community congruent with the linear development of history. Lee`s novel, however, complicates the narrative consciousness through a collective narrative voice “we,” by shifting the referent from “we” inside the narrative frame to “we” outside the narrative frame and by dislocating the main figure Fan from society. The sense of disjointedness manifested by the narrative sense of split identity and the heroine`s displacement in society conceptualizes diaspora identity. Diaspora identity configured in this way propounds a more liberating version of communal consciousness as it allows deviations from norms and exploration of new possibilities not bound by nation or ethnicity. The communal consciousness of diaspora identity depicted in Lee`s novel challenges the homogeneous sense of community merged with history and gestures toward heterogeneous deviations from history.

      • KCI등재후보

        Sarcomatoid Carcinoma Arising from Mature Cystic Teratoma

        Ho-Chang Lee1, Seung-Myoung Son, Yong-Moon Lee, Ji Hae Koo, Song-Yi Choi, Ok-Jun Lee, Eun-Hwan Jeong 충북대학교 동물의학연구소 2012 Journal of Biomed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Vol.13 No.2

        Malignant transformation of mature cystic teratoma (MCT) is rare. Sarcomatoid carcinoma is a neoplasm comprising malignant mesenchymal cells and a conventional carcinomatous area. Here, we report on a case of sarcomatoid carcinoma arising from an MCT in the left ovary of a 45-year-old female. A unilocular cyst consistent with MCT was observed; however, a nodule within the cyst was confirmed from the resected ovary. Microscopically, the nodule showed both squamous cell carcinoma and pleomorphic sarcomatous components admixing with each other. Lining epithelial cells at the periphery of the main tumor showed squamous metaplasia. When a sarcomatous component is observed in the ovary tumor, it is important to find a squamous cell component, either benign or malignant.

      • KCI등재

        韓ㆍ中 鬼神觀에 나타난 문화적 다양성 연구

        李澯旭(Chan-wook, Lee),金芝恩(Ji-eun,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3

        동양 문화권에서 죽음과 鬼神에 대한 담론은 동양의 死生觀을 이해하는 하나의 중요한 단초가 된다. 인간은 누구나 살아가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불가항력적이며 불가피한 죽음을 공포와 경외감으로 인식하고 있다. 삶과 죽음의 문제는 단선적으로 설명할 수 없고, 접근 방식이나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러한 해석은 민족성과 전통, 종교와 사상에 따라서 의식과 인식체계의 차이가 드러나게 되는데 특히나 동양에 있어서 죽음과 사후세계, 그리고 거기서 비롯되는 귀신의 존재는 현세의 삶에 영향을 미칠 만큼 깊이 자리매김 해 온 것이 사실이다. 바로 그러한 형성과정 속에서 고착된 것이 바로 동양의 귀신관이다. 관념적이며 추상적인 귀신에 대한 화두에 접근하는 방식은 다면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 두 나라에 형성되어 온 귀신관은 어떠했는지, 또 어떻게 일상의 삶 속에 반영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텍스트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귀신 이야기에는 풍부한 문화사적 함의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한국과 중국의 귀신관을 하나로 정리하는 것은 사실 대단히 지난한 문제이다. 귀신이란 존재자체가 형이상학적이고 실제 존재여부조차 증명되지 않은 초월적인 성격을 지니기에 더욱 그렇다. 본 논의는 한국의 任?(1640~1724)과 중국의 蒲松齡(1640~1715)의 대표적인 작품인 〈天倪錄〉과 〈聊齋志異〉를 통해 귀신을 통해 드러나는 문화의 다양성의 실체를 단편적이나마 구명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두 작품은 모두 기본적으로는 유교적 귀신관을 전제로 하지만 그 안에는 불교나 무속, 도교의 신선사상까지도 아우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귀신에 대한 관념이 한국보다 중국에서는 한층 더 자유롭고 다채롭게 다루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천예록〉에서는 祭祀를 통해 祖靈을 경외심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부분이 있지만 〈요재지이〉에서는 귀신과의 만남과 사랑이 훨씬 자유롭고 거리낌이 없이 형상화되는 이유에서다. 이는 포송령이 인간과 귀신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다는 일차원적 시각으로 본 결과이다. 즉, 만물은 다 영혼이 있다고 믿고 영혼과 음양의 기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인간과 귀신 그리고 동식물의 영혼은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과 귀신이 함께 존재할 수 있고 사랑을 위해 인간이 귀신으로, 귀신이 인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황에 따라서 귀신이 사람보다 더 인간적일 수도 있고 사람이 귀신보다 더 사악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인간세상과 저승세계가 별 차이가 없다고 본 〈요재지이〉는 〈천예록〉보다 더 환상적이며 흥미롭고 기이한 작품이다. 이상으로 〈天倪錄〉과 〈聊齋志異〉의 두 작품을 통해 나타난 귀신에 대한 다층성과 복합성은 한국과 중국 문화의 다양성으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Understanding the discourse between death and phantoms in the Asian culture can be an important clue into understanding the oriental world view. Death is an inevitable part of life and sudden death is often meet with fear and awe. Life and death cannot be explained in simple terms. As such, approaching the subject from different directions and angles can lead to a variety of explanations and viewpoints. Through these viewpoints, the different understanding and paradigm regarding ethnicity and tradition can be revealed. Moreover, understanding of death and afterlife in Asia and the resulting current real world influence of the existence of phantoms cannot be ignored for its place in daily life. Through this process is where the Asian phantom theory exists. The following paper attempts to uncover the true cultural diversity express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Asian phantom theories. The ideal and abstract nature of phantoms can lead of a variety ways in which the issue can be approached. As such, it is important to narrow the understanding through examining how phantom theory was created in Korea and through Chinese people, and how the historical works have expressed its understanding on phantoms. The paper looks at the cultural diversity expressed through phantoms examined in parts of the famous works of Leem Bang (임방) and Po Sung Ryong (포송령), 〈Chun Yeo Rok〉 (天倪錄) and 〈Ryo Jae Ji Lee〉 (聊齋志異). It is an extremely difficult task to define the theory of phantoms in words. As such, even Confucius and other saints, as well as many academics in Korea, could not give a clear guidance to the subject. Thus, even though the two works mentioned above includes the doctrines of Confucius as its base, one can find parts of Buddhism, shamanism, and theory of eternal life in Taoism embedded withi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icrocosm and complexity of phantoms expressed through the two works, 〈Chun Yeo Rok〉 (天倪錄) and 〈Ryo Jae Ji Lee〉 (聊齋志異) can be brought together to accept the cultural paradigm that it attempts to explain.

      • 중추성 요붕증이 동반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1예

        김진호,문준성,문선중,이지은,최재원,은미정,천경아,조인호,윤지성,원규장,이경희 신덕섭,이형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2 No.2

        Central diabetes insipidus (DI) is a syndrome characterized by thirst, polydipsia and polyuria.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s one of the etiologies of DI. Recently we experienced a central DI associated with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e 44 years old female patient complained right hip pain polydipsia and polyuria. We carried out water deprivation test. After vasopressin injection, urine osmotic pressure was increased form 109mOsmol/Kg to 327mOsmol/Kg (300%). Brain MRI showed a thickened pituitary stalk and at hot bone CT.CT guided biopsy revealed abnormal histiocytes proliferation and abundant lymphocytes, The final diagnosis was central DI associated with systemic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vading hip bone, L-spine and pituitary stalk. Desmopressin and etoposide chemotherapy were performed to the patient.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

        부산·울산·경남지역 직업병 감시체계

        김정일,김병권,김정원,채창호,이철호,강동묵,김지홍,김진하,김영욱,이영하,이지호,김정호,윤형렬,유철인,정백근,장태원,김운규,윤동영,강진욱,김종은,안진홍,이동준,장준호,이광영,송혜란,최영희,이용환,조병만,최홍렬,고상백,김은아,이유진,홍영습,정갑열,김정만,김준연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1

        Objective: Occupational medicine specialists in the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s established an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 and used this system to collected case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s Methods: l l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ystem. The authors selected five main diseases, which were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WRMSD), occupational asthma, occupational skin disease and occupational and occupational lung cancer and established their case definitions. All cases were reported on the web, and real time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Between April 2001 and April 2003, 192 cases of HAVS, 118 cases of WRMSD, 33 cases of occupational asthma, 17 cases of occupational skin disease and 17 cases of occupational lung cancer (for a total of 377 cases of these five main diseases) were reported. most of the HAVS cases came from shipbuilding, and 172 of them (92.7%) were associated with grinding. Of the four main types of WRMSD, carpal tunnel syndrome (CTS) was the most prevalent with 46 cases and shipbuilding was also the main industry involved (83.9%). The ergonomic risk factors involved mainly associated with the hand. In 19 (57.6%) and 4 (12.1%) cases of occupational asthma, the agents involved. The causative agents of occupational lung cancer included Cr, welding fume, PAH, Ni, etc. 10(58.8%) of the cases were diagnosed as squamous cell carcinoma and 5(29.4%) as adenoma. Conclusion: This result showed that an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 might provide an effective method of evaluating the prevalence of such diseases, however the Busan, Ulsan and Kyung-Nam provinces are too large to be treated as individual areas.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that each province should establish its own surveillance system.

      • KCI등재

        신체화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특성

        이주연,이무석,윤진상,양종철,문지웅,정해원,은성종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6 신경정신의학 Vol.45 No.6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charactehstics, such as combined psychopathology and tendency of symptom interpretation, in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Methods : Thirty patients meeting the criteria of DSM-IV somatization disorder were compared with thirty controls. We evaluated the subjects using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SAS),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SIQ), and The Ways of Stress Coping Questionnaire (SCQ).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 From the results of SCL-90-R subscales, the scores of somatization, obsession-compulsion, depression, anxiety, and psychoticis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than nonnal controls.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had greater amplification of physical sensation in SSAS an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hysical interpretation of SIQ compared with psychological or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In the SCQ of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we observed generallylower levels of total coping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ssive coping style of SCQ and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SIQ.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have various psychopathology, greater amplification of physical sensation, physical interpretation tendency of symptoms, and insufficient copying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