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순화슬러지와 생슬러지로 본 질산염제거특성

        조순자,정용주,이나은,이정은,손형식,이상준 부산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3 環境硏究報 Vol.21 No.-

        Using acclimated sludge with inorganic nitrogen medium for three months and non-acclimated sludge, raw sludge, under aerobic condition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biological nitrogen removal. As results, e acclimated sludge under aerobic condition accomplished nitrification efficiently. But the samples from the reactor operated raw sludge had higher ammonium concentration rather than the concentration which was loaded by the medium. This means when we are trying to reorganize existing facilities, we should take high initial ammonium concentration into account.

      • 결장직장암 환자의 임상적 고찰 : 조선대학교 부속병원의 10년 간의 결과

        나은종,문성표,장정환,김권천,민영돈,김성환,조현진,김정용,김경종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0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colorectal cancer rates 4th in the total cancer prevalence in Korea. The clinical patient demographics were considered with the incidence rate of the colon and rectal cancer.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were analyzed for the 5 year survival rate. Materials Methods: Of the 282 patients who were operated from Jan. 1, 1992 to Dec. 31, 2001 and diagnosed by pathological biopsy as colo-rectal cancer, 234 patients were followed up. The age, sex, location of the cancer, TNM stage, operation method, histopathological classification, metastatic region, complications after operation and the survival rate were investigated. Results: Of the 234 patients, male and female consisted of 120 cases (51.3%) and 114 cases (46.7%), with an average age of 61.6 years.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52.3 months and the peri operative mortality was 5.6%. The site of the cancer was most frequent at the rectum with 127 cases (54.3%).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NM stages with 38 cases of stage 1 (16.2%), 98 cases of II (41.9%), 72 cases of III (30.8%) and 26 cases of IV (11.1%). The 5 year survival rate in the age group older than 50 was 63.3 % and 73.5% in the group younger than 50. In regard to the operation type, the 5 year survival rate was 65.4% for elective operation and 65.8% for emergency operation. The 5 year survival rate for well differentiated, moderately differentiated, poorly differentiated cancer, and mucinous adenocarcinoma was 73.7%, 60.2%, 58.3%, and 92.6%, respectively. The 5 year survival rate of each of the TNM stage is 81.1%, 74.8%, 57.0%, and 11.5% for Classes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linical factors were analyzed for the 5 year survival rate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age, sex, and location of the cancer. The TNM stage and histopathological differenti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lon cancer showed better prognosis compared to the rectal cancer.

      • KCI등재

        '광고연구'에 발표된 논문들의 인용 및 저자 분석

        조은성,김세나 한국방송광고공사 2007 광고연구 Vol.0 No.74

        본 연구는‘광고연구’에 1988년 제 1호부터 2006년 제 72호까지 19년의 기간 동안 게재된 논문의 인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고 분야에서 국내 및 해외 학술지의 영향력, 인용된 학술지의 다양성, 그리고 자료 유형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인용분석을 통해 살펴본 ‘광고연구’의 변화 발전해 온 주요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저자의 구성과 관련하여 대학교수 등 학계에 소속된 저자에 의한 논문의 비율이 증가한 반면 연구소 등 업계 소속 저자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광고/언론학 전공자들의 비율은 증가한 반면 경영학 전공자들의 비율은 다소 감소하였다. 복수전공간 공동연구 및 업계 - 학계 공동연구는 아직 높은 비율은 아니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인 저자에 의한 단독 연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여러 명의 저자가 참여하는 복수저자 논문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인용된 자료 형태에 대해서는 한국어 및 영문 자료 모두에서 학술지의 비율은 증가한 반면 단행본 및 실무지의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다. 셋째, 국내 학술지 중에서‘광고연구’는 가장 많은 인용을 받았다. 그러나‘광고학 연구’등 국내의 다른 학술지에 대한 인용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예전과 같은 절대적 영향력은 다소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국내 학술지와 영문 학술지 모두에 대해 학술지 인용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영문 학술지에 대한 인용 다양성의 경우 JAR나 JA와 같은 해외 유력 학술지에 비해서는 아직 낮은 상태에 머물고 있다. Utilizing a citation analysis of Advertising Research over the nineteen year period 1988 to 2006, this study reports what is most influential academic journals in the advertising fiel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longitudinal changes in reference diversity, the form of cited sources and the author characteristics of Advertising Research. The results reveal that Advertising Research has achiev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veral aspects. First, increasing numbers of papers have been written by the authors who work for academic institutions such as professor while the share of industry authors has decreased. The proportion of the authors who have advertising/communication background have increased whereas the ratio of the authors who have management has decreased. Cooperation between multiple disciplines and between academic and industry has also increased. Second, journals have received increasing amount of citations in Advertising Research, rather than other forms of sources such as books and trade magazines. Third, Advertising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cited Korean journal in the citation of both Advertising Research and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However, the rapid development of other Korean journals seems to reduce the formerly overwhelming influence of Advertising Research. Finally, longitudinal analyses of Advertising Research show substantial increase in the diversity of cited journals, which suggests broader utilization of knowledge sources. However, the absolute level of reference diversity still lags behind that of prestigious journals such as Journal of Advertising an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의 지식 정도

        구한나,박인경,박하영,성초아,장다엘,홍은민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2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6

        Purpose: This study was to grasp women’s knowledge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317 women who lives in certain city, Kore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5th, August to 20th, Septemb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9.0.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women’ Breast Self-examination knowledge was 6.79±3.68 (of 17). There are three categories in knowledge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Average score of category is 2.31 ± 0.71(of 4) for knowledge of breast cancer, 2.11 ± 0.57(of 5) for knowledge of breast cancer symptom, 2.37 ± 0.45(of 8) for knowledge of Breast Self-examination. Knowledge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varied significantly for different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history of breast disease. Knowledge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related Breast examination was higher for women who received Breast Self-examination education, received Breast Self-examination education by lecture, performed Breast Self-examination, and who received Clinical Breast Examination Conclusion: People who are teenager and over sixties, their knowledge of Breast Self-examination was low. Therefore, effective Breast Self-examina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for women who are teenager and over sixties to promote their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 regularly.

      • KCI등재

        중국 고전 사가원림(私家园林)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셰나 ( Xie¸ Na ),조은길 ( Cho¸ Eun Kil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중국 고전 사가원림의 우수한 전통을 계승할 필요성을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중국 남북방 지역을 대표하는 원림의 시각적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고전 사가원림 공간 구성의 기본 법칙을 발견하고, 전통적인 원림을 구축하는 지혜를 계승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방 사가원림이 각자의 지역에서 고유의 사회적·문화적 특색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선조들이 과학 기술이 발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원림의 공간구성 질서관(秩序觀)을 가지고 구축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북방 고전 사가원림 공간의 시각적 접근성이 남방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북방의 지리적 조건과 인문적 배경이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남방과 북방 고전 사가원림 모두 국지적 통합도와 전체적 통합도가 상이하고 명료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전체 원림 공간에 대한 인식 수준을 고려하기 했다기보다는 원림 속 예술적 경지의 창조와 표현을 통해 문화적 사고와 사회적 현실의 통일을 실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sed on the necessity of inheriting the excellent traditions of Chinese classical private gardens, this article uses Space Syntax to analyze the visual accessibility of representative gardens covering China. This is to explore the gardening wisdom of the ancients and to discover the basic laws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garde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vate gardens can fully demonstrate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their respective regional spaces. Second, the results proved that the ancients could still maintain and inherit the space order concept of traditional gardens. Third, the visual accessibility of the private garden space in the north is slightly greater than that in the south. This is affected by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humanities and etiquette thoughts in the north. Fourth, the local spatial information and overall spatial information of the north-south and north-south classical private gardens are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garden space is low and difficult to understand.

      • KCI등재

        한국인 정신분열병과 HLA-DRB1 대립유전자의 관련성

        황나영,김종원,오흥범,조지희,오선영,홍진표,박종익,이동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목적: 유전이 정신분열병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것은 널리 인정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한국인 정신분열병과HLA-DRB1 유전자좌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외국인 대상의 보고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인 정신분열병의 유전적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정신분열병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HLA-DRB1 대립유전자를 고해상도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저해상도 수준의 HLA-DR결과는 정상 한국인 2,000명의 연구 보고와 비교하였으며 고해상도 수준의 HLA-DRB1 결과는 정상 한국인 229명의 연구 보고와 비교하였다. 결과: 저해상도 수준에서는 HLA-DR11이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9.0%, 정산인에서는 3.8%의 빈도를 보여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p=0.005), 고해상도 수준에서는 HLA-DRB1*1101이 환자군에서 9.0%로 정상인의 1.8%보다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01).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신분열병과 HLA-DR11(HLA-DRB1*1101)이 양적 상관관계를 보여 백인에서 DR4와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나 일본인에서 DR1(DRB1*0101)과 양적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와 상이하였다. 이러한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유전적 특성은 가족연구 혹은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관련연구를 통하여 재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중심단어:정신분열병·HLA-DRB1·관련연구. Objective: A genetic predisposition is widely accepted in schizophrenia.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e any association of HLA-DRB1 alleles with korean schizophrenics and thereby compare the results of other ethni groups. Method: The subjects were 70 unrelated Korean patients. Low and high resolution typing of HLA-DRB1 alleles were performed. The comparison groups were 2,000 unrelated healthy Koreans for low resolution HLA-DR and 229 unrelated healthy Koreans for HLA-DRB1 alleles. Results: Gene frequencies of HLA-DR11(patients 9.0%, healthy control 3.8%, p=0.005) and HLA-DRB1*1101(patients 9.0%, healthy control 1.8%,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schizophrenics. Conclusion: The frequency of HLA-DR11(HLA-DRB1*1101) is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schizophrenics than in healthy Koreans. HLA-DR4 and HLA-DR1, which we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Caucasian and Japanese schizophrenics, respectively, did not show statistical association with Korean schizophrenics. This association need to be reassured though further studies with families or association study with larger numbers of subjects. KEY WORDS:Schizophrenia·HLA-DRB1·Association study.

      • KCI등재후보

        한국해안으로부터 Purple, Non-Sulfur Photosynthetic Bacterium, Rhodobacter sp. EGH-24의 분리 및 특성

        차미선,김기한,조순자,이나은,이정은,이재동,이상준,박재림 한국환경과학회 200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2 No.12

        A species of facultative photo-organotrophic, purple, non-sulfur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47 point at west and south coast of Korea in September 2001. Separated 13 samples of changes with red color under 28~32 ℃, 3000 lux, anaerobe conditions for 7 days cultivated in basal medium. For pure isolation from 13 samples, we used agar-shake tube method (0.4 % agar) and separated 5 strains through 13-repetition test. EGH-24 and EGH-30 was identified as the same strain through the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of strain EGH-9, EGH-13, EGH-23, EGH-24, EGH-30. Four isolates cultivated in synthesis wastewater for wastewater biodegradation test. EGH-24 was selected with efficient wastwater treating strain.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morphology, nutrient requirements, major bacteriochlorophyll content, 16S-rDNA phylogenetic analysis, EGH-24 strain may be identified as a new strain of the genus Rhodobacter and named Rhodobacter sp. EGH-24.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

        일 도시 고등학생의 음주동기와 음주문제

        강혜영,신경은,장현지,나영화,조은희 韓國學校保健學會 2004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7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rinking motives and the drinking-related problem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t a city in Jeonbuk province. Methods : There were 657 students from two academic and two vocational high schools at J city in Jeonbuk province. The sample was collected us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30th to July 16th 2003. The study instrument used to examine drinking motive was a 20.item summated scale (Cronbach's α = .95) and for drinking-related problems was an 18 item summated scale (Cronbach's α = .91).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PC+ by percentage, χ2.test, t-test and correlations. Results : 1. Drinking experience: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74.3% of them had drinking episodes. Female students started drinking later (χ2 = 12.857, p = .002) and had more drinking friends (χ2 = 7.785, p = .020) than males. Vocational school students drank more frequently (χ2 = 32.138, p = .001), had more heavy drinking episodes (χ2 = 40.370, p = .001). 2. Drinking motives & Drinking-related problems: The mean score of drinking motives was 31.2 ± 11.12 out of 80 and that of drinking-related problems was 21.8 ± 5.85 out of 72 points. Neither score were strong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On the other hand, both drinking motives (t = .4.077, p = .001) and drinking-related problems (t = .3.423, p = .001) were stronger in vocational school students than in academic school stu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drinking-related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were weak (from r = .286 to r = .520) but the correlation within the subcategories of drinking motives was high such as between enhancement and coping (r = .822) and enhancement and social motives (r = .822). Conclusion : The major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tart to drink during their junior high school days. Drinking motives and drinking-related problems were not serious but the drinking motives and the drinking-related problems are stronger among vocational school students. As a result, school-based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should focus on solving drinking motives than on drinking-related problems.

      • SCIESCOPUSKCI등재

        Are Spinal GABAergic Elements Related to the Manifestation of Neuropathic Pain in Rat?

        Jaehee Lee,Seung Keun Back,Eun Jeong Lim,Gyu Chong Cho,Myung Ah Kim,Hee Jin Kim,Min Hee Lee,Heung Sik Na 대한생리학회-대한약리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4 No.2

        Impairment in spinal inhibition caused by quantitative alteration of GABAergic elements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has been postulated to mediate neuropathic pain. In the present study, we tested whether neuropathic pain could be induced or reversed by pharmacologically modulating spinal GABAergic activity, and whether quantitative alteration of spinal GABAergic elements after peripheral nerve injury was related to the impairment of GABAergic inhibition or neuropathic pain. To these aims, we first analyzed the pain behaviors following the spinal administration of GABA antagonists (1Ռg bicuculline/rat and 5Ռg phaclofen/rat), agonists (1Ռg muscimol/rat and 0.5Ռg baclofen/rat) or GABA transporter (GAT) inhibitors (20Ռg NNC-711/rat and 1Ռg SNAP-5114/rat) into naïve or neuropathic animals. Then, using Western blotting, PCR or immunohistochemistry, we compared the quantities of spinal GABA, its synthesizing enzymes (GAD65, 67) and its receptors (GABA<sub>A</sub> and GABA<sub>B</sub>) and transporters (GAT-1, and -3) between two groups of rats with different severity of neuropathic pain following partial injury of tail-innervating nerves; the allodynic and non-allodynic groups. Intrathecal administration of GABA antagonists markedly lowered tail-withdrawal threshold in naïve animals, and GABA agonists or GAT inhibitors significantly attenuated neuropathic pain in nerve-injured animals. However, any quantitative changes in spinal GABAergic elements were not observed in both the allodynic and non-allodynic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impairment in spinal GABAergic inhibition may play a role in mediation of neuropathic pain, it is not accomplished by the quantitative change in spinal elements for GABAergic inhibition and therefore these elements are not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neuropathic pain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