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덕궁 주합루 취병 복원에 따른 화계 정비 방안

        백종철,김용기,사공영보 한국전통조경학회 200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was a development project of restoration for the Chybyong(flower screen) on the Hwagye(flower terrace) space in the Juhapru area at the Changdeokgung Palace. The Hwagye space in the Juhapru was different from that of Qujanggaockdo drawn at 1776 or Donggwoldo drawn at 1824~1827. The question is how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and to conserve i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These two subjects were opposite problems. Approaches to the two subjects in this study was directed to search for the main object of restoration and to build the main targe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The main object of restoration in this study was Chyby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air those trees planted on the Hwage after building the Chybyong.

      • KCI등재
      • KCI등재

        광한루원의 수목 및 구조물 정비 방안

        백종철 ( Chong Chul Paek ),김학범 ( Hak Beom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3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한 광한루원은 조선시대 관아건축물인 광한루를 중심으로 주변에 조성된 정원과 함께 조선시대 대표적인 관아정원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소이다. 그러나 광한루원은 현재 조선시대 관아정원으로서의 특성과 이미지보다는 지역문화인 춘향전의 배경 장서로서의 인식이 높은데, 이는 춘향전의 한문본인 "광한루기"에 광한루가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 나타났기 때문이며, 1930년대 이후 춘향사당의 건립과 춘향제가 열리면서, 조선시대 관아건축물로서의 인식보다는 일제강점기 시절 민족의식 고취와 춘향의 절개를 추모하는 장소로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관아건축물로서의 인식보다는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의 인식이 높아지며 관아정원으로서 보전, 관리되기 보다는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 민가주택정원이나 지역문화 행사장으로서 관리되면서 무분별한 수목의 식재와 구조물 조성, 공간구성에 의해 관아정원으로서의 특성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따라서 광한루원을 조선시대 관아정원으로서 보전, 관리해 가기 위해서는, 현재 광한루원에 조성된 수목, 구조물, 공간구성 등을 조사하고, 이를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된 광한루원의 원형과 비교, 분석하여, 광한루를 중심으로 조성된 관아정원 지역과 춘향전의 배경장소를 구분하여 정비,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광한루원은 관아정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전통공간의 광한루를 중심으로 펼쳐진 춘향전은 전통의 맥을 잇는 지역문화로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Located in Namwon-si, Jeonila Bukdo, Gwanghallu Garden is created around Gwanghallu, which was a government offi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shows its looks as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of the times. However, Gwanghallu Garden is recognized rather as a background site of Chunhyangjeon, representing a local culture, than the features and picture as a government office garde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because Gwanghallu appeared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in its Chinese character script and, after 1930s, Chunhyang Sadang was built up and Chunhyang Festival held, and it`s recognized rather as a site for arous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cherishing Chwthyang for its integrity in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than as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With it being more recognized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than an ancient government office building, Gwanghallu has been managed as a private house garden or event place of folk festival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than preserved and managed as ancient government office building, and now the looks and features as a garden of government office are hardly seen because of indiscriminate trees and making of structure and spaces. Therefore, to preserve and maintain Gwanghallu Garden as the garden of government offi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it`s required to survey the trees, structure and spaces created in Gwanghallu Garden and compare the true condition th its original looks by studying its literature and it`s suggested that the garden area created around Gwanghallu should be repaired and managed by separation from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Such means of management may keep the looks of Gwanghallu as the ancient office garden while Chunhyangjeon can also settle down as a local culture in the background.

      • KCI등재

        취병(翠屛) 재현을 위한 조성 방법 연구

        백종철 ( Chong Chul Paek ),김승민 ( Seung Min Kim ),이종성 ( Jong Sung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임원십육지 관병법에 나타난 취병의 조성 방법을 토대로 문헌상으로만 연구된 취병을 실제 수목 식재와 시설물의 설치를 통해 재현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다음의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헌에 나타난 취병 조성 방법을 분석하여 취병 재현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된 조성 방법으로 취병을 재현하였으며, 재현 과정 중에 나타난 수목 생육 특성, 시설물 조성 방법의 특이성을 문헌분석 내용과 비교 분석토록 하였다. 셋째, 취병 재현 과정을 통해 파악된 수목 관리 방법, 시설물 설치 방법 등의 관리 방법을 도출하였다. 현재 창덕궁 주합루 전면에는 취병이 재현되어 있으나,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다른 방법으로 조성되어 문헌상에 나타난취병의 모습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취병의 원형 재현은, 18세기 이후 한국 정원 요소로서 사용되어온 취병의 고유성과 전통성을 찾을 수 있게 할 것이며, 이를 통해 한국 정원의 정취를 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In this study, Chwibyeong studied only in the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 composition method through the book, Imwonkyungjeji. I tried to represent through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and planting of trees. I hav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e presented the basic direction of Chwibyeong represented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methods in the literature. Second, represented the Chwibyeo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I wa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 analysis literature the specificity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rees that have been displayed during the represent process. Third, we derive how to manage trees that are grasped through the Chwibyeong represent process, how to manage the facility, such as the installation method. Currently, Chwibyeong is restored in the front of Changdeokgung Juhapru pavilion, but showing the appearance different from the appearance of Chwibyeong shown in the literature. Therefore, after the 18th century, prototype representation of Chwibyeong is intended to be able to find the traditional and the uniqueness. It has been used as an element of the garden of Korea, and intended to be an important role to find the flavor of the Korean gard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된 취병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동궐도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Analysis of Donggwoldo(the Eastern Palace Map)

        백종철,김용기 한국정원학회 200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9 No.2

        In this study, to take the object of this thesi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ybyong(翠屛)[It was made from the usages of the 'Bamboo Espalier(竹 誘引)', or the 'Hoseok(護石: Protective Rock of Tree)', and the 'Flowerpot(花盆)']' made at the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The Eastern Palace)' in 'Chosun Dynasty(朝鮮王朝)' on the analysis of 'Donggwoldo(東闕) The Eastern Palace Map)', also it was suggested that structure of the 'Chybyong' for restoration by analysis of literature and field investig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for location, form and function of the 'Chybyong' on the made at the 'Changdeokgung Palace'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조선시대 파주목 관아의 위치 추정과 공간구성 연구

        백종철,Paek, Chong-Chul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4

        Paju Mok was the local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Joseon Dynasty as the administrative and transportation center of western part of Gyeonggi-do and used as a Haenggung when the king visited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Paju Mok Government Office was adjacent to Uiju-ro, which connects Hanyang and Uiju in the Joseon Dynasty. Paju Mok Government Office is an important place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where the king stayed when he visited the Jereung, Hulleung which are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Hwanghae Province and Paju Yeongreung and Jangneung, Paju Mok Government Office was maintained until the 1900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re used for other purposes, and their function as a Government office is impaired. In addition, most of the buildings disappeared due to the Korean War, and now the state of Paju Mok Government Office was lost. In order to restore the lost Paju Mok Government Offic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mposition of Government Office, such as the place where Paju Mok Government Office is located and major buildings. Therefore, if you find out the location Estimation, spatial composition and size of Paju Mok Government Office by analyzing and analyzing ancient documents and ancient books related to Paju Mok Government Office, and the topographic map and cadastral map and land survey depart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you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restoring Paju Mok Government Office. 파주목은 경기 서부의 행정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조선시대 지방행정처로, 왕의 능행 시 행궁의 역할을 하던 장소이다. 조선시대 한양과 의주를 잇는 의주로에 인접한 파주목 관아는 경기 북부 지역의 중요 장소로서 왕이 황해북도 지역에 위치한 제릉과 후릉, 파주 영릉과 장릉을 능행할 때 머물던 장소이다. 파주목 관아는 1900년대 이전까지 유지되어 오다 일제강점기 이후 관아 건물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행궁으로서의 기능이 훼손된 것으로 보이며, 한국 전쟁에 의해 대부분의 건축물이 사라지며 현재는 파주목 관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소실된 파주목 관아의 복원을 위해서는 파주목 관아가 위치한 위치와 주요 건축물 등 관아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파주목 관아와 관련된 고문헌과 고서화의 조사 및 분석, 일제강점기 시절 지형도와 지적도, 토지조사부 등을 분석하여 파주목 관아의 위치를 추정하고 공간구성, 규모 등을 밝혀낸다면 파주목 관아 복원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세계문화유산 “앙코르” 유적의 시기별 특성 연구

        ( Nan Young Paek ),( Jong Sung Lee ),( Chong Chul Paek ),( Hak Beom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2 No.-

        캄보디아 씨엠립(Siem Reap)에 위치한 앙코르 와트는 크메르 문명의 중심지로서, 앙코르 와트를 중심으로 주변에 다수의 사원 정원들이 조성되어 있다. 힌두교와 불교가 혼재한 독특한 사상의 크메르 문명은, 앙코르 와트를 중심으로 9∼14세기동안 동남아시아에 영향을 미쳤고, 유네스코는 1992년 앙코르 와트를 포함한 주변 400㎢를 ‘앙코르’ 유적으로 지칭하며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 현재 동남아시아에는 33개의 세계유산이 지정되어 있다. 10)인도차이나 반도를 중심으로 조성된 동남아시아 정원은 한국, 중국, 일본으로 대별되는 동아시아 정원과 유럽, 미국, 중동 등의 서양 정원과는 형태적, 사상적으로 다른 독특한 성격의 정원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양조경과 유럽, 미국, 중동, 인도를 포함한 서양조경만이 소개 되었을 뿐 동남아시아정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며, 앙코르 와트와 같은 대표적인 정원에만 연구가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동남아시아의 여러 세계유산 중 크메르 문명이라는 사상적 기반 아래, 크메르 문명의 중심지였던‘앙코르’ 유적 내 사원 정원들을 분석하였다. 크메르 문명에 영향을 받은 사원들의 정원 조성 특징을 찾기 위해, 첫째, 9~14세기 조성된 사원 건축들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각 시기별 정원의 특징을 조사하였고, 둘째, 각 시기별 사원정원에 사용된 주요 공간 요소들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6세기부터 조성되어온 크메르 제국의 사원 정원은, 9세기에 들어서면서 롤루오스 양식의 사원들이 조성되면서 벽돌을 사용한 탑신과 링가, 사분원 형태의 사원 정원이 조성되었다. 초기의 사원 정원은 링가와 탑들을 중심으로 조성되는 단순한 구조의 형태였다. 이후 건축 재료로 사암이 사용되면서 사원 정원의 규모가 커지고, 탑신과 부속시설물이 증가하게 되었다. 9세기 이전까지는 산 정상이나 동굴 내에 사원이 조성되거나, 단일 건축물 위주의 사원이 조성되었으나, 사암을 사용한 건축 양식에 의해 사원 정원의 규모가 커지면서 9세기 이후에는 사분원 형태의 사원을 중심으로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한 해자와 연못, 그리고 긴 주도가 조성되었다. 사원 주변에 수 공간이 조성된 이유는 사원 전면의 뱀 신상과 링가 등에 의해 사원 주변의 물이 정화되고 신성하게 되어 주변 지역을 깨끗이 만들어 준다는 종교적 사상으로 보인다. 특히 사원 정원의 중심에 위치하는 링가의 경우, 신을 대변하는 신성한 상징물로서 사원 정원 내에 중심축으로 사용되었으며, 링가를 중심으로 사분원 형태의 소정원이나 사원 정원 형태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동남아시아 정원 중 ‘앙코르’유적 내에 위치한 사원 정원의 특징은, 동쪽을 향하는 탑과 탑 전면에 위치한 링가와 요니, 링가를 중심으로 구분되는 사분원 형태의 공간 구성, 탑으로 진입하기 위한 긴 주도와 주도 좌우, 또는 사원 주변에 조성된 연못과 해자 등이‘앙코르’ 유적 내 사원 정원의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원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동남아시아 사원정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Angkor Wat, located at Siem Reap, Cambodia, was one time the center of the Khmer Civilization. Centering on Angkor Wat, there are a number of temple gardens. The Khmer Civilization, centering on Angkor Wat, was a unique mixture of Hinduism and Buddhism, and influenced Southeast Asia from the 9th to the14th century. The UNESCO called the 400㎢area including Angkor Wat the ``Angkor`` remains and designat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Currently, there are 33 World Heritage Sites. Southeast Asian gardens constructed mainly in the Indochina Peninsula display unique garden styles different in forms and background thoughts from the gardens of 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and Western gardens in Europe, America, and the Middle East, etc. But in Korea up until now, only landscaping of 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and Western landscaping in Europe, America, the Middle East, and India have been introduced. There have been not sufficient researches on Southeast Asian gardens, except for some researches on representative ones like Angkor Wat. Consequently, this research examines temple gardens in the ``Angkor`` Site, once the center of the Khmer Civilization over time, and analyzes the chang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ose gardens in elements of space . Temple gardens of the Khmer Empire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6th century. In the 9th century, as Roluos-style temples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9th century, brick pagodas, linga, and quadrant-type temple gardens were built. Early temple gardens were of simple structure composed mainly of lingas and pagodas. Before the 9th century, temples were constructed on top of mountains or in caves, and a temple consisted of a single building. But, as sandstone, new construction material, allowed the size of temple gardens to become bigger in the 9th century, temples were built in the form of quadrant, and moat, lakes designed to prevent attacks of enemies, and long main road began to be constructed around the temple from that time. The reason why the watery space around the temple was constructed seems to be caused by a religious view that the snake-god on the facade of the temple and linga would make waters around the temple pure and sacred, which will purify the surrounding areas. Especially, linga, as the sacred symbol of god, was used as the center axis of the temple garden, and, quadrant-type small-size garden or temple garden were made around a linga.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gardens located in the ``Angkor`` remains, among gardens in Southeast Asia, can be listed as follows: pagodas facing east, linga and yoni in front of pagoda, spatial constitution in the form of quadrant centering on linga, long main road leading to pagoda or temple, and lak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ad, and mo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