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益山 遷都 物證 ‘首府’ 銘瓦에 대한 反論 檢證

        李道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익산 천도론의 핵심 물적 증거가 부여와 익산 왕궁 유적에서만 출토된 ‘首府’ 銘瓦이다. 여기서 ‘首府’는 首都의 뜻으로 해석해 왔다. 그런데 최근 ‘首府’ 銘瓦의 ‘首府’는 1697년에 간행된 중국 地方志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그 의미는 ‘속국 및 식 민지 최고 정부기구 소재지’이므로 首都와는 무관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반면 사비성에 설치된 唐나라의 軍政 機構인 熊津都督府와 관련 지을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논리에 따른다면 백제 익산 천도설의 유력한 물증의 하나인 ‘首府’ 銘瓦는 의미를 급속히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따르기 어렵다. 첫째, 당시로부터 무려 1천년 후의 용례를 소급해서 적용할 수 있는가 이다. 둘째, ‘首府’는 한국측 문헌에서는 그 용례가 1469년에 이미 보이고 있다. 그것도 무려 228년 전에 이미 중국보다 조선에서 먼저 사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중국의 용례를 한국 관련 자료에 일방적으로 적용하기는 어 렵다. 셋째, ‘首府’는 당시 조선에서 가장 그 이른 용례로서는 ‘한 道의 首府’ 즉 監營 정도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 이렇듯 중국보다 일찍 확인된 한국에서의 ‘首府’는 중국에서의 용례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부소산성에서 출토된 ‘首府’ 銘瓦를 ‘大唐’ 銘瓦와 엮어서 唐製로 간주했다. 그러나 ‘首府’ 銘瓦는 ‘大 唐’ 銘瓦와는 달리 백제 유물과 함께 출토되었다. 더욱이 익산 왕궁평성에서 출토된 ‘首府’ 銘瓦 역시 백제 전형 의 圓形 印刻瓦와 함께 출토되고 있다. 왕궁평성에서 唐製 유물이 단 한 점도 출토된 바 없다. The core material evidence that the capital city was moved to Ik-San is a roof tile. The letters “首府” were carved on the tile, and it was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the Buyeo and Ik-San kingdom. The letters have been interpreted as meaning “首都”, capital city. Recently, scholars regarded the first use of “首府” to have been in a booklet on rural China, and its meaning was “subject country as well as a top government organization of colonies.” It was unrelated to the capital city, “首府”. However, it seemed to have some relation to Ungjin-Dodokbu, the military instrument of the Tang, which was located in Sabi Castle. Following this logic, the “首府” roof tile, an influential piece of material evidence, rapidly starts to lose its meaning. However, this claim has several flaws. First, how could this example, at that time a thousand years old, be retroactively applied? Second, there i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word “首” in 1469 Korean literature. The Chosun used it 228 years ago, earlier than China. Therefore, it is hard to unilaterally apply the example of China to the Korean case. Third, “首府” once meant a provincial office or a capital of a province in the earliest recorded data. Similarly, the earlier example of Korea does not correspond with that of later China. Nevertheless, one argued for linking the “首府” roof tile from Bu-So Sanseong with that of “大唐”, considering “首府” to be a Tang production. However, the “首府”roof tile was excavated with Baekje artifacts. Further, the “首府” roof tile from Ik-San Wangkungpyeong was excavated along with other roof tiles into which Baekje’s typical circle marks are carved. No Tang artifacts have been unearthed in Wangkungpyeong Castle. Finally, the theory that the “首府”roof tile was made by the Tang lacks feasibility. This means that the attempt to deny Ik-San as the capital has failed.

      • KCI등재

        將軍塚과 周邊 高句麗 王陵 比定 問題

        이도학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58 No.-

        고구려인들이 남겨준 문화유산 중 가장 의미 있는 유산의 하나가 광개토왕릉비이다. 광개토왕릉비는 주지하듯이 1775字로써 건국 과정과 광개토왕의 훈적, 그리고 수묘인에 관해 낱낱이 기재하였다. 그러한 광개토왕릉비는 광개토왕릉과 연계된 비석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그런데 본고 작성의 직접적인 계기는 태왕릉을 에워싸고 있는 陵墻의 존재를 확인하면서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태왕릉 주변 '土壘'의 존재가 도면에 적시되어 있었지만 看過하였었다. 물론 광개토왕릉비와 태왕릉은 비록 350m밖에 안 떨어져 있다. 그렇지만 어디까지나 태왕릉 담장 바깥에 능비가 소재했다는 사실이 지적되었다. 그런데 필자는 담장을 가리키는 '土壘'의 존재를 구체적으로 기록한 논문을 입수하였다. 그럼에 따라 태왕릉의 '土壘' 즉 陵墻 바깥에 능비가 세워진 사실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 사실은 태왕릉과 능비가 서로 관련이 없음을 웅변하는 것이다. 나아가 그간 지루하게 전개된 광개토왕릉 논쟁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력한 근거로 삼을 수 있었다. 장군총은 광개토왕릉임을 확정 짓고자 하였다. 반면 광개토왕릉으로 한때 유력하게 지목되기도 했던 태왕릉은 '國罡上王'이었던 고국원왕의 陵으로 비정하는 게 합당하였다. 당초 왕족묘로 분류되었던 우산하 0540호분은 태왕릉 뒤편에 소재하였던 한변 20~25m되는 5基의 석총 가운데 한 곳이 분명하였다. 조밀하게 붙어 있었던 이들 고분군은 단독 墓域을 확보하고 있지도 않았다. 그런데다가 태왕릉에서 북쪽으로 불과 100여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우산하 0540호분은 태왕릉 북쪽 陵墻에 가장 근접하였다. 이러한 점에만 비추어 보더라도 우산하 0540호분은 왕릉으로 비정할 수 없다. 따라서 우산하 0540호분에 대한 왕릉 비정 논의는 의미를 잃게 되었다. One of the most meaningful cultural heritage which was passed down by Goguryeo people is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It consisted of 1775 letters, and it is about the process of founding a country, a brilliant achievement of him, and the people who did Sumyo in detail. There is not much more to say that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is related with the tomb of him. However, a direct chance to write this article was when I checked the wall of royal tomb surrounding the tomb. So far the existence of small sand wall around the tomb was remarked in the plan but passed over. Of course the tombstone and the tomb are only 350m away. But it was pointed that the tombstone was located outside of the wall of the tomb. And I came to get a research paper which recorded the existence of a small castle indicating the wall concretely. Thus, I could seize the fact that the tombstone was erected at the outside of the tomb. It means that the tombstone and the tomb have no relevance. Futhermore, this argument could be a powerful ground to put an end to dispute on the tomb of King Gwanggaeto. Janggunchong(將軍塚) tried to seal it as the tomb of King Gwanggaeto. On the other hand, the royal tomb which was strongly pointed out as of King Gwanggaeto was more proper to decide as it of King Gogukwon who was called Gukgangsangwang(國罡上王). It was certain that Usanha Tomb No. 0540, classified the royal family tomb initially, was one of five stone tombs, located at the back of the tomb, and each had 20~25m on a side. Located densely together, these tombs didn’t have each boundary. And Usanha Tomb No. 0540 was only 100m away northward from the royal tomb and closest to the north tomb. For these reasons, Usnaha Tomb No. 0540 cannot be a royal tomb. It became meaningless to discuss on deciding whether it is a royal tomb or not.

      • KCI등재

        廣開土王陵 守墓制 論議

        이도학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1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Kukyun(國烟)’ aud ‘Kanyun(看烟)’ from Sumyo system of the tomb of King Gwanggaeto still remains to be done. It is certain that yun(烟) of Kukyun(國烟) means that of capital(國都). Kukyun includes relative term and Kanyun has the same function as ‘Kyunho(見戶)’ of China. Kanyun indicates yun(烟) of province which means household. The matter is the role of Kanyun. Many interpretations about this has been questioned. Massive scale of Kanyun that ran into 300 households was not a real region of Sumyo. It is revealed that a target who did Sumyo to the tomb of Gwanggaeto was limited only to Kukyun 30 households. Through legal Kanyun 輪上(to come to protect tombs), Sumyo for the tomb of Gwanggaeto had symbolism that reached to the national territory and people, even subjugated people. 광개토왕릉 守墓制에서 비롯된 國烟과 看烟의 성격 구명이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여기서 國烟은 ‘國都의 烟’이 분명하다. 이와는 상대적인 의미를 포함한데다가 중국의 見戶와 동일하게 지목할 수 있는 존재가 看烟이었다. 看烟은 ‘지방의 烟’ 을 가리킨다고 정리된다. 문제는 看烟의 역할이 된다. 이에 대해서는 구구한 해석이 제기되어 왔다. 300家에 이르는 방대한 간연의 규모는 실제 수묘역은 아니라는것이다. 광개토왕릉에 수묘했던 대상은 국연 30家에 국한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다만 법제적인 看烟 輪上을 통해 광개토왕릉에 대한 守直은 全國土와 새로 복속된주민들에게도 미친다는 상징성을 지녔을 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巖寺의 정체성과 한성 도읍기 創建 가능성 탐색

        이도학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4 No.-

        Buddhism was introduced to Baekje during the flourishing of Hanseong as its capital city. This fact is stated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 Of course, according to Japanese literature, Buddhism was accepted into Baekje in the 6th century. Also, no evidence has been confirmed yet to prove the records of Baekje’s acceptance of Buddhism and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in the late fourth century. In this regard, a temple called Amsa, located on a cliff near the Han River in Amsa-dong, Gangdong-gu, Seoul revealed the remains of a temple at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but a clos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find out the date when the temple was first established. This is because artifacts linking the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Koguryo temple site in Pyongyang have been excavated. And if you look at the name of the temple Amsa, it is a combination signifying ‘Bawijeol(Rock Temple)’. Besides, Baekje relocated its capital to Sabi Castle during the period, which connects it to the temples called Cheonjeongdae, or Jeongsaam, and Hoamsa, which are located on the cliff along the Baekma River. As you can see in the name of the Hoamsa Temple and the Jeongsaam Temple, the names of the temples were also named after the temple. The name of the temple is also associated with a rock. The rock seemed to function as a place of vows. This might remind us of its function that the subjects could have gathered to meet when deciding on national matters. A temple might have been built in such a sacred place. Also, many of the names of temples have the letter "Am"(巖). The reason seems to be that it is a symbol of immutability and eternal truth. 백제는 한성이라는 도성에 도읍한 시기에 불교가 전래되었다. 이 사실은 삼국사기에 명시되었다. 물론 일본측 문헌에 따르면 백제에는 6세기대에 불교가 수용된 것으로 적혀 있다. 백제가 4세기 후반에 불교를 수용하고 佛刹을 건립한 기록을 입증할 수 있는 물증은 아직껏 확인된 바 없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 강동구 암사동의 한강 변 절벽에 소재한 巖寺의 경우는 통일신라 말기의 사찰 유구가 드러났지만 그 상한은 긴밀한 조사를 기다리고 있다. 이곳에서는 평양의 고구려 절터에서 출토된 기와와 연결되는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巖寺라는寺名을 보면 ‘바위+절’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비성 도읍기에 백마강변절벽에 소재한 天政臺 즉 政事巖과 虎巖寺라는 사찰과 연결되어진다. 사찰 이름인 호암사의 ‘巖’에서 보듯이 역시 政事巖의 ‘巖’을 취하여 寺名으로 삼았다. 巖寺의 경우도 바위와 엮어져 寺名이 비롯되었다고 본다. 그 바위는 서약의 장소로서 기능했던 것 같다. 혹은 국가적인 중대사를 결정할 때 衆臣들이 모여 회합했던 기능을 상기시킨다. 바로 그러한 신성한 장소에 사찰이 창건된 것이다. 寺名 가운데 바위 ‘巖’字가 들어간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불변함과 영원한 진리에 대한 상징을 지녔기 때문으로 보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