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노인 대상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 평가

        최정화(Jung-Hwa Choi),이은실(Eun-Sil Lee),이윤진(Yoon-Jin Lee),이혜상(Hye-Sang Lee),장혜자(Hye-Ja Chang),이경은(Kyung-Eun Lee),이나영(Na-Young Yi),안윤(Yoon Ahn),곽동경(Tong-Kyung Kwa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9

        노인은 면역취약집단으로 다른 인구 집단보다 만성질환과 식품매개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며 식행동은 오랜 세월 굳어져 왔기 때문에 변화하기가 쉽지 않다.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식품안전·영양 시범 교육은 서울 마포, 충북 청주, 경북 의성, 충북 진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1년 7월 28일부터 9월 9일까지 총 5주간 매주 1회, 35~40분씩 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조사가 완료된 최종 연구대상은 교육군이 5회 교육 중 3회 이상 교육에 참여하고 교육 전후 평가를 마친 대상자로 137명, 대조군은 사후 설문조사를 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83명으로 총 220명이었다. 교육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들이 식습관을 변화하지 않을 경우 질병 가능성을 알려 심각성을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노인들이 식행동 수정 시 얻게 되는 이들을 알려주고 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아효능감을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교육 후 식품안전·영양지식은 모든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식품안전 영역 5문항 중 4문항, 영양 영역 3문항 중 2문항에서는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식행동은 교육군에서 ‘고기, 생선류는 조리 시 속까지 완전히 익힌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건강신념은 식품안전의 영역에서는 인지된 심각성과 자아효능감, 영양 영역에서는 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장애, 자아효능감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지식, 식행동, 건강신념 변화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신념의 변화량과 식행동의 변화 가능성 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들이 일반 재가 노인보다 복지관에서 봉사하거나 활동하는 노인이었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교육기간이 5주로 비교적 짧았기 때문에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식행동이 쉽게 변화하거나 개선되기 어려우므로 장기간에 걸친 반복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향후 보건소나 복지관 등을 통해 지속해서 시행된다면 노인의 식품안전・영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바람직한 식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ost elderly have difficulties in managing food safety and nutrition by themselves. Various nutrition educations for the elderly have been developed, but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tools for the elderly are very limite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a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for the elderly.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for 220 seniors (137 educated group and 83 control group) aged over 65 years at senior welfare community centers. The intervention study was carried out on a weekly basis during each of 5 weeks, and each session lasted about 35 or 40 minut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ssessed with a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educa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a 5 week program, and topics were ‘Dietary changes for the elderly"s healthy life’,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in everyday life’, ‘Safe food handling for my health’, ‘Healthy dietary life to prevent chronic disease’, and ‘Safety! nutrition! healthy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materials such as slides, handouts, videos, leaflet, and booklets were developed. As a result, there were score improvements in knowledge, dietary behaviors, and health belief after intervent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re was a meaningful interrelation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health belief (r=0.520, P<0.001). This finding suggests that changing beliefs is very important to make desirable dietary behavioral changes. For this reason, we can conclude HBM theory is an effective model to educate nutrition and food safety for the elderly. Furthermore,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re implemented and delivered continuously at various settings such as a health center or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ose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nhance perception and change their desirable dietary behaviors for the elderly.

      • KCI등재

        소나무의 지리적 분포 및 생태적 지위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 영향 예측

        천정화 ( Jung Hwa Chun ),이창배 ( Chang Bae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산림에서 나타나는 수종의 분포 패턴을 해석하고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전국 규모의 체계적 산림조사라할 수 있는 NFI (National Forest Inventory)의 수종별 출현 정보와 출현지점별 풍부도를 기반으로 소나무의 현존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생태적 지위 모형의 하나인 GARP (Genetic Algorithm for Ruleset Production)를 이용하여 소나무 현존분포와 연관성이 높은 환경요인변수들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변수들을 설명변수로 하는 소나무 잠재분포 모형을 작성한 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미래의 잠재분포를 예측하였다. 기후, 지리·지형, 토양·지질, 토지이용 및 식생현황 등27개 환경요인변수를 각각 설명변수로 하여 모형을 구동함으로써 소나무 현존분포와의 연관성을 평가한 결과 1월 평균기온이 최상위를 차지하였고 연평균기온, 8월평균기온, 연교차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NFI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소스개체군으로 선정된 조사지점들을 소나무의 최종출현정보로, 환경요인변수 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변수 세트를 설명변수로 하여 모형을 구동함으로써 최적의 모형을 선정한 후 잠재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현재 시점의 환경요인변수들에 의해 트레이닝 된 잠재분포 모형에서 기후관련변수들을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에서 산출한 변수들로 대체하여 2020년대, 2050년대, 2090년대의 소나무의 예측 잠재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작성된 소나무 잠재분포모형의 평가통계량인 AUC (Area Under Curve)는 0.67로 다소미흡하였으나 향후 기후변화 환경 하에서 소나무림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employed the ecological niche modeling framework using GARP (Genetic Algorithm for Ruleset Production) to model the current and future geographic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based on environmental predictor variable datasets such as climate data including the RCP 8.5 emission climate change scenario, geographic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oil and geological properties, and MODIS enhanced vegetation index (EVI) at 4 km2 resolution.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derived occurrence and abundance records from about 4,000 survey sites across the whole country were used for response variables. The current and future potential geographic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one of the tree species dominating the present Korean forest was modeled and mapped. Future models under RCP 8.5 scenarios for Pinus densiflora suggest large areas predicted under current climate conditions may be contracted by 2090 showing range shifts northward and to higher altitudes. Area Under Curve (AUC) values of the modeled result was 0.67.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ccessful in showing the current distribution of major tree species and projecting their future change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ossible limitations and uncertainties arising from the select of the presence-absence data and the environmental predictor variables for model input. Nevertheless, ecological niche modeling can be a useful tool for exploring and mapping the potential response of the tree species to climate change. The final models in this study may be used to identify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tree species based on the future climate scenarios, which can help forest managers to decide where to allocate effort in the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 under climate change in Korea.

      • KCI등재

        GARP 모형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잣나무의 지리적 분포 변화

        천정화 ( Jung Hwa Chun ),이창배 ( Chang Bae Lee ),유소민 ( So Min Yoo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그간 우리나라에서 경제적인 가치를 인정 받아온 수종인 잣나무를 대상으로 잣나무의 현존 분포를 파악하고,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생태적 지위 모형에 기반하여 향후 잣나무의 분포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5년간의 NFI 자료에서 조사지점별 잣나무의 풍부도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생태적지위 모형 가운데 하나인 GARP (Genetic Algorithm for Rule-set Production)를 이용하였다. 총 27개의 환경요인변수에 대해 각각 모형을 구동하고 컨퓨전 매트릭스(Confusion Matrix) 기반 산출 통계량인 AUC (Area Under Curve)가 0.6 이상인 변수들을 선발하여 최종 잠재분포모형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작성된 모형은 비교적 높은 적합도를 나타냈는데 잣나무는 현재 표고의 범위가 300m에서 1,200m 사이인 지역 및 남부에서 북부에 이르기까지 넓게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성된 모형에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잣나무는 2020년대부터 잠재분포역이 큰 폭으로 축소되며, 2090년대에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이 잣나무의 생육에 불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가 잣나무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잣나무와 기후변화와의 상관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향후 지역별 조림수종 선정 및 경제수종 교체 등의 조림적 관점에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tential geographic distribution of P. koraiensis, which is known to be one of major economic tree species, based on the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 scenarios and current geographic distribution from National Forest Inventory(NFI) data using ecological niche modeling. P. koraiensis abundance data extracted from NFI were utilized to estimate current geographic distribution. Also, GARP (Genetic Algorithm for Rule-set Production) model, one of the ecological niche models, was applied to estimate potential geographic distribution and to project future changes. Environmental explanatory variables showing Area Under Curve (AUC) value bigger than 0.6 were selected and constructed into the final model by running the model for each of the 27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model validation which was performed based on confusion matrix statistics, showed quite high suitability. Currently P. koraiensis is distributed widely from 300m to 1,200m in altitude and from south to north as a result of national greening project in 1970s although major populations are found in elevated and norther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ccessful in showing the current distribution of P. koraiensis and projecting their future changes. Future model for P. koraiensis suggest large areas predicted under current climate conditions may be contracted by 2090s showing dramatic habitat loss. Considering the increasing status of atmospheric CO2 and air temperature in Korea, P. koraiensis seems to experience the significant decrease of potential distribution range in the future. The final model in this study may be used to identify climate change impacts on distribution of P. koraiensis in Korea, and a deeper understanding of its correlation may be helpful when planning afforestation strategies.

      • KCI등재

        MaxEnt 모델링을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와 개서어나무 (C. tschonoskii)의 분포변화 예측

        이민기 ( Min-ki Lee ),천정화 ( Jung-hwa Chun ),이창배 ( Chang-bae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21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3 No.1

        Hornbeams (Carpinus spp.),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South Korea, are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abundant species at climax stage in the temperate forests. Although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 laxiflora community have been reported, little ecological information of C. tschonoskii is available. Little effort was made to examine the distribution shift of these species under the future climate condi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potential shifts in the distribution of C. laxiflora and C. tschonoskii in 2050s and 2090s under the two sets of climate change scenarios, RCP4.5 and RCP8.5. The MaxEnt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wo species using the occurrence data derived from the 6<sup>th</sup>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s well as climate and topography data. It was found that the main factors for the distribution of C. laxiflora were elevation, temperature seasonality, and mean annual precipitation. The distribution of C. tschonoskii, was influenced by temperature seasonality, mean annual precipitation, and mean diurnal rang. It was projected that the total habitat area of the C. laxiflora could increase by 1.05% and 1.11% under RCP 4.5 and RCP 8.5 scenarios, respectively. It was also predicted that the distributional area of C. tschonoskii could expand under the future climate conditions. These results highlighted that the climate change would have considerable impact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 laxiflora and C. tschonoskii. These also suggested that ecological information derived from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proper forest management practic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SCIESCOPUS

        Ischemia-Related Changes in Galanin Expression in the Dentate Hilar Region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in Gerbils

        LEE, Hyeon Yong,HWANG, In Koo,KIM, Dae Ho,KIM, Jung Hwa,KIM, Chang Ho,LIM, Beong Ou,KANG, Tae-Cheon,BANG, Kyung Hwan,SEONG, Nak Sul,LEE, Hak Ju,KIM, Jong Dai,WON, Moo Ho Japanese Association for Laboratory Animal Science 2005 EXPERIMENTAL ANIMALS Vol.54 No.1

        <P>Although galanin (GAL) protects hippocampal neurons from ischemic damage, no study has examined ischemia-related changes in endogenous GAL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We investigated the chronological changes of GAL, well-known as the potassium channel opener, expression in the dentate gyrus at various times after 5 min of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in gerbils. A few GAL-immunoreactive (IR) neurons were found in the polymorphic layer of the sham-operated group. Three hours after ischemia-reperfusion, the pattern of GAL immunoreactivity was similar to that of the sham-operated group and the number of GAL-IR neurons and immunoreactivity were highest 12 h after ischemic insult. At this time, GAL-IR neurons in the polymorphic layer showed strong GAL immunoreactivity. Thereafter, GAL-IR neurons and immunorea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dentate hilar region. Four days after ischemic insult, GAL-IR neurons were not detectable.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Western blot study showed a pattern of GAL expression similar to the immunohistochemical changes. GAL protein content also was highest 12 h after ischemia. In conclusion, the increased expression of endogenous GAL in the dentate gyrus after ischemia is related to response to the ischemic damage.</P>

      • KCI등재

        사회인지이론 기반 중산층 노인 식품안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최정화(Jung-Hwa Choi),유효이(Hyo-E Yoo),정하림(Harim Chung),이혜상(Hye-Sang Lee),이민준(Min-June Lee),장혜자(Hye-Ja Chang),이경은(Kyung-Eun Lee),이나영(Na-Young Yi),곽동경(Tong-Kyung Kwa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8

        현대의학의 발달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그 결과 노인인구 증가를 가져와 노인 의료비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적절한 방안으로는 노인들의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를 도모하는 것이며, 이는 사회의 의료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사회 전체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산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인지이론 기반의 식품안전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시범실시를 하여 교육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군 212명, 대조군 42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사전 사후 지식 총점의 변화는 교육군이 2.80점에서 3.80점으로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P<0.001). 교육군의 식품안전 식태도/건강신념의 교육 전과 후의 총점은 20점 만점에 15.28점에서 16.50점으로 유의적인 상승을 보였다(P<0.001). 대조군은 사전 15.21점에서 사후 15.29점으로 상승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의 식품안전 식행동은 교육군의 교육 전과 후의 총점이 28점 만점에 20.07점에서 22.50점으로 2.43점 상승하여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P<0.001). 가정 내 식품 취급실태를 살펴보면 식품을 직접 구매한다고 한 응답자가 교육군의 87.3%, 대조군의 95.2%로 나타났으며, 식품 조리 여부 항목에 대해서는 교육군의 87.7%, 대조군의 95.2%가 직접 가정에서 조리한다고 응답하였다. 식태도/건강신념 변화와 식행동 변화값 간에 상관관계가 가장 높으며(r=0.447, P<0.001), 식행동 변화값과 지식의 변화 값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152, P<0.05). 경로별 교육 효과를 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점수와 점수변화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식, 식태도/건강신념, 식행동의 모든 경로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2차 시 교육의 사전, 사후 평가를 대조군의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는데, 교육의 기간이 2차시로 제한되어 있고 교육 후 행동 변화의 유지를 평가하지 못하였다. 또한, 교육경로와 대상자의 수가 적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향후 교육의 확대를 통한 후속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ssess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 developed food safety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elderly in the middle clas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 two times at a public health center, community welfare center, senior citizens’ center, and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For food safety intervention education, data from the intervention group (212 subjects) and control group (42 subjects) were analyzed. Significant (P<0.001) differences in the scores for food safety knowledge, food attitude, and food behavior were obser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before and after the stud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lso detected between knowledge, food attitude/health belief, and food behavior in the intervention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study contributed to perception changes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eventually behavioral changes. Accordingly, this program can induce cognitive and behavioral changes by conducting food safety training for the elderly.

      • KCI등재

        기니픽 기관지 말초신경에 대한 캡사이신의 탈감작 효과

        정이숙(Yi Sook Jung),조태순(Tai Soon Cho),문창현(Chang Hyun Moon),신화섭(Hwa Sup Shin) 대한약학회 1997 약학회지 Vol.41 No.1

        In the present study, capsaicin-induced desensitization of peripheral sensory nerv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guinea pig bronchi, in which these nerves are stimulated with capsaicin to produce a contractile response via the release of sensory neuropeptides such as substance P and neurokinin A. The contractile response to capsaicin was inhibited by the combination of CP96345 and SR 48968 suggesting that the excitatory effect of capsaicin is mediated via both the tachykinin NK-1 and NK-2 receptor. Capsaicin produced in vitro-desensitization in dose-dependent manner, but after this in vitro-desensitization the response to NK-1 and NK-2 receptor agonist did not change. Systemic administration (s.c.) of capsaicin also desensitized significantly bronchial tissues but could not produce any change in the contractile response to the selective agonists of NK-1 and NK-2 receptor.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desensitization to capsaicin-induced contractile response in guinea pig bronchi does not involve NK-1 and NK-2 receptor, while excitatory effect of capsaicin is mediated via both NK-1 and NK-2 receptor.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capsaicin- induced excitation and desensitization involves somewhat different pathways.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청간소요산으로 호전된 설통 환자 3례

        김연진,양승보,김정화,이상화,조승연,박성욱,박정미,고창남,Kim, Yeon-jin,Yang, Seung-bo,Kim, Jeong-hwa,Lee, Sang-hwa,Cho, Seung-yeon,Park, Seong-uk,Park, Jung-mi,Ko, Chang-nam 대한한방내과학회 20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8 No.4

        Objectives: This clinical study reports the effects of Cheonggansoyo-san (CSS) on three patients with glossodynia. Methods: Three patients with glossodynia were treated with CSS (i.e., an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Numeric rating scales (NRSs) for glossodynia and dry mouth and hwa-byung questionnaire score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from heart rate variability (HRV) evaluations were analyzed. Results: After treatment with CSS, three patients' glossodynia symptoms, such as burning sensations, tingling, and numbness of the tongue, were improved. NRS ratings for glossodynia and dry mouth and the hwa-byung questionnaire scores also improved, and HRV parameters were closer to the normal range. Conclusion: Cheonggansoyo-san could be used to treat glossodynia.

      • 약물치료 불응성 CAPD 출구감염에서 외측 Cuff 제거의 효과

        정창화,김응석,김용섭,이정호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은 현재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혈액투석과 함께 보편적인 신대체 요법중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와 함께 CAPD에 관련된 합병증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있다. 이들 합병증 중 출구 및 터널 감염증은 재발성 또는 지속적 복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도관 제거의 주요 원인으로 되어있다. 이에 저자들은 4주 이상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 출구감염이거나 반복적인 추구감염과 터널감염에서 외측 cuff 제거술(external cuff shaving)이 도관 이용 기간에 미치는 영향과 감염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경주병원에서 1994년 4월부터 1998년 10월 31일 사이에 말기 신부전으로 CAPD를 시행하고 있는 환자 중 약제 투여로 치료되지 않는 출구 및 터널감염이 있어 CAPD 카테터의 외측 cuff 제거술(external cuff shaving)을 시행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평균 연령은 45.5±12.8세였고, 남녀 비는 7 : 6 이었다. 외측 cuff 제거술 전까지CAPD 이용기간은 평균 21.7±8.0개월이었고 외측 cuff 제거 후의 CAPD 사용기간은 평균 17.63±6.26개월이었으며, cuff 제거술 시행하기 전에 출구감염 및 복막염의 빈도는 각각 0.68±0.87 회/환자-년, 0.88±0.35 회/환자-년이었으며 출구감염은 cuff 제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6). 그러나 복막염은 cuff 제거 이후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cuff 제거술 이후 7예에서 결국 도관을 제거하였으며, 도관 제거의 원인은 출구 및 터널 감염의 재발 5예(71.4%), 약제 불응성 복막염 2예(28.6%) 등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속적 또는 약물치료 불응성 도관 출구감염으로 도관 제거가 필요한 복막투석 환자에서 도관 제거 이전에 도관 출구주위 피부를 절개하여 외측 cuff를 제거함으로써 복막염의 발생 빈도를 낮출 수는 없으나 CAPD를 비교적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is a well established treatment modality for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end stage renal disease. The infectio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CAPD have been major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CAPD. Of those the exit-site or cuff infection has become an important cause of catheter removal. To evaluate whether the shaving of external cuff is effective treatment in the patients with refractory exit site infection. Methods : We reviewed 13 patients treated with the shaving of the external cuff due to persistent or refractory exit site infection not responsive to adequate antibiotic therapies more than 4 weeks. This review of cases included 1994~1998 in the Dongguk University Medical College Hospital and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catheter survival after external cuff shaving. Results 1)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7 : 6, and the mean age was 25.5±12.8 years. 2) The mean duration of CAPD before shaving was 21.68±7.97 months, and the underlying renal disease were chronic glomerulonephritis(30.8%), diabetic nephropathy(23.1%), hypertensive nephropathy(23.1%) and polycystic kidney(7.7%) 3) Of the organisms isolated from exit site infections, Staphylococcus aureus was the most common before and after the shaving with 53.9% and 15.4% of all culture positive infections respectively. Shaving and 0.68±0.87 and 0.28±0.35 after the shaving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persistent or refractory exit-site infection in CAPD patients have been treated by removal of infected catheter. However, with the above results, we found that the shaving of the external cuff in those patients can maintain the catheter for a relatively long period(mean 17.63±6.26 months, range 9~28 months). After the shaving of external cuff, the patients were clinically stable without a significant increase in exit-site infection or periton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