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treptomyces sp. 3D3 균주가 생산하는 항고추역병성 항생물질

        윤봉식,김창진,이인경,히로유끼 고시노,유익동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1

        미생물 배양액을 이용하여 고추역병방제를 위한 농업용 항생물질을 탐색하던 중 고추역병균인 Phytophthora capsici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3D3 균주를 선발 하였다. 선발된 균주의 배양적,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Streptomyces속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하였고 따라서 Streptomyces sp. 3D3으로 명명하였다. 배양액으로 부터 HP-20 column chromatography, EtOAc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에 의하여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였으며, 발색반응, UV 흡수, ^1H-NMR등 각종 spectrum 분석을 통하여 본 활성물질을 bafilomycin C_1으로 동정하였다. Streptomyces sp. 3D3이 생산한 compound 3D3은 다양한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uring the screening for the antifungal compounds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hytophthora blight of red pepper, we isolated a strong active compound, bafilomycin C_1, produced by strain 3D3. The producing organism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sp. based on taxonomic studies. The antifungal compound was purified from culture broth by HP-20 column chromatography, ethylacetat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and was identified as bafilomycin C_1 by color reaction, UV and ^1H-NMR spectral data analysis. Bafilomycin C_1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 잣나무 天然化學物質이 Callus 誘起 및 細菌培養에 미치는 影響

        吉奉燮,金永植,李承燁,尹敬源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1993 基礎科學硏究誌 Vol.12 No.2

        To study allelopathic of naturally occurring substances emitted from Pinus koraiensis,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and volatile substances of the tree on callus induction and bacterial culture were examined. The induction and growth of callu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and of the essential oils supplemented to Murashige and Skoog's media. However, low concentration(5μl/l) of essential oil promoted callus growth. In germiculture of several bacteria, the extracts of Pinus koraiensis markedly showed the inhibitory effects on bacterial growth. It was, therefore, confirmed that the chemical substances of Pinus koraiensis tree clearly showed the biological toxic activity at high concentrations.

      •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질의 및 객체 관리기 인터페이스

        이재봉,배석찬,이홍로,이연식 群山大學校 1993 論文集 Vol.20 No.-

        객체 지향 데이타 모델을 지원하는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기존의 데이타베이스의 단점을 보완하며, 다양하고 복잡한 실세계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접근을 위해 질의 및 객체 관리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를 위한 질의 인터페이스와 질의 계획을 수행하기 위한 객체 관리 인터페이스를 설계함으로써 질의 목적을 달성토록 하였다. 설계된 객체 관리 인터페이스는 응용을 위해 "C"언어 함수로 구성하였고, 성능 항상을 위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다. The database system that supports object oriented data model can complements conventional DBMS's drawbacks and processes complex and intensive applications. In object oriented database system, the access and management of all objects are manipulated by object manager. Therefore, a query interface as well as an Object Manager Interface(OMI) is required for interfacing between a user and an object st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query interface which can support object oriented paradigm and design rules of OMI, and implement OMI based on the rules. The OMI have been implemented by using C language on UNIX OS machine.

      • Micromonospora sp. SA-246 균주가 생산하는 Isochromanequinone계 항생물질

        여운형,윤봉식,황경숙,이정옥,유승헌 충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1997 생물공학연구지 Vol.5 No.-

        저영양성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분리, 배양하여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던 중 SA-246 균주가 강한 항균활성 및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SA-246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배양적,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ISP 방법에 따라 조사한 결과 Micromonospora 屬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하였으며 따라서 Micromonospora sp. SA-246으로 명명하였다. 배양액으로 부터 용매추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HPLC 등에 의하여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였으며 UV 흡수, mass, NMR spectrum의 분석 결과 본 활성물질을 crisamicin A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SA-246은 그람 양성 세균에 항균활성을, 폐암세포주(A549), 난포암세포주(SK-OV-3), 피부암세포주(SK-MEL-2), 신경암세포주(XF498), 대장암세포주(HCT15)에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new bioactive compounds from oligotrophs in soil, a microorganism, designated as SA-246 and now identified as Micromonospora sp., has been shown to produce a strong anitbacterial compound. The active compound was purified from broth filtrate by ethylacetat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and HPLC, and was identified as crisamicin A based on mass and NMR spectral data. The compound SA-246 exhibited not only strong anit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but also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such as A549 (lung), SK-OV-3 (ovarian), SK-MEL-2 (melanoma), XF498 (central nervous system) and HCT15 (colon).

      • SCOPUSKCI등재

        Micromonospora sp. SA-246 균주가 생산하는 Isochromanequinone계 항생물질

        여운형,윤봉식,황경숙,이정욱,유승헌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3

        저영양성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분리, 배양하여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던 중 SA-246 균주가 강한 항균활성 및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SA-246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배양적,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ISP 방법에 따라 조사한 결과 Micromonospora 層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하였으며 따라서 Micromonospora sp. SA-246으로 명명하였다. 배양액으로부터 용매추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HPLC등에 의하여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였으며 UV 흡수, mass, NMR spectrum의 분석 결과 본 활성물질을 crisamicin A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SA-246은 그람 양성 세균에 항균활성을, 폐암세포주(A549), 난소암세포주(SK-OV-3), 피부암세포주(SK-MEL-2), 신경암세포주(XF498), 대장암세포주(HCT15)에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new bioactive compounds from oligotrophs in soil, a microorganism, designated as SA-246 and now identified as Micromonospora sp., has been shown to produce a strong antibacterial compound. The active compound was purified form broth filtrate by ethylacetat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and HPLC, and was identified as crisamicin A based on mass and NMR spectral data. The compound SA-246 exhibited not only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but also cytoto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such as A549 (lung), SK-OV-3 (ovarian), SK-MEL-2 (melanoma), XF498 (central nervous system) and HCT15 (colon).

      • SCOPUSKCI등재
      • 컬럼형 회분건조기를 이용한 벼의 건조에 관한 연구

        변유량,최홍식,조형용,권윤중,김주봉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84 논문집 Vol.16 No.1

        The vertical column batch dryer which is suitable to Korean farm was constructed and dryer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through field test. The effect of a drying air temperature and an airflow rate on the drying rate was studied, and an empirical drying equation was established. The average drying rate of paddy were 1.6-1.8%/hr at the air temperature of 43℃ and the airflow rates of 19.4 - 24.5 CFM/ft². The differences of grain moisture content between the inner and outer layer of vertical paddy bed were 0.5 - 0.9% The effect of a drying air temperature was larger at high airflow rate. At constant temperature, the drying rate was increased as an airflow rate was increased. The empirical drying equation could be expressed as followed: ??=0.9exp(??) Where K=3.22×?? The average whitening ratio of brown rice which was dried with column batch dryer was higher 0.6% than that of sun dried rice.

      • SCOPUSKCI등재

        동종골수이식 후 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양상 및 관련인자

        이원영,강무일,오은숙,오기원,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신완식,민우성,김춘주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골수이식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면역억제제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주로 고령의 만성 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는 고형장기이식에서와는 달리 당대사 및 지단백 대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로 혈당 및 혈중지단백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임상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43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및 이식 후 1, 2, 3, 4주와 3개월, 6개월에 공복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을 측정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여러 임상인자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1. 공복혈당은 골수이식 수 첫4주 동안 상승하였고 이후 감소하였으나 이식 6개월 시점의 평균 공복혈당은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이식 후 1주에 최고치를 형성하였고 이후 기저수준으로 회복되었다가 이식 수 3,6개월에 다시 증가하여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이식 후 1개월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3,6개월에는 기저치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고밀도지단백은 이식 후 2,3주에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이식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저밀도지단백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였다. 2. 골수이식 후 6개월 시점에서 공복 혈당이 126㎎/dL이상인 환자는 7명(16%)이었다. 이들 환자들과 공복혈당 126㎎/dL 미만의 환자 36명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인 환자군에서 스테로이드 평균 투여량이 많았고 고밀도지단백이 유의하게 낮았다. 3.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이 더 낮았고, 3개월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다. 혈연골수이식 환자군은 비혈연골수이식 환자에 비해 투여된 스테로이드 용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았다.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군(하루 평균 7.5㎎기준)은 저용량군보다 이식 후 3개월 시점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으나 나머지 시점의 혈당, 혈중 지질농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골수이식 후 초기시기에 주로 당 대사 및 지질대사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면역억제제 투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억제제가 고용량 투여되는 합병증 발생 시 이들 대사이상에 관심을 기울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recipients are usually younger and immunosuppressants are open used in shorter period than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between BMT and solid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serial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following BMT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changes of blood glucose, lipids and the putativ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se changes after BMT. Methods: We have prospectively investig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Fasting plasma glucose(FP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measured before BMT, and at 1, 2, 3, 4, 12 weeks and 6 months after BMT. The serial changes of these metabolic parameters according to clinical factors including type of BMT, mean daily steroid dosage, and occurrence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were examined. Results: 1. Mean FPG level increased during 4 weeks after BMT and remained above basal value at post-transplant 6 months. Tota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and was above basal value at post-BMT of 3 and 6 months. Triglyceride level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2. Patients with FPG above 126 mg/dL and the other patients, the former received larger amounts of daily steroid and had lower HDL-cholesterol level. 3. The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BMT, steroid dose, and occurrence of GVHD.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increase of FPG, TC, TG and decrease of HDL-C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these metabolic changes recovered slowly thereafter. Immunosuppressant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Further observation will be needed for the long-term effect of BMT on metabolic changes(J Kor Diabetes Asso 24:689~698, 2000).

      • 신부전이 동반된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된 침습성 모균증 : 수술과 Liposomal amphotericin B 및 GM-CSF 병합 요법에 의한 성공적인 치험 1예

        이원영,오기원,임국희,장재혁,이동건,최정현,강무일,신완식,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4

        저자들은 신부전이 동반된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된 부비동형 모균증에 대하여 수술과 함께 liposomal amphotericin B 및 GM-CSF의 복합치료를 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ucormycosis (zygomycosis) primarily affects diabetic or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typically progresses rapidly, necessitating surgical excision and antifungal therapy with amphotericin B. Large doses of amphotericin B are needed for cure, but it has the risk of causing significant renal toxicity. The recent development of liposomal amphotericin B allows antifungal therapy to be administered with potentially improved efficacy and reduced nephrotoxicit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aranasal mucormycosis successfully treated with surgery, liposomal amphotericin B and GM-CSF. A 59-year-old male suffering from diabetes mellitus for 6 years was admitted with pain at left maxillary area. He was diagnosed as mucormycosis after cytologic exam on the necrotic nasal mucosa, which showed typical hyphae. He have had diabetic nephropathy with macroproteinuria and had rapidly rising serum creatinine levels with the amphotericin B treatment: creatinine levels reverted to basal level with the use of liposomal amphotericin B. Despite surgical excision and continued antifungal therapy, his infection was not effectively controlled. Therefore, GM-CSF was administered additionally to improve phagocytic activity of leukocytes. He was finally cured after receiving a combination of aggressive surgery, liposomal amphotericin B and GM-CSF.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detailed clinical description of the treatment of mucormycosis with liposomal amphotericin B in Korea.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