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문화경관 연구 - 충청남도 천안을 사례로 -

        이행,Lee, Hang-Lyoul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cenic Spots by utilizing the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and "Joseonhwanyeoseungnam(朝鮮?與勝覽)" to interpret "Joseonmyeongseungsiseon(朝鮮名勝詩選, 1915)".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ontext when "Joseonmyeongseungsiseon" was published, it documented the Japanese's memories of 'Sino-Japanese War(淸日戰爭)' in 1894, which implies the 'policy of assimil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1910).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uthor 'Narushima Sagimura(成島鷺村)' can be found in preface. In the "Joseonmyeongseungsiseon", it dedicates most of the part in describing the Scenic Spot especially in 'Anseong Do (15 lines)', where has the memories of war such as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number of Scenic Spots, commonly mentioned in both "Sinjeungdonggukyeoji seungram" and "Joseonhwanyeoseungnam" in Cheonan province are 13 in total. Most of the content contains a similar structure. But 'Honggyeongwon(弘慶院)' and 'Seonghwanyeok(成歡驛)' has both the common Joseon Dynasty landscape point of view, and the additional historical context which are about the 'Jeongyujaeran(丁酉再亂)' or 'First Sino-Japanese War' consequently enlightens the 'placeness' of the Scenic Spots. Among the newly described Scenic Spots, 'Anseongdo(安城渡)' is the part that focuses on the memory of the 'Anseongcheon Battle' that gave Japan its first defeat in the Sino-Japanese War. Especially, by introducing the poetry of 'Sinobu Shunpei' it maximizes the appreciation through emphasizing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placeness and the poem itself. While the Joseon Dynasty poems are 10 pieces in total and their title and the subject matters are all related to historical spots, and the appreciation also maximizes when fully interpreted with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However, it's contextual meanings are neglected by dividing the actual structures into separate pages. When looking at the location of famous historic sites, they come in many different types, considering the location, meaning, size, and conditions surrounding them. It appears as a service space for travelers, a place for sightseeing, relaxation or return, a temple space for paying respects or memorial services, a fortress facility for defense and protection, or a fishing area for wages, and an old battlefield.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area is diverse as the cultural landscape of Cheonan, given that the battle space between the hermitage and the Donghangnongmin(東學農民) is shared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local cultural assets based on these points in the future.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1915)"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조선환여승람(朝鮮?與勝覽)"을 이용하여 충청남도 천안편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명승시선"이 발간된 시대적 상황을 검토해 본 결과 1894년에 발발한 '청일전쟁(淸日戰爭)'에 대한 기억이 기록된 내용으로 발간되었으며, 한일강제합방(1910) 이후의 조선총독부 '동화주의 교육'과 궤를 같이 하였다. 저자인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에 대하여는 서문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명승시선"에서 각 명승고적을 기술하는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곳은 '안성도(15줄)'로, 일본의 '청일전쟁'과 같은 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곳이었다. "여지승람"과 "환여승람"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명승고적은 천안의 경우 모두 13개소가 된다. 대부분 내용이 비슷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기술되었다. 다만 '홍경원'과 '성환역'은 기존의 명승고적이 가지고 있는 조선의 산수관에 대한 층 위에 '정유재란' 또는 '청일전쟁'이라고 하는 새로운 전쟁의 역사층을 덧씌워서 전혀 새로운 명승고적의 '장소성'으로 전환시켜 기술하였다는 점이다. 새롭게 기술된 명승고적 중 '안성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첫 패배를 안겨준 '안성천전투'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다. 특히 본문 중에 시노부 순페이의 시를 소개하여 장소성과 시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강조하여 시 감상의 묘미를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기술되었다. 반면 조선의 시는 모두 10편으로 제목과 소재가 대부분 역사적 장소와 연관되며, 내용 또한 그러한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때 시 감상의 묘미가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실제 구성은 전혀 페이지를 달리함으로써 그러한 맥락 관계가 무시되었다. 이러한 명승고적들이 가지는 장소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장소의 위치, 의미, 규모, 주변의 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여행자를 위한 서비스 공간, 조망과 휴식 또는 회고를 위한 공간, 예불 또는 추모를 위한 사찰공간, 방어와 보호를 위한 성곽시설, 또는 임금의 어가공간 그리고 옛날 전쟁터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공간으로는 은둔과 동학농민의 투쟁공간이 함께 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안이라는 지역의 문화경관으로서의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점을 토대로 하여 지역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제주도 정의향교의 유교문화경관에 대한 공간분석

        이행 ( Lee Haenglyou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4

        제주도 소재 정의향교는 전통적인 유교 예제건축으로 유교문화경관을 표상하는 사례가 된다. 조선 태종16년(1416)에 정의현 설치와 함께 성산읍 고성리에 처음 세워졌으나 헌종 15년(1849)에 성내 서쪽으로 이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유구한 역사를 가진 곳이다. 향교가 가지는 문화경관 자원의 특성을 공간구성과 유교의 공간예제 적용방식을 통하여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하여 정의향교가 가지고 있는 유교문화경관의 공간구조와 유교예제에 관한 특징을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즉 정의향교의 건립과 이건에 따른 변화과정, 고지도를 통한 입지적인 해석, 정의향교의 유교적 상징요소, 공간구성과 배치형태, 물리적 구조, 주요 건축물, 지형면에서의 입지특성, 축선의 변화, 그리고 대성전 전면공간의 위요감(D/H비) 등을 통하여 유교예제가 공간구조에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의향교는 제주도라는 단절된 섬 지역에서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유교적 교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건립되었으며, 성내 입지라는 한정된 공간 조건 가운데서도 수평적, 수직적으로 다양한 배치기법을 통하여 유교 특유의 공간예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되살려서 정의향교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교문화경관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Jeongeuihyanggyo(旌義鄕校) is a kind of traditional, Confucian cultural landscapes that i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s historical background illustrates that the first erection was started at Goseong-li of Seongsan-eup(城山邑 古城里) at Taejong(太宗) of 16 years(1417) and it moved to the west gate of Hyunseong(縣城) at Heojong(憲宗) of 15 years,(1849) Joseon. The aim at this study is to reveal characters of these Confucian Spatial Composition and Order, which are valuable resources that can be created into the cultural contents. The results demonstrate the characters of th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 as followings; the changing process of new building and its relocation, the utilization of antique maps in location interpretation of Jeongeuihyanggyo, Confucian symbolic elements of it, the spatial compositions and layouts of its buildings, physical structures, main buildings and their characters, locational points of topographic profile, changes of axial line at Daeseongjeon(大成殿), the D/H ratio of its courts. This study can show that Jeongeuihyanggyo is a case for realizing the Confucian reformation to enhance Seongeup Hyun’s education standard considering the locality of the site which is an isolated island like Jejudo(濟州島). The author can see that the example of Confucian space is applied to various layout technique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a limited space condition of being in the cast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ve this point so that it can utilize unique Confucian cultural landscape possessed only by Jeongeuihyanggyo.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문화경관 연구 - 충청남도 천안을 사례로 -

        이행 ( Lee Hang-lyou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2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1915)』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조선환여승람(朝鮮寰與勝覽)』을 이용하여 충청남도 천안편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명승시선』이 발간된 시대적 상황을 검토해 본 결과 1894년에 발발한 ‘청일전쟁(淸日戰爭)’에 대한 기억이 기록된 내용으로 발간되었으며, 한일강제합방(1910) 이후의 조선총독부 ‘동화주의 교육’과 궤를 같이 하였다. 저자인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에 대하여는 서문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명승시선』에서 각 명승고적을 기술하는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곳은 ‘안성도(15줄)’로, 일본의 ‘청일전쟁’과 같은 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곳이었다. 『여지승람』과 『환여승람』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명승고적은 천안의 경우 모두 13개소가 된다. 대부분 내용이 비슷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기술되었다. 다만 ‘홍경원’과 ‘성환역’은 기존의 명승고적이 가지고 있는 조선의 산수관에 대한 층 위에 ‘정유재란’ 또는 ‘청일전쟁’이라고 하는 새로운 전쟁의 역사층을 덧씌워서 전혀 새로운 명승고적의 ‘장소성’으로 전환시켜 기술하였다는 점이다. 새롭게 기술된 명승고적 중 ‘안성도’는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첫 패배를 안겨준 ‘안성천전투’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다. 특히 본문 중에 시노부 순페이의 시를 소개하여 장소성과 시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강조하여 시 감상의 묘미를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기술되었다. 반면 조선의 시는 모두 10편으로 제목과 소재가 대부분 역사적 장소와 연관되며, 내용 또한 그러한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때 시 감상의 묘미가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실제 구성은 전혀 페이지를 달리함으로써 그러한 맥락 관계가 무시되었다. 이러한 명승고적들이 가지는 장소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장소의 위치, 의미, 규모, 주변의 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여행자를 위한 서비스 공간, 조망과 휴식 또는 회고를 위한 공간, 예불 또는 추모를 위한 사찰공간, 방어와 보호를 위한 성곽시설, 또는 임금의 어가공간 그리고 옛날 전쟁터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공간으로는 은둔과 동학농민의 투쟁공간이 함께 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안이라는 지역의 문화경관으로서의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점을 토대로 하여 지역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cenic Spots by utilizing the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 地勝覽)』 and 『Joseonhwanyeoseungnam(朝鮮寰與勝覽)』 to interpret 『Joseonmyeongseungsiseon(朝鮮名勝詩選, 1915)』.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ontext when 『Joseonmyeongseungsiseon』 was published, it documented the Japanese’s memories of ‘Sino-Japanese War(淸日戰爭)’ in 1894, which implies the ‘policy of assimil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1910).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uthor ‘Narushima Sagimura(成島鷺村)’ can be found in preface. In the 『Joseonmyeongseungsiseon』, it dedicates most of the part in describing the Scenic Spot especially in ‘Anseong Do (15 lines)’, where has the memories of war such as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number of Scenic Spots, commonly mentioned in both 『Sinjeungdonggukyeoji seungram』 and 『Joseonhwanyeoseungnam』 in Cheonan province are 13 in total. Most of the content contains a similar structure. But ‘Honggyeongwon(弘慶院)’ and ‘Seonghwanyeok(成歡驛)’ has both the common Joseon Dynasty landscape point of view, and the additional historical context which are about the ‘Jeongyujaeran (丁酉再亂)’ or ‘First Sino-Japanese War’ consequently enlightens the ‘placeness’ of the Scenic Spots. Among the newly described Scenic Spots, ‘Anseongdo(安城渡)’ is the part that focuses on the memory of the ‘Anseongcheon Battle’ that gave Japan its first defeat in the Sino-Japanese War. Especially, by introducing the poetry of ‘Sinobu Shunpei’ it maximizes the appreciation through emphasizing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placeness and the poem itself. While the Joseon Dynasty poems are 10 pieces in total and their title and the subject matters are all related to historical spots, and the appreciation also maximizes when fully interpreted with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However, it’s contextual meanings are neglected by dividing the actual structures into separate pages. When looking at the location of famous historic sites, they come in many different types, considering the location, meaning, size, and conditions surrounding them. It appears as a service space for travelers, a place for sightseeing, relaxation or return, a temple space for paying respects or memorial services, a fortress facility for defense and protection, or a fishing area for wages, and an old battlefield.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area is diverse as the cultural landscape of Cheonan, given that the battle space between the hermitage and the Donghangnongmin(東學農民) is shared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local cultural assets based on these points in the future.

      • 역사경관 보존관리에 관한 연구

        金世泉,李幸烈,魯福潤,吳東炫 全北大學校 農村社會發展硏究所 1991 農村社會硏究 Vol.2 No.-

        When the historic landscape is ineterpreted as the parts of the cultural landscape, it is also recognized the wheels of the history and the footprints of the human developmen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refore it was said that the effects, which was posed to be the interdependent and form-giving media between the human and his environment, has been existed many times from the previous periods. But the results of their effects did not always proceed the proper direction in the contexts of "change-continuity"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concerns about th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landmarks and historic landscape would prove the damages of the historic landscape in the changing spatial contexts. In this study, we searched its value as the day-life environment in the contextual background between the historic landscape and the environmental design, and also proposed two kinds of solutions which were to he the preservative management mothods. These were the selective criteria and the prohibited range of the preservative management.

      • KCI우수등재

        화장장 이용자의 시설요구에 관한 연구

        민병욱,이행,이재근 한국조경학회 1999 韓國造景學會誌 Vol.27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improve the funeral and grave culture which has brought about many social problems, and to fix the crematory culture as the future funeral ceremony in our country. In this study, we first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cremation culture. Second, we survey three representative crematorium as an object of study and investigated similar sample buildings in Japan, we analyzed the problem of existing crematorium. Finally, we arranged the basics to approach the space program and design criteria of this project. 1. The entrance of vehicles has been commonly concentrated to the opening time of crematorium. therefore, Peak time has come out as circulation of cremation and waiting time is increasing, also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congestion normally. 2. The whole problem of crematorium is poor environment, inferior buildings, noise, unsatisfactory ventilation and privacy, insufficient convenience facilities. 3. The user demand on the crematorium facilities is a private family room for waiting area, a farewell room for family members in a direct line, an outdoor rest area, and the various service facilities, and so on. 4. For improvement of the funeral and grave culture, it is necessary that crematorium is not a hatred facilities, as the conversion of consciousness, and to new shape of charnel as it wore family tomb.

      • KCI등재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서울정원’ 디자인 기본계획

        김영준,이행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1

        본 서울정원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참여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 공모하여 당선된 기본계획으로 서울특별시를 대표하는 정원 설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만의 특성을 살리면서 아름답고 특색 있는 정원이며, 서울을 상징할 수 있는 친환경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서울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역동적 도시로 전통과 현대,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서울정원은 공존하는 도시 안에 정원을 만들기 위하여 4가지 공간을 계획하였다. 첫째, 옛 서울 공간은 전통정원 공간으로 서울의 옛 모습과 전통성을 계획하였다. 둘째, 근대서울의 풍경은 근대 도시로 변화한 서울의 풍경을 슬픔과 기쁨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옛 추억을 느낄 수 있는 낭만적인 공간을 계획하였다. 셋째, 역동적인 서울은 현재의 서울로 역동성과 다양성에서 생태자연과 도시문화의 공존을 현대적인 소재로 계획하였다. 넷째, 숨겨진 한강의 기적은 빠르게 변하는 도시 속에서 스스로 치유하고 회복하고 있는 생태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본 서울정원 계획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출품되어 전시되었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정원박람회 출품을 위해 현상공모 후 설계 및 조성공사를 시행한 첫 번째 작품이었다. 이후, 서울시에서는 2015년부터 서울정원박람회를 직접 개최하여 세계적인 정원디자이너 초청 및 디자인 우수작품을 전시하는 등 다양한 정원박람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순천만국 제정원박람회의 서울정원 출품을 통하여 서울시의 정원과 정원박람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기초가 되었다는 것에 대해 본 계획안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eoul-garden is a basic design that was opened to the public and selected by Seoul special city to participate in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It aims to suggest a garden design strategy for representing Seoul special city. The Seoul-garden focused on the identity of Seoul, reinforced the fact that Seoul is a beautiful and distinctive garden, and suggested an eco-friendly model that can symbolize Seoul. Seoul is a dynamic city where traditional times and modern times coexist and where tradition, modernity, nature and city are in harmony. Four spaces were designed to make a garden in the city that those things coexist. The four spaces are as followed: 1) Tradition Seoul, 2) Landscape of modern Seoul, 3) Dynamic Seoul, and 4) Miracle of the Hangang. First, Tradition Seoul was designed as a space for a traditional garden. It was intended to show old traces and tradition in Seoul. Second, Landscape of modern Seoul is a space where sadness and delight coexist tha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re-war city. It was intended as a romantic space for citizens to remember old memories. Third, Dynamic Seoul is contemporary Seoul and was designed with modern sources that ecological nature and urban culture coexist based on dynamics and diversities. Fourth, Miracle of the Hangang was designed as a sp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ecological nature that heals and recovers for itself in a fast changing city. This Seoul-garden design was exhibited at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Seoul special city carried 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after the competition for the garden fair for the first time. After that, Seoul has been hosting the Seoul Garden Show since 2015 and various garden fair programs have been performed such as inviting globally famous garden designers and exhibiting excellent design works. This proposal is important in that exhibiting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was the basis for the interest and effort on gardens and garden fairs in Seoul.

      • KCI등재

        중국 전통 사찰원림의 문화경관 특성 -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구획 및 원림의 가치를 중심으로 -

        신현실 ( Shin¸ Hyun-sil ),이행 ( Lee¸ Hang-lyoul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중국 서남지역의 서장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원의 공간구성과 원림의 형태에 관하여 그 가치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중원과 인도를 통해 유입된 불교가 서장의 민간신앙과 열악한 환경을 통해 융합되는 과정을 당대의 역사, 문화,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던 사원의 공간구획, 건물배치 및 원림을 통하여 장전불교와 장전불교사원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장전불교 사원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표적 장전불교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를 통해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과 원림에 대한 가치를 도출하였다. 첫째, 서장은 만년설과 녹지가 공존하는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서장의 대표적 장전불교 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사원은 토속신앙과 불교의 자타불이와 만다라에 근거하여 계곡과 산맥에 기대어 자연에 순응하는 형태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둘째, 대상지들은 크게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어 진다. 상부는 예불을 위한 건물들이 위치하고 하부는 수행을 위한 공간과 원림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은 크게 2가지 형태로 존재하였다. 셋째, 수행하는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보리수를 식재하여 석가모니와 같이 수행을 통해 이집의 분별에서 벗어나 배진합각의 진리의 세계로 벗어나자는 이상적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사원 주변 수림을 조영하여 명상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원림이 존재하였다. 수림들에는 상록 침엽수림이 주로 식재 되어 있다. This study studied the value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temple and the form of the garden located in the Seojang area in the southwestern regions of China. The value of the Lama temple was looked into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maism and Lama temple through the spatial organiz ation, building arrangement, and garden of temples that served as the center of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of the time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Buddhism introduced through China’s central districts and India with folk beliefs in Seojang through the poor environment. To this end, the value of the space and garden of the Lama temple was deriv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First, due to the unique environment in which ice caps and green areas coexist,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in Seojang,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form of leaning against valleys and mountain ranges based on folk beliefs and Buddhism's Jatabuli(自他不二) and mandala.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Second,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Buildings for worship are located in the upper space, and spaces for practice and garden are located in the lower space.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Third,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ractice space, the garden had an ideal structure to plant bo tree to escape from the two false obsession and go to a world of truth that is with the Buddha behind the world through practice like Sakyamuni, and there was a garden around the temple where meditation and exchange took place.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are mainly planted in the forests.

      • 釜山市 主要公園의 野鼠類의 生態에 관한 硏究

        南廷七,朴承範,權相洙,李幸烈 東亞大學校 1987 東亞論叢 Vol.24 No.1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three areas of the main park in pusan for four times from March to July, 1987, in order to protect forest injury of field mic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1. The species of field mice were Apodemus agrarius coreae,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e and Crocidura suaveolens shantungensis. 2. Total of 42 field mice collected were composed with 52.4% in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30.9% in Crocidura suaveolens shantungensis. 11.9% in Apodemus agrarius coreae, and 4.8% in Clethrionomys regulue. 3. The 42 indivisals of field mice were collected from 1,472 traps. 4. The locational proportions of field mice collected were 1.4%,, 3.8% and 3.5% in Stations, Ⅰ,Ⅱ and Ⅲ, respecrively. 5.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nd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e was not collected at the station Ⅰ. 6. The body weight ranged from 22 to 39.9g in Apodemus agrarius coreae, from 12 to 45.9g in Apodemus specious peninsulae, from 22 to 33.9g in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e, It's average weight was 29.8g in Apodemus coreae and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nd 27.8g in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e, 7. The ratio of female to male of field mice was 0.6 to 0.4 in Apodemus agrarius coreae, 0.41 to 0.59 in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nd 0.54 to 0.46 in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e. 8. The average body length of field mice was 97.8mm in Apodemus agrarius coreae, 97.14mm in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nd 101.5mm in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e. 9. The average tail length of field mice was 78.2mm in Apodemus agrarius coreae, 95.23mm in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35.0mm in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e. 10. The average ear length of field mice was 14.3mm in Apodemus agrarius coreae, 15.77mm in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14.0mm in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e. 11. The breeding period of field mice was between March and July in pusan area. 12. average fetal number of field mice was 3.0 in Apodemus agrarius coreae, 4.8 in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nd 4.5 in Crocidura suaveolens shantungen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