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문적 사회화에 대한 교수들의 지각 연구

        Susan Mathew,Diane Montgomery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0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faculty toward academic socialization. The samp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y-two faculty with varying ethnic backgrounds, both genders, and all faculty ranks represented six academic colleges from a comprehensive land-grant university. The 47 statements that comprised the Q set were sampled based on Tierney and Rhoad``s (1994) culture-based framework for socialization processes for faculty (culture of nation, profession, disciplin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three factors from the data analyzed according to Q method were: (1) Best Fit; (2) Workhorse; and (3) Staying the Course. Best Fit believes that they are a good fit within the overall socialization scheme existing at the level of the discipline and university culture. Workhorses feel strongly that the profession demands a heavy workload imposing time constraints. As a result, they have little time to socialize personally and getting tenured is the focus. Staying the Course faculty members could be thought of as faculty who work hard at balancing their academic and personal roles. Implic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적 사회화에 대한 대학 교수들의 지각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모두 6개의 주립대학으로부터 인종, 성, 그리고 직급이 다양한 32명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Q 세트를 구성하고 있는 47개의 진술문은 대학 교수들의 사회화 과정을 문화적 틀로서 연구한 Tierrey and Rhoad(1994) 논문에 기초하여 선정되었다. 즉 자국문화, 분야, 원칙, 개인, 그리고 제도라는 기준이 사용되었다. Q 요인분석으로 세 개-(1) Best Fit (2) Workhorse (3) Staying the Course -요인으로 밝혀졌다. Best Fit은 기존의 일정 수준의 원칙과 대학문화의 틀 속에서 최적으로 사회화하고 있다고 믿으며, Workhorse는 교수직이 시간의 압박 속에서 과다한 일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믿는다. Staying the Course는 학문적 역할과 개인적 역할의 조화를 이루며 열심히 일하는 교수라고 할 수 있다. 교직개발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한국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성별과 전공에 따른 과민흥분성에 대한 프로파일

        Jeong hwa Moon,Diane Montgomery 한국영재학회 2005 영재교육연구 Vol.15 No.1

        발달 잠재력과 관련된 개념으로서 과민흥분성(OE)은 미국 학생들의 경우 지능, 성별, 학교 프로그램에의 연류, 그리고 예술적 관심에서 차이를 보였다. 사람들이 정서적 성장을 위한 발달 잠재력을 경험하는 과민흥분성은 다섯 가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정서적,지적, 상상적, 감각적, 그리고 정신운동성이다.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 외에 영재아 그룹의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한국 학생들의 정서적 필요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수 학과 과학, 예술, 그리고 외국어라는 상이한 학습 영역의 네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과민흥분성 프로파일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41명의 학생들에게 과민흥분성 설문지로 검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 차이를 알 아보기 위해 MANOVA가 사용되었다. 정신운동, 감각적, 상상적 영역에서는 예술 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지적 영역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정서적 영역 은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았다. 학교들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 이를 보였다. 각각의 전공 사이에도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정신 운동에서는 무용 전공의 학생들이, 감각적,상상적, 정서적 에서는 드라마 전 공의 학생들이, 그리고 지적에서는 과학 전공 학생들이 각각 가장 높은 점수를 보 였다. 또한, 정신운동, 상상적, 지적 영역은 남학생들이 높았고, 반대로 감각적, 정 서적 영역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Overexcitaility (OE) as a concept that is related to developmental potential, has been shown to differ by intelligence, gender, involvement in school programs and artistic interest in American populations of students. Overexitability, used to describe the five ways that people might experience developmental potential for emotional growth, are emotional, intellectual, imaginational, sensual, and psychomotor. Little is known about the profiles of groups of gifted learners outside of studie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emotional needs of Korean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verexcitability profiles of students enrolled in four high schools, each with a different domain focus: math and sciences, visual and performing arts, and foreign languages. 341 subjects of this study completed the Overexcitability Questionnaire II.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scores of psychomotor, sensual and imaginational are highest in the Art High School, intellectual is highest in the Science High School and emotional is highest i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chools. Each major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score of psychomotor is highest in the Dance major, sensual, imaginational and emotional are highest in the Drama majore and intellectual is highest in the Science maj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f psychomotor, imaginational and intellectual are higher in th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mean scores of sensual and emotional are higher in the femal students than in the male students.

      • 밀레니엄 시대의 대학생들에 대한 대학 교수 인식

        Stacey L. Bridges,Diane Montgomery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2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10 No.1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unique needs (Wilson, 2004), learning styles (Howe & Strauss, 2000), and attitudes (Rooney, 2003) of millennial college students. While much has been offered as evidence that the characteristics for students born between1985 and 2005 differ substantially from their predecessors, some debate challenges the differentiation of millennial students (Hoover, 2009). Because teacher expectations influence student performance and achievement, perceptions of university faculty toward current millennial undergraduate students could affect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w university instructors view millennial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using Q method as a research strategy. Using motivational and creative student characteristics, 36 items were sorted by 18 higher education professionals who work directly with undergraduate students under the condition of instruction "How would you describe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Results indicated a three-factor solution, interpreted as Social Performer, Minimal Achiever, and Playful Learner or viewing students as reliant on social interaction, doing the least amount of work to succeed, or ready to learn in nontraditional ways, respectivel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institutional practice are presented. 이 연구는 1978년생 이후의 대학생들의 독특한 수요(Wilson, 2004), 학습 방법(Howe & Strauss, 2000), 그리고 태도(Rooney, 2003)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1985년과 2005년 사이에 태어난 학생들의 특징이 이전의 학생들과 다르다는 연구를 뒷받침할 만한 많은 증거들이 제시되었지만, 몇몇 학자들은 이 그룹의 학생들이 다르다는 주장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교사의 기대는 학생의 수행과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 그룹의 학생들에 대한 대학 교수들의 인식 또한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들이 이 그룹의 학생들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는지를 Q 방법론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창의적인 학생의 특징들을 활용하여, 대학생들과 직접적으로 교류하는 18명의 대학 교육 관련 전문가들에게 "대학생들을 어떻게 묘사할 수 있습니까" 라는 질문을 던져, 36개의 진술을 얻었다. 결과는 3가지 결과로 압축되었는데, 그 3가지는 사회적인 활동가, 최소한의 성취도를 보이는 사람, 즐기며 배우는 사람, 즉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존하며 학위를 위해 최소한의 공부만 하거나 또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지만 그들의 방식대로 공부할 준비가 된 사람으로 분류한다. 교육적 결과와 대학 기관의 관심이 모두 제시되었다.

      • KCI등재

        Profiles of Overexcitabilities for Korean High School Gifted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Domain of Study

        문정화,Moon, Jeong-Hwa,Montgomery, Diane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2005 영재교육연구 Vol.15 No.1

        발달 잠재력과 관련된 개념으로서 과민흥분성(OE)은 미국 학생들의 경우 지능, 성별, 학교 프로그램에의 연류, 그리고 예술적 관심에서 차이를 보였다. 사람들이 정서적 성장을 위한 발달 잠재력을 경험하는 과민흥분성은 다섯 가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정서적,지적, 상상적, 감각적, 그리고 정신운동성이다.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 외에 영재아 그룹의 프로파일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한국 학생들의 정서적 필요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수학과 과학, 예술, 그리고 외국어라는 상이한 학습 영역의 네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과민흥분성 프로파일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41명의 학생들에게 과민흥분성 설문지로 검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OVA가 사용되었다. 정신운동, 감각적, 상상적 영역에서는 예술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았으며, 지적 영역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정서적 영역은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높았다. 학교들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전공 사이에도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정신 운동에서는 무용 전공의 학생들이, 감각적, 상상적, 정서적 에서는 드라마 전공의 학생들이, 그리고 지적에서는 과학 전공 학생들이 각각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정신운동, 상상적, 지적 영역은 남학생들이 높았고, 반대로 감각적, 정서적 영역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Overexcitaility (OE) as a concept that is related to developmental potential, has been shown to differ by intelligence, gender, involvement in school programs and artistic interest in American populations of students. Overexitability, used to describe the five ways that people might experience developmental potential for emotional growth, are emotional, intellectual, imaginational, sensual, and psychomotor. Little is known about the profiles of groups of gifted learners outside of studie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emotional needs of Korean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verexcitability profiles of students enrolled in four high schools, each with a different domain focus: math and sciences, visual and performing arts, and foreign languages. 341 subjects of this study completed the Overexcitability Questionnaire II.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scores of psychomotor, sensual and imaginational are highest in the Art High School, intellectual is highest in the Science High School and emotional is highest i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chools. Each major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score of psychomotor is highest in the Dance major, sensual, imaginational and emotional are highest in the Drama majore and intellectual is highest in the Science maj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f psychomotor, imaginational and intellectual are higher in th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mean scores of sensual and emotional are higher in the female students than in the male students.

      • KCI등재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Academic Attitudes for Gif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문정화,Linnea Van Eman,Diane Montgomery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3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otivation, goal orientation, and attitudes toward schools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educators to consider as they establish positive learning communities for gifted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ttitudes toward school and self relationship to schoolwork for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the 5th, 6th, and 7th grade, identified as gifted, accelerated in at least one subject (mathematics), and living in Korea or the United States. Comparisons were conducted for country of origin and gender for all subscales on the School Attitude Assessment Survey-Revised (McCoach & Siegle, 2004). Of the 507 participants (278 Korean and 229 American), girls scored higher on the motivation/self-regulation scale than boys and American students scored higher than Korean students on attitudes toward school, academic self perceptions, goal orientation, and motiv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country or gender on attitudes toward teachers. 교육자가 동기, 목표지향, 학업태도 등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영재들의 긍정적인 학습 공동체를 수립하는데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에서 최소한 수학 한 과목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5, 6, 7학년 영재 학생들의 학업 태도 및 동기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2004년에 개발된 McCoach와 Siegle의 <학업태도 평가 조사: 개정판>의 모든 하위요소를 국가 간, 남녀 간 비교 연구했다. 전체 507명 (한국 278명, 미국 229명)중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동기/자기규율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미국 학생들이 한국학생들보다 학교, 학업관련 자기인식, 목표지향, 그리고 동기의 하위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교사에 대한 태도 요인은 국가 또는 성별에서 차이가 없었다.

      • 대학 교육에서 평가 업무에 관여하는 대학 교수진의 인식

        Chris M. Ray,Claudette M. Peterson,Diane M. Montgomery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2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10 No.1

        Assessment practitioners commonly assert that faculty involvement in the assessment process is critical to its success, though obtaining such involvement is not an easy task. Faculty members have numerous demands of their time, and anecdotal evidence indicates that faculty members often prioritize assessment activities below other activities, if at all. As individual perceptions are often the best predictors of behavior, and beliefs influence perceptions, judgments, and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erceptions of faculty at two large, public research universities concerning the ways tha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should utilize assessment of student learning outcomes. Participants completed a Q sort with 36 items representing the perceived accountability vs. improvement dichotomy at the course, program, and institutional levels. Additional statements represented negative views toward assessment. Two distinct factors resulted. It``s Not Personal posits that assessment is primarily valuable for program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with a supplemental awareness of external pressures of accountability. It``s All About My Courses asserts that the primary focus of assessment should be upon individual courses. This later factor, however, was bipolar with some participants possessing an opposing view indicating that assessment efforts are generally a waste of time. 평가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교수진을 평가에 참여시키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이는 평가를 위한 성공의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대개 교수진들은 할 일이 많고, 입증되지는 않았으나 교수들이 평가해야 하는 업무가 있다면, 다른 업무들보다 평가 업무를 우선시 한다는 증거들이 존재한다. 개인의 인지가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고 개인의 신념이 인지, 판단 그리고 습관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연구의 목표는 2개의 대형 공립 대학에서 대학이 학생들의 학습 결과 평가를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참가자들은 Q방법론에 의한 36개의 표본으로 분류하였고, 36개의 진술은 해명의무감(Perceived Accountability)과 코스, 프로그램 그리고 기관 수준에 대한 개선 이분법을 대표한다. 교수의 학생 성적 책임이라는 외부 압력이 작용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평가가 프로그램과 기관의 발전을 위해 매우 가치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동의하지는 않는다. ``나의 코스의 모든 것``은 평가의 주요 방향이 각각의 코스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후자의 요인은 평가를 위한 노력들이 대개 시간 낭비일 뿐이라는 반대의 시각을 가진 몇몇 참가자들로 양분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