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보호자의 지도 방법에 따른 유아의 스마트폰과 미디어 이용 실태 연구

        임규성,고재욱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children aged 3-6 among the data from the 2020 Children's Media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during the 2020 COVID-19 peri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devices that children used the most during the week, smartphone showed higher in daycare, tablet and computer were higher in kindergarten. Also, in terms of whether or not both parents live together, smart phones showed higher rates of living with both parents, and tablets and computers were higher in the adoptive parents living group. Second, the smartphone usage period was found to be under 18-24 months, under 24-36 months, and under 12-18 months in daycare, but in kindergarten, under 24-36 months, under 3-4, and -45 years old.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n average, those under 24-36 months accounted for 17.9%, followed by 18-24 months and younger than 3-4 years of 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rvices watched on smartphones for a week, the response that they used it in kindergarten was higher than in daycare. The viewing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living with non-adoptive parents than in the group in which both parents lived togeth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age of smartphones for a week, video usage was the most at 62.1%, followed by topics of interest/interesting, game usage, and photo shooting/editing. Kindergarten and foster parent cohabitation groups had higher viewing rat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sons for using a smartphone, the most common reason was not to be disturbed by the child (24.3%), followed by stress/diversion, compensation, the child was drowsy, and the acquisition of new information. Fourth,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parents in the use of media by infant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both parents living together gave more guidance on media usage check than the group living with both par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to which infants follow media use guidance/restriction, it was found that infants followed media use guidance/restriction better in kindergarten than in daycare center. And it was found that the group living with both parents followed the media use guidance/restriction better than the group living without both parents. We propose to develop guidelines for sound media educators in early childhood by reviewing the guides for teachers in childcare and education fields suitable for children's eye level and guides for home guardians. The ‘digital parenting’ culture requires government policy support and publicity and enlightenment because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has low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lay.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 보호자 지도에 대한 차이를 유치원과 어린이집, 가족 보호책임 관계 간의 차이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2020년 코로나-19 기간 동안 실시한 2020년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로 데이터 중 3-6세 유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1]. 연구결과 첫째, 유아가 일주일 동안 가장 많이 이용한 기기에서 스마트폰은 어린이집이 더 높았으며, 태블릿과 컴퓨터는 유치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부모 동거 여부에서는 스마트폰은 양부모 외 동거가 더 높았으며, 태블릿과 컴퓨터는 양부모 동거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을 처음 이용한 시기는 어린이집에서는 18-24개월 미만, 24-36개월 미만, 12-18개월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치원에서는 24-36개월 미만, 3-4살 미만, 4-5살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24-36개월 미만이 17.9%로 가장 많았으며, 18-24개월 미만, 3-4살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주일 동안 스마트폰으로 시청한 서비스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에서 이용했다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양부모가 동거하는 집단보다 양부모 외 동거 집단에서 시청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주일 동안 스마트폰 사용 용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동영상 이용이 62.1%로 가장 많았으며, 관심/흥미 있는 주제, 게임 이용, 사진 촬영/편집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양부모 동거 집단이 시청이 더 높았다. 스마트폰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아이 방해 안 받으려고 가 24.3%로 가장 많았으며, 스트레스/기분전환, 보상, 아이가 졸라서, 새로운 정보 습득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보호자의 차이 검증 결과. 양부모가 동거하는 집단이 양부모 외 동거하는 집단보다 미디어 이용 체크하기에 대한 지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미디어 이용 지도/제한을 따르는 정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에서 유아가 미디어 이용 지도/제한을 더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부모와 동거하는 집단이 양부모 외 동거집단보다 미디어 이용 지도/제한을 더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들 눈높이에 적합한 보육, 교육현장 교사용 지도서와 가정용 보호자 지도서를 재검토하여 유아기의 건전한 미디어 교육자 가이드라인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아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위한 부모-자녀 교육이 조기에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보호자 교육용 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 내 보급과 보호자의 교육이 필요하고 ‘디지털 육아’ 문화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홍보·계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응급실환자에 대한 임상적 분석과 제언

        김기경,임규성 대한응급의학회 1990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 No.1

        We have reviewed the whole matters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1989 in order to look for a more appropriate management of the system.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apid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had been performed relatively without delay. But we think that some medical and non-medical essential problems should be resolved for a better care of the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They are as follows : 1. The emergency room should be an independent system treating only emergency patients in a rapid and efficient way. 2. A laboratory, a radiology room, a cash register desk, etc should be installed in the emergency room. 3. Doctors, nurse and other staff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tients. 4. A day hospit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patients that require simple but time consuming treatments. 5. We think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hospital is to treat the patients in the most efficient way if possible, thus recovering the patient's trust in the do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