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리머 격벽에 의해 화소고립된 구조의 이중주파수 쌍안정 네마틱 액정셀의 전기광학 특성

        이성룡,이중하,신재훈,송동한,윤태훈,김재창,Lee, Seong-Ryong,Lee, Joong-Ha,Shin, Jae-Hoon,Song, Dong-Han,Yoon, Tae-Hoon,Kim, Jae-Chang 한국광학회 2008 한국광학회지 Vol.19 No.3

        본 논문에서는 왼손(left-handed)과 오른손(right-handed) 방향으로 각각 $180^{\circ}$ 트위스트(${\pi}$-twist)된 액정상을 두 개의 안정상태로 가지는 쌍안정(bistable)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안한다. 제안된 소자는 액정과 자외선경화 폴리머 물질의 혼합물의 비등방성 상분리 방법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화소고립된(pixel-isolation) 구조를 가지며, 인가전압의 주파수에 따라 유전율 이방성의 부호가 바뀌는 이중주파수(dual-frequency) 특성의 네마틱(Nematic) 액정을 사용한다. 두 안정된 액정상 사이의 스위칭은 인가전압의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주파수 변화에 따른 액정의 유체 효과에 의해 발생하므로 응답특성이 매우 빠르다. 두 액정상은 카이랄 도펀트(chiral dopant)가 아니라 격벽이 가지는 앵커링(anchoring)의 영향으로 안정화됐기 때문에 거의 동일한 탄성에너지(elastic free energy)를 가지게 되어 우수한 메모리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위상지연필름을 이용한 투과형 광학보상을 통해 높은 정면 명암비(contrast ratio)를 가질 수 있다. We propose a novel bistable nematic liquid crystal cell, which has a dual-frequency liquid crystal material and pixel-isolating polymer wall formed by an anisotropic phase separation of a mixture of liquid crystals and UV-curable pre-polymers. The proposed cell has two stable states of left- and right-handed ${\pi}$-twist. The switching between the two states is achieved by using a sequential waveform of low and high frequencies. A transmissive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is designed, which achieves high contrast ratio by using the proposed cell and optical films.

      • 황해경제자유구역 기업지원센터 건립방안

        이성룡,이상훈,이지은,유치선,정윤경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황해경제자유구역은 전국에 8개소가 지정되어 조성중인 경제자유구역 중 하나로, 초기 충청도와 함께 지정되었으나, 사업규모 조정에 따라 일부 지구가 해제되면서 현재는 경기도에 산업용지 중심의 평택BIX와 관광⋅유통⋅상업 중심의 현덕지구만으로 추진되고 있다. 황해경제자유구역이 위치한 평택시는 주변 화성시⋅안성시 등과 함께 서해안권역 산업기반의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황해경제자유구역과 접하고 있는 평택항은 국가물류 이동의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어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황해경제자유구역은 지정규모 자체는 적으나 수도권에 위치한 입지적 장점을 보유하여, 인접하여 개발 중인 산업단지, 항만, 자유무역지역 등과 함께 서해안권 산업집적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주변지역의 개발사업과 관리를 담당하는 대부분의 기관이 부지조성 사업이나 물리적 시설관리에만 관여할 뿐 기업입주 및 사후관리를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가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차별화된 투자유치 및 기업지원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대에 대응할 황해 경제자유구역 기업지원센터의 필요성과 건립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업지원센터의 조성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경제자유구역 내 입주기업의 적극적 유치를 도모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경기도, 충청남도 등 서해안권역의 산업시설, 항만, 물류기능 등의 통합 관리기구로서 역할을 강화할 수 있다. 기업지원센터에는 황해경제자유구역 및 주변지역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직접기능기관으로서 황해경제 자유구역청, 기업유치와 활동을 지원하여 기업과 지원기관 간 거버넌스를 구축할 수 있는 유관기능, 입주기업 및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서비스를 제공할 지원⋅서비스 기능을 도입하도록 한다. 기업지원센터의 건립은 재무적으로는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기업지원센터의 건립을 통해 발생하는 사회적 편익을 고려할 때 충분한 필요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공공적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지원센터의 건립은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며, 경제자유구역 및 주변지역 사업추진 일정 및 기업입주, 운영시점 등을 고려하여 필요시설을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황해경제자유구역이 위치한 경기도 서해안권역은 경기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산업집적지역으로, 각종 산업시설이 조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개발사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기관, 유관기관, 지원기관 등 다양한 기관과 시설이 입주하고 있으나 지역적 차원의 관리와 장기 발전 구상을 계획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기도는 황해경제자유구역 뿐만 아니라 서해안권 일원의 산업기반 성장을 위한 관심을 확대하고 적극적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황해경제자유구역과 경기도 서해안권역이 경기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산업집적지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주변의 산업단지, 자유무역지역 등에 입주하는 기업들에까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황해경제자유구역청의 역할이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황해경제자유구역 내 기업유치와 투자 활성화 촉진을 위해서는 평택항 일원의 활성화가 필수적이므로, 근로자들의 근무환경 개선, 입주기업의 애로사항 해소 등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 노력이 요구된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lan the Business Center for the Yellow Sea Free Economic Zone(YESFEZ) located in Gyeonggi-Do.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jointly planned the YESFEZ project as one of those nationwide eight Free Economic Zones, but its zone has been decreased into two industrial complexes, which are Pyeontaegk BIX and Hyeondeok District at the city of Pyeongtaek in Gyeonggi-Do. Though these two complexes are relatively smaller than others, they are specialized in tourism, logistics, and international Businesses. Moreover, Pyeongtaek City, where the YESFEZ is located, is growing as the industrial hub in the West Coast region with the nearby Hwaseong and Anseong City. Port Pyeongtaek as the gate of the YESFEZ handles major cargos of the central Korea and its cargo transportation is expected rapid growth in the future. The location of YESFEZ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good condition with industrial complexes, ports, and free trade zones. However, the major responsibility of the YESFEZ focused on the site development and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ies in surrounding areas. YESFEZ needs more specialized services i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has to concern in professional support for the companies. Establishment of YESFEZ Business Center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differentiated investment attraction and business supporting services. YESFEZ Business Center will actively attract companies to YESFEZ in short term, and its role will be strengthened as an integrated management organization for industrial facilities, ports and logistics functions in the West Coast region in the long run. The center will provide home for the YESFEZ Authority and the surroundings, and also for the supporting functions to support businesses and activities, and for the service functions for businesses and local residents. Establishment of the Business Center will be financed by the local government since it performs public functions, and it will be effective to be initiated in phase, considering the developing status of the Free Economic Zone, occupancy level, and other conditions. The West Coast region in Gyeonggi-Do, where the YESFEZ is located, is not only the industrial cluster of Gyeonggi-Do, but also a nationwide cluster, where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There are many institutions for supporting industries and companies, but planning the regional management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are not their responsibilities. Therefore, Gyeonggi-do has to concern about industry-based growth not only in the YESFEZ but also in the West Coast region. Finally, YESFEZ Business Center needs to extend its role to support neighboring industrial complexes and companies in the Free Economic Zone, and also to promote sustainable growth of West Coast region. Also, the center should effort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and to support the local business, as a means of reviving the economy around Port Pyeongtaek, which is crucial in stimulating local business and investment in YESFEZ.

      • 지역맞춤형 도시관리를 위한 경기도 지역제 운용방안

        이성룡,이외희,이지은,원동혁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Zoning effectiveness as a existing and major tool for urban management revalued with the coming slow-growth period. Because of the slowing down of large scale development and the increasing concern on urban regeneration, the nature and role of zoning is seeking to explore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While diversification with use district in zoning category progresses smoothly based on the examination of legal system, the actual system allows disproportionately high-density use district. Actual application conditions based on the current data during the last decade indicate the increment of use district designation area with high-density land us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zoning application in Gyeonggi province, 275㎢ non-urban area has been converted into urban area from 2004 to 2014, and the urban area including undesignated urban zoning increased as much as 336㎢. Despite of mixed conditions of urban and non-urban area with very diversified characteristics, 60% of residential area has been designated as Type Ⅱ, Ⅲ Residential District. Maximum 46% of residential area designated for Type Ⅲ Residential District in major 10 cities with high ratio of Type Ⅲ Residential District, resulting in high-density oriented development. Also agricultural and natural conservation area have been greatly decreased, causing independently-located factories and warehouses in non-urban area. Existing zoning system should reform into the locally tailored system to solve the current facing problems. New improvement has to be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built-up area, non built-up area, urban and non-urban area, and also consider the urban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city). For built-up area, zoning need to be subdivided into more types and diversified to control closely the bulk and shape. The quantitative and concrete location standards or criteria need for specific land uses in non built-up area.

      • KCI등재

        ZVT 스위칭 기법을 적용한 PFC-인버터

        이성룡,전칠환,권순신 전력전자학회 2000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5 No.6

        최근 들어 인버터 에어컨과 같은 유도전동기 구동 분야에서 인버터에 역달제어회로를 부가한 PFC 인버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PFC 인버터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ZVT 스위칭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 이ㅡㄹㄹ 동작 모드에 따른 해석과 함께 최적의 회로를 설계하였으며, 제안된 회로를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A soft-switching PFC-Inverter for using AC motor drive such as the inverter air-conditioner with single phase medium size i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power factor and the efficiency, in this paper, the ZVT topoloty in the conventional PFC-Inverter is adopted. So, the operation mode of the proposed ZVT PFC-Inverter is analyzed and the optimum circuit is designed. At last, the PSPICE, PSIM simulation and experiment results are presente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ircuit.

      • 영국의 도시계획제도 및 개발규제에 관한 연구

        이성룡 경기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2007 No.12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계획허가제(Planning Permission)로 대표되는 영국 도시계획제도 운영 체계와 구조, 실현수단 등의 검토를 통해 영국 도시계획제도의 시사점을 파악하여 보다 유연성 있는 수단으로서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제도에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도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도 전반에 걸친 영국 도시계획의 특징 - 법체계의 구성 및 변화과정, 계획의 실현을 위해 운영되는 중앙정부ㆍ지방정부 등의 행정조직 및 주요 기관의 역할, 계획체계의 구성과 운영방식 등 - 과 운영사례검토 등을 검토하였다. 연구요약 영국에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도시 및 지역계획방침인 PPG(Planning Policy Guidance)와 RPG(Regional Planning Guidance)가 도시계획의 기본이 되고 있으며, 지방정부에서는 이에 기초하여 개발계획(Development Plan)을 수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정부는 도시계획의 기본방침만 제공하고, 구체적인 실현은 지방자치 단체가 수립하는 개발계획에 의하기 때문에 지방자치체에 의한 도시계획이라고 규정 할 수 있다. 영국의 도시계획은 개발계획(Development Plan)에 근거한 개발규제(Development Control)가 중심이 되며, 1909년 주택 도시계획법(The Housing, Town Planning에서 계획요강(Planning Scheme)을 통해 최초로 법제화되었다. 현재는 1947년 도시 농촌계획법(Town and Country Planning Act)에 의해 도입된 개발계획(Development Plan)에서 장래 토지이용의 바람직한 방향과 개발 및 규제시 고려해야 할 기준을 제시하고, 이의 구체적인 실현수단으로서 개발규제(Development Control)가 운영되고 있다. 개발계획은 도면 중심의 물적 계획으로부터 사회ㆍ경제적 상황을 반영하는 정책방침으로서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영국의 계획체계는 국토-지역-지방 등 계획이 미치는 공간적 범위에 따라 계층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하위계획은 상위계획에서 제시한 계획방침과 방향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지방계획 등 하위계획은 계획수립의 과정에서 지역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고 지역사회와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며, 환경ㆍ경제ㆍ사회적측면 등에서 지속가능성을 평가받도록 하여 계획과 집행의 합리성을 유도하고 있다. 영국 도시계획체계에서 개발규제는 기본계획적 성격을 갖는 개발계획의 집행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계획허가제를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다. 개발규제의 원칙은 사전에 개발허가를 받도록 하여 개발에 따른 토지의 가치 증가를 공공이 관리 하고자 하는 것으로, 모든 개발에 있어서 개발자는 사전에 계획안의 허가신청을 지방계획청에 제출하여 계획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계획의 허가는 개발자와 공무원, 관련된 이해당사자들 간의 충분한 협의를 거쳐 이루어지게 된다. 결론 및 정책건의 영국 도시계획제도의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 및 정책건의를 도출하였다. 합리적 기준과 체계적 관리 영국의 도시계획제도에는 토지소유와 이용에 대해 공공의 개입과 적극적 규제를 통해 도시와 농촌의 개발과 보전을 추진하고자 하는 의도가 기저에 깔려 있으며, 이는 시대에 따라 정치적ㆍ사회적 여건이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개발규제 시스템의 원칙으로서 계속 유지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이 오랜 시간 동안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지속되어 온 영국의 개발규제 시스템은 계획과 지침의 상세한 규정과 계획허가제도의 엄격한 시행으로 도시계획의 기본원칙을 고수함으로써 장래 토지이용에 대한 안정적인 예측과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우수한 도시계획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기본계획과 지역제의 연계 강화 영국 도시계획제도에서 개발계획과 계획허가제의 기능과 역할분담은 우리나라의 도시기본계획과 지역제의 역할분담을 통한 합리적인 토지이용관리체계를 확립하는 바람직한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주제별ㆍ지역별 계획방침의 도입 개발계획과 계획허가라는 단순한 구조체계에서 주제별ㆍ지역별 정부의 계획방침, 계획설명서과 디자인지침 등 명확한 특징을 갖는 비법정계획과 지침의 보완을 통해 개발허가에서 도시경관, 건축디자인 컨트롤 차원까지 구체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점은 우리나라에서 적용가능한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계획허가제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도입 영국 계획허가제의 성공적 운영은 영국의 사회ㆍ문화적 특성 등에 대한 고려와 함께, 중앙과 지방의 관계, 행정조직, 계획체계 등이 모두 뒷받침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국 도시계획제도의 도입을 모색하는 경우 영국 도시계획시스템 전반에 대해 폭 넓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계획허가제의 도입을 고려할 경우 영국의 계획허가제는 노력과 시간 측면에서 많은 사회적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 그 제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 시스템도 함께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도의 도입과 운용에 따른 고비용의 구조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이 사전에 검토될 필요가 있다.

      • 경기도 노후산업단지 재생활성화 방안

        이성룡,이지은,유치선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최근 급속화되고 있는 산업의 첨단화, IT⋅융복합 산업의 발달 등으로 인해 제조업 생산시설 중심인 종전 산업단지의 위상과 역할 · 기능은 축소되고, 노후된 공장지대라는 인식 등 산업단지의 경쟁력은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경기도는 1970년대 지정된 반월 · 시화 국가산업단지를 시작으로 산업단지의 지정과 조성이 집중되어 왔으며, 2016년 기준으로 전국 산업단지 관리면적의 약 10%, 산업단지 종사인력의 약 24%가 분포하는 최대규모의 산업집적지로 성장하였다. 산업구조의 변화에도 여전히 제조업이 경제활동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으며, 국가경쟁력 확보에서 경기도가 차지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경기도 내 노후산업단지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경기도 내 착공된 지 20년 이상 경과한 노후 일반산업단지는 2016년 12월 기준으로 총 30개소이다. 노후산업단지의 규모는 6만㎡ 미만인 단지가 13개소, 지원시설용지가 확보된 단지는 18개소로, 타 지역에 비해 지가가 높아 부대시설을 조성하지 않고 최소규모의 산업용지만 확보하여 산업단지를 조성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를 통해 노후산업단지의 여건을 파악해 본 결과, 개발당시 지가가 저렴한 외곽지역에 조성되어 교통여건이 열악한 단지에서는 주차문제가 매우 심각하며, 환경기초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소음⋅악취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필요한 최소규모로 조성되면서 지원시설용지, 공공용지 등이 부족하고, 산업단지 조성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서 주변에 개별입지공장이 입지하거나 타 용도로 개발되어 주변지역의 관리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은 「산업입지 및 개발에 의한 법률」에 의하여 토지이용계획 변경, 기반시설 개선에 중점을 둔 산업단지 재생사업과,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단위사업 확충에 중심을 둔 구조고도화사업, 두 사업을 통합한 경쟁력강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법들 간 노후산업단지 지정기준과 지정권에 대한 기준이 상이하여, 지자체 차원에서는 특히 규모가 큰 국가산업단지의 정비에 참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경기도 노후산업단지의 재생활성화를 위해서는 도시계획과의 연계, 산업단지복합화, 사업방식 다양화, 민간주도의 사업구조 확립 등을 기본방향으로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각각의 노후산업단지가 가진 여건과 특성을 고려하여 재생활성화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노후산업단지가 시가화지역에 속한 경우에는 이전 또는 정비가 필요한 주변지역을 포함하는 재생계획을 수립하고, 단지 규모에 따라서는 전면개발과 거점시설 조성, 순환개발 등의 방식을 적용한다. 단지 내 거점시설 등을 조성할 대상지가 없거나 대기업이 입주한 경우에는 자체정비를 유도할 수 있다. 산업단지 주변에 개별입지 공장이 입지한 경우는 이를 포함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산업단지관리공단 등 별도의 관리주체가 있는 경우에는 실태파악과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등 협조방안을 구체화한다. 많은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경기도에서는 공공이 모든 노후산업단지를 관리하고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산업단지의 노후도 및 정비 필요성 등에 따라 재생사업의 단계적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도시재생사업과의 연계, 관련법률을 통한 지원, 펀드유치 등 재원조달을 위한 다각적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경기도 내 노후산업단지 재생을 주도할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의 참여를 도모할 중간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관리권이 없으나 경기도 산업단지 규모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노후산업단지 실태에 대한 세부자료를 구축하며, 소규모 산업단지 조성은 지양함으로써 종사자들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 시간이 경과한 후 노후산업단지에 대한 정비가 가능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rapid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conventional industrial complexes have become incompetent and lost their influence in national economy recently. As of 2016, Gyeonggi-Do became the biggest industrial agglomeration in Korea, where 10% of total industrial complexes management area and 24% of industrial complex employers of industrial complexes are concentrated. Manufacturing business still takes a great part in Gyeonggi-Do’s economy and has strong influence on nation’s competitiveness, even with the drastic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Thus, a systematic management is in urgent need for the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As of December 2016, there are total 30 deteriorated Ordinary industrial complexes over 20 years old that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Promotion and Support for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 and Manufacturing Area in Gyeonggi-Do Ordinance」. Due to the comparatively higher land price, the complexes tend to have minimum use of lands other than industrial. Through the field study, several problems are revealed. The complexes in the outskirts lack accessibility, parking spaces, and environmental structures. In attempt to maximize the land for industrial facilities, some complexes lack land for supporting facilities and public use. In case of some complexes, detached factories have moved in the surroundings and unplanned land use occurred as time elapsed. Regeneration Projects of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modification of land use plan and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that is based on 「Industrial Sites and Development Act」, and industrial structure sophistication that is based on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However, since the definition varies, the term ‘deteriorated’ should be prescribed first. Diverse development methods such as extensive development, construction of core facility, or circulation development, shall be applied to promote regeneration. Regeneration planning for the complexes isolated in the built-up area need to include the surrounding areas. For the Small complexes without vacant lots or open spaces gradual improvement or self-maintenance can be adopted. Regeneration Planning of the complexes surrounded scattering factories may include a improvement plan for those factories as well. When there is a managing entity, cooperation plan for management and monitoring shall be founded.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establishment of phase plan for regeneration, associa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 legal and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to take charge of the regeneration, and the liaiso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enant companies to take part in should be established. Henceforth, Gyeonggi-Do government should concern regeneration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that take great part of the industrial complexes in Gyeonggi-Do, and should put an effort to actively initiate regeneration projects for the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The detailed database of the complexes should be constructed, and development of small scale industrial complexes should be avoided in order to improve condition of the complexes.

      • 신도시 자족기능용지 관리방안

        이성룡,이외희,원동혁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Self-Sufficiency Sites’ were introduced in 1995 to create jobs and stimulate economic activity. Although the Self-Sufficiency Sites were implemented across 56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in Gyeonggi Province covering 8km2, their usage rate still remains very poor. It is crucial that these Sites are managed systematically if they aim to complement the metropolitan population by creating job opportunities and establishing workplaces close in proximity with residential areas. A concrete plan much like the ‘Pangyo Techno-valley’ is necessary to the success of Self-Sufficiency Sites. Furthermore, mitigation factors that hinder the use of these Sites must be managed with considerations to newtown or surrounding areas. We must clearly define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elf-Sufficiency Site. Establishing a consultative group consisting of regional officials and project operators to discuss the effective use of the Self-Sufficiency Sites in light of their local conditions is recommended. Also, the location and management of how industrial facilities are used are the key factors to promote industrial complexes and Self-Sufficiency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