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ercury Thermal Reduction Characteristics and Leaching Assessment on Residue from Thermal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 Sludge

        ( Bup-mook Jeong ),( Jin-ho Sung ),( Seung-ki Back ),( Ha-na Jang ),( Yong-chil Seo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3RINCs초록집 Vol.2015 No.-

        This study provides an assessment of mercury concentration changes of total content and leaching solution in industrial waste sludge and bottom ash as a residue after thermal treatment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recycling. Industrial waste sludge has low strength, and contains hazardous heavy metal pollutants such as mercury, zinc, etc. Therefore, landfill disposal of such hazardous waste sludge would not be an appropriate method of management from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In order to evaluate mercury removal characteristics with thermal treatment, three kinds of industrial waste sludge were selected. The initial mercury concentrations in three different waste sludge were 97.6 mg-Hg/kg, 603.5 mg-Hg/kg, and 1,602 mg-Hg/kg, respectively. Leaching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mercury concentration in bottom ash was decreased as thermal treatment temperature was increased. After the thermal treatment, the mercury concentration of leaching solution in bottom ash was complied with standard limit value (0.005 mg-Hg/L) in Korean Leaching Test Method.

      • A Study on Combustion Properties of Torrefied Mixed Waste-biomass

        ( Bup-mook Jeong ),( Jae-hoi Gu ),( Gil-ju Park ),( Jeeban Poudel ),( Sea-cheon Oh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심포지움 Vol.2018 No.1

        Since the Paris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dopted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in December 2015,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achieve a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Korea also encouraging the use of renewable energ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lan, it is expanding the portion of power generation using waste, bio, wind, and solar energy. Use of waste and biomass as a source of energy is one of the means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increase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and to reduce greenhouse gases. Torrefaction technology is a process of producing fuel by heat treat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low-temperature reducing atmosphere. The crushability is improved by torrefaction reaction, and it is easy to dual fuel combustion. And it becomes hydrophobic and contamination by microorganisms is reduced. In adition,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low-grade fuel by increasing the calorific value per mass of the sample through the torrefaction react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lue gas generated when torrefied materials are burned are compared and analyzed. for analyzing the combustion properties of torrefied materials The gas components (CO, CO<sub>2</sub>, THC, CH<sub>4</sub>, NO<sub>X</sub>, HCl)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orrefied materials and coal were compared and analyzed. It is shown that it can be used as a solid fuel because it is included in the coal band of Van Krevelen diagram which is diagrammed by using elemental analysis result of torrefied materials.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coal and solid samples, all nine samples showed trends of flue gas generation similar to coal.

      • A Study on Leaching Characteristics of Ash and Slag Using Biodrying Fuel

        ( Bup-mook Jeong ),( Young-sik Yoon ),( Dong-ju Kim ),( Yeong-su Park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ISSE 초록집 Vol.2019 No.-

        Most of the ash from the combustion process are being landfilled in South Korea. Generally ash contains lots of contaminants like heavy metals. (like Mercury, Chrome, Cadmium, Arsenic, Lead, etc,.) Landfill will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by leaching water from ash. There are four stable treatment methods for ash : cement solidification, melt solidification, drug treatment and acid extraction. Melt solidification method was selected for ash stable treatment method. We analyzed leachng characteristics of ash and slag for recyclability assessment as road and building materials.

      • 유기질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0.1Gcal급 열저장 시스템의 운전 특성

        정법묵 ( Bup-mook Jeong ),박동규 ( Dong-kyoo Park ),구재회 ( Jae-hoi Gu ),노광두 ( Kyang-du Noh ),안중언 ( Jung-eon Ahn ),김동철 ( Dong-chul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과도한 화석연료 의존에 따른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범세계적 공동대처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총 에너지소비의 약 26%가 증기, 온수, 배기가스 형태의 폐열로 버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저품질폐열을 회수 및 이용함으로써 화석에너지 대체 및 그에 따른 환경영향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저품질폐열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폐열에너지를 저장, 변환 및 이용하는 축열시스템 개발연구가 각광받고 있으며, 미국, 독일 및 일본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에 반해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단계에 그치고 있으며,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폐열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축열 시스템은 크게 현열을 이용하는 시스템과 잠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축열 물질의 상변화를 통한 잠열을 이용할 경우 현열 효과에 비해 더 많은 열량을 저장할 수 있고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다량의 폐열이 발생하는 석유 플랜트 및 발전 플랜트 등 다양한 공정 폐열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변화 현상을 이용할 경우 열의 저장 및 활용에 있어 온도변화가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은 대형 플랜트 외, 전자장비 및 기기의 발열 방지용 냉각 분야, 항온에 의한 쾌적성 유지를 위한 직물, 섬유, 의류 분양 등과 같은 다양한 범위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핀튜브 타입의 48개의 Mudule이 설치된 PCM 저장장치를 이용해 실험하였다. PCM 물질은 유기계 상변화 물질을 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선정물질의 상변화 온도는 68 ~ 71℃로 나타났다. 축열 및 방열을 위한 열전달 매체로 저압 스팀 및 공기를 각각의 공정에 직접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운전조건에서 내부 온도분포, 축/방열량 그리고 열전달 시간 및 효율 등 유기질 상변화 물질의 축열 및 방열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3 kgf/㎠의 포화 수증기를 축열 매체로 공급하였으며, 1.23시간 동안 총 0.173 Gcal의 열량을 축열할 수 있었다. 이때 PCM 물질에 의한 축열량은 전체 열량의 60.5%인 0.105 Gcal로 나타났으며, 그 외 0.068 Gcal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조물의 현열효과로 나타났다. 공기를 직접 이용하여 방열 운전한 결과, 일정 공기 유량 335 ㎥/hr 조건에서 출구 공기 온도 50℃ 기준으로 대략 42시간 동안 3,119 kcal/hr의 속도로 방열되어 축열량의 75%에 해당하는 0.1298 Gcal를 방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축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성능 최적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사사: 본 연구는 2018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과제니다. (No.20162010104620)

      • 가축 분뇨 혼합물의 반탄화 특성 연구

        정법묵 ( Bup-mook Jeong ),김동주 ( Dong-ju Kim ),박동규 ( Dong-kyoo Park ),구재회 ( Jae-hoi Gu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반탄화 기술은 취급과 저장이 용이하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고형 연료를 생산하는 기술로 낮은 발열량과 높은 함수율을 갖는 바이오매스의 연료화 기술로 국내외에서 연구되어 왔다. 일반적인 반탄화 기술은 원료를 저온 환원분위기에서 일정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반탄화 기술을 가축 분뇨(우분, 돈분, 톱밥)에 적용하여 고형연료로써 사용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축 분뇨는 우분, 돈분, 톱밥을 50 : 25 : 25 로 혼합한 뒤 자연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가축 분뇨 혼합물의 온도에 따른 반탄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Rotary Kiln 반응기를 이용하여 250℃, 300℃, 350℃에서 체류시간 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축 분뇨 혼합물의 연료로써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원소분석, 삼성분 분석, 발열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혼합 가축 분뇨의 반탄화 온도에 따른 반탄화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250℃, 300℃, 350℃에서 15분의 체류시간동안 반탄화한 반탄화물을 비교해 보았다. 반탄화물의 발열량은 300℃까지 증가하다가 350℃에서 감소하였다. 공업분석 결과 휘발분의 비율은 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고정탄소의 비율은 휘발분과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탄화물의 수율은 250℃에서 77.5%, 300℃에서 59.7%, 350℃ 50.2%로 나타났다. 250℃와 300℃에서 체류시간을 달리하여 가축 분뇨 혼합물의 반탄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250℃에서 체류시간을 증가시켰을 때 휘발분의 비율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고정탄소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300℃의 경우 휘발분은 감소하고 고정탄소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50℃와 300℃에서 체류시간에 의한 수율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Characteristics of Heat Storage and Releasement of Phase Change Material (PCM)

        ( Dong-kyoo Park ),( Bup-mook Jeong ),( Soo-nam Park ),( Jae-hoi Gu ),( Joung-eon A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심포지움 Vol.2018 No.1

        The increases in costs of fuel and power generation are causing a growing interest in the unused waste heat generated by power plants and industries, and the market for using the waste heat is also expected to grow at an annual rate of 6.74% from 2017 to 2021 in the world. However, the existing technologies for recovery and utilization of the waste heat at low temperature below 300℃ are limited due to economic feasibility and lack of demands, and the waste heat is mostly disposed. For industrial waste disposal companies in Korea, the usage rate is about 38% of the total heat generation. As the alternative technologies to use the middle and low temperature heat, organic Rankine cycle power generation and heat storage system based on phase change material (PCM) or thermochemical storage are gaining attention. The heat delivery based on the heat storage using PCM is being developed and applied mostly in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however has yet to be used in Korea. In this study, 0.1 Gcal heat storage device of shell and tube type was developed using inorganic PCM. As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of the selected PCM is 89℃, hot water was used as a heat transfer fluid (HTF), and heating and cooling the PCM were conducted by hot water boiler and cooling fan, respectively. Therm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eat storage and releasement of the PCM such as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PCM, totally stored and released heat, heat transfer time and efficiency are investigated with keeping the HTF temperature of 95℃ and 55℃ for heat storage and releasement, respectively.

      •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생산조건에 따른 용류도 특성

        박영수(Young-Su Park),정법묵(Bup-Mook Jeong),윤영식(Young-Sik Yoon) 한국열환경공학회 2019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19 No.춘계

        폐수슬러지에 대한 해양투기가 2014년부터 원칙적으로 금지되었고 또한 2018년 자원순환기본법 시행에 따라 폐수슬러지의 적정 처분을 위한 슬러지 재활용 및 처리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폐수슬러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사업장의 업종 또는 폐수처리의 방식 및 처리 강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부분 중금속이나 유해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폐수슬러지 처리현황을 살펴보면 2016년 기준 유기성 폐수슬러지의 경우 재활용 68%, 매립 25%, 소각 7%이며, 무기성 폐수슬러지의 경우 재활용 69%, 매립 30%, 소각 2%이다. 재활용 기술 중 처리 단가가 저렴한 시멘트원료화의 비중이 현재 약 50%로 가장 높지만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안정성 및 친환경성에 대한 의문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슬러지 재활용 기술 중 슬러지 내 중금속을 완전 무해화 하여 안정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용융기술이 재부각 되고 있다. 특히, 고동도의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슬러지의 경우 중금속 종류와 농도편차가 커서 친환경적 처리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1종과 폐수슬러지 2종에 대해 슬러지 + 첨가제(CaO or SiO2), 슬러지 + 톱밥, 슬러지 + 톱밥 + 첨가제(CaO or SiO2) 조건에 대해서 염기도에 따른 용류도 지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하수슬러지(67%)와 톱밥(33%)을 혼합한 시료의 경우 용융온도 1,290℃에서 별도의 염기도 조정없이 60% 이상의 용류도를 보여 용융처리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