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EACH의 규제상의 새로운 도전과 응전

        李侑峰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集 Vol.14 No.3

        2006년에 도입된 화학물질에 관한 EU의 새로운 규제인 REACH는 기존의 복잡하게 난립하던 다수의 화학물질에 관한 규제체계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물론 REACH의 제정배경에는 대다수 화학물질의 안전성에 대하여 규제의 흠결을 보이고 있는 기존의 규제체계에 대한 비판이 전제되어 있었다. 따라서 REACH는 화학물질의 이용상 존재하는 리스크에 대한 정보제공의무를 그 동안 규제밖에 있던 기존물질생산자에게까지 확대하고, 또한 그 의무를 규제자로부터 물질생산 및 취급당사자에게로 이전함으로써, 리스크평가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정보의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명확한 리스크평가가 다소 어려운 경우에는 사전배려원칙에 입각하여 보수적인 정보에 기초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강화하였다. 그러나다른 한편으로는 더 안전한 새로운 물질개발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기존물질을 대체할 보다 안전한 신규물질개발의 촉진을 의도하고 있다. 이렇게 확대되고 강화된 화학물질에 관한 EU의 규제인 REACH는 비단 EU역내에 적용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EU라는 거대한 시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각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화된 규제에 따르는 준수비용이 만만치않으므로,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이에 반대하는 주장도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 글에서 는 화학물질의 안전성에 관한 새로운 EU규제인 REACH를 리스크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REACH의 제정배경을 설명하고, 그 내용과 특징을 상반된 입장을 취하고 있는 미국의 화학물질규제와 견주어 분석한 다음, 마지막으로 REACH가 미치는 세계 각국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The new EU’s regulation on chemicals, REACH was established in 2006 for unification of the scrambling prior regulatory system on chemicals. Certainly, the introduction of new regulation was supported by critics over the existing regulatory system which was lacking in controlling safety of most of chemicals. Therefore, REACH made the risk assessment easier not only by burdening the producer of the existing chemicals with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risk in chemicals, but also by shifting it from the regulator to the producers and the users of chemicals. Also, even in case that the manifest risk assessment is hard to get because of uncertain information, REACH strengthens the safety by preferring the more conservative data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However, it ultimately encourages invention of the new safer substances substituting the existing substance by providing incentives for its development. Furthermore, the enlarged and strengthened EU’s regulation, REACH, is applied in its territory and is influencing to the global society including Korea, backed by the biggest market in the world. However, there have been strong critics against REACH, especially from US, due to the fact that it causes the tremendous amount of money to follow it. Here, to evaluate RAECH, the EU’s new regulation on chemicals, from the perspective of ‘Risk’, this article mainly described its regulatory background,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its global influence. Especially, for characterizing it, this study used the comparison with US’ regulatory approach on chemicals.

      • KCI등재

        19세기 영국과 미국의 산업발전과보통법상 엄격책임원리의 발전과 변용: 환경피해사건의 경우

        이유봉 ( Eu Bong Lee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3 법과 사회 Vol.0 No.45

        In English-American common law system, the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are treated under the common law, which are defined by court decisions, whereas in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a civil code is applied to those conflicts. Although in modern era the strict liability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legislated rule for special purpose such as environmental protection, old common law in England originally knew the strict liability rule, Sic utere tuo. Since almost 16th centuries this rule has been applied in nuisance cases. Sic utere tuo rule makes anyone whose property get infringed redress and recover their damages regardless of the social value of dependent`s activity or breaking his or her duty. However, faced with the industrial era courts could not but choose the value between contemporary industrial progress and old property ownership. While in England the court stuck to their old sic utere tuo rule in nuisance cases, in America particularly the antebellume north begun to change their interpretation to support the technology-driven industrial progress. This distinction between two countries brings the different responses to the famous nuisance case, Rylands v. Fletcher in 1866. In England, influential academic opinion and several famous succeeding cases describe that Rylands was just readdressing the old common law rule, sic utere tuo. However, in England recent cases showed weakening the strict liability by requiring forseeablity even to the nuisance cases where Rylands rule could be applied. Nevertheless, in America Rylands led the 2nd Restatement of Tort to stipulate the strict liability on ‘abnormously dangerous activity``. Consequently, all these trends show the history where the rule of liability had been continuously modified and adopted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

      • KCI등재

        2012년 한국사회의 환경쟁점과 법원의 사법판단: 사대강 정비사업 관련 행정소송을 중심으로

        이유봉 ( Eu Bong Lee ) 한국환경법학회 2013 環境法 硏究 Vol.35 No.1

        2012년은 그 동안 국가주도로 행해진 대형 국책사업들이 상당부분 진행되어 오고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결정들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한 소송들에 있어 법원의 판단들이 계속적으로 나오고 양적으로도 축적되어 가고 있는 시점임과 동시에 정권에 대한 국민의 재평가가 이루어지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지난 수년간 논란이 되었던 환경사건들에 대하여 객관적 평가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주로 사대강정비사업과 관련한 행정소송들을 상세히 검토 및 분석하였는데, 각 유역별로 제기된 다수의 사건들 가운데, 최초의 대법원사건이면서 다수의견과 반대의견 간의 상당한 견해 차이를 나타낸 한강 정비사업에 대한 집행정지 가처분소송과 하급심의 심급 간에 있어 상호 다른 법리 해석이 제시된 낙동강 하천공사시행계획 취소소송 및 한강하천점용허가 취소처분 취소소송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들 사건들은 현행 「행정소송법」의 한계를 드러내면서, 집행부정치원칙, 사정 판결제도 등에 관한 행정소송제도의 개선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이들 사건들은 정부정책의 정당성확보와 통제를 위한 기제들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기회도 제공하며, 나아가 정부정책이 변경된 경우 이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보호해야 하는지 여부 및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이들 사건들을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들은 사법판단 메커니즘의 한계로 나타나는 동시에 입법적 개선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으며,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최근의 「행정소송법」의 개정 움직임에 유의하면서 입법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year of 2012 provides chance for objective observation of controversial recent environmental issues not only in that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large-scale national policy projects initiated and driven by government has progressed but also that there was an election for a new president. This article reviewed and analysed focusing on administrative cases on Four Great Rivers Refurbishment Project in details. Among lots of cases claiming against national projects in each watershed of four big rivers, this review dealt with: firstly injunction case against Han River refurbishment project on which Supreme Court` decision was decided after intense arguments between majority and dissenting opinions; secondly a revocation suite against the implementation plan for Nakdong River works where lower courts` different decisions in each level were provided; thirdly a revocation suite against government`s revocation of a permit for Han River riverside use where district court`s decision was reversed in a high court. This series of cases uncovers limi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nd proves need to refine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including a principle of no suspension of execution and dismissal of a claim for the sake of public interest regardless of its illegality. Moreover, the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amine if a mechanism for legitimacy and control of government policy soundly works. Furthermore, they give birth to need to contemplate on more fundamental questions on how to protect public trust when government`s policy is changed. Not only do the problems examined through the cases above reflect limit of a mechanism for judicial decisions but also remain demand for legislative improvement.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article suggests directions to improve legislations considering recent movement for amendmen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 KCI등재

        정의의 관념에서 바라본 지구온난화와 배출권제도

        이유봉(Lee Eu Bong),이희정(토론자)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09 환경법과 정책 Vol.3 No.-

        ??Nowadays, it is globally agreed that the phenomenonof global warming is so serious to be disregarded, which is mainly resulted from the human industrial activities other than just a natural function. This recognition led to the international efforts for common legal frameworks such as UNCFF and Kyoto protocol (1997) so as to alleviate the recently fast-growing global warming phenomenon. Even though the global society agrees to reduce GHG emission, there have been severe controversies on how to allocate obligations to reduce them. So, this article tried to speculate how to allocate GHG emission burdens from the perspective of justice. Although there are diverse conceptions on justice, this article focused on rather traditional distinctions, the corrective justice and the distributive justice, besides the environmental justice. After reviewing those conceptions of justice, this writing tried to apply them to the global warming context. Moreover,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in the global warming context requires the phenomenal speculation both from the historical view and the futuristic view in terms of GHG emission. Based on this background, finally, this article applied the perspective of justice to the emission trading scheme, and analyzed the allocation models on emission permits and the legal approaches on them.

      • KCI등재

        기후변화시대의 해상풍력발전 추진을 위한 외국에서의 새로운 입법동향과 시사점

        이유봉(Lee, Eu-Bo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5 환경법과 정책 Vol.15 No.-

        기후변화가 지구촌 곳곳에서 각 종 자연재해가 발생되고 있고 지속적으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해온 상황에서, 기후변화의 주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화석에너지원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대안으로 풍력발전, 특히 해상풍력발전이 주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해상풍력발전사업 추진에 있어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볼 때, 그에 대한 적극적 정책과 새로운 입법적 개선을 추진하여 온 외국의 정책 및 입법상의 노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적극적인 정책적 및 제도적 뒷받침이 없다면 풍력에너지의 발전적 미래도 결코 뒤따를 수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해상풍력발전 총 용량으로서 세계 1위, 2위에 순위를 올린 영국과 덴마크의 경험을 통해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국에서의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된 주요 법들을 기후변화ㆍ재생에너지법, 계획ㆍ허가법, 보상법, 환경법, 주변지역 지원법 등 각각의 영역별로 살펴보았다. 영국은 ?기후변화법 2008? 제정 이래, 이산화탄소배출감축목표를 명문화하고, 이에 따른 재생에너지확대목표를 추진하여 왔으며, 최근 제정된 ?2013 에너지법?은 계약가격보장제도의 도입과 FIT 확대 및 해상송전시설 확충 지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영국에서 해상풍력에 대한 발전사업허가를 관할하는 기관은 해양관리청과 에너지기후변화부이다. 최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자발적 수단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회기반시설법 2015?이 제정되었으며, ‘지역사회의 전력에 대한 권리’개념 하에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소유권에 대한 지역주민의 일정 지분을 보장하는 규정을 두었다. 덴마크에서는 정부와 의회 정당들 간의 정치적 협약을 통하여 재생에너지확대를 위한 안정적인 정치적 기반을 이뤄 왔으며, 최근 개정된 ?재생에너지활성화법 2013?은 풍력발전 기타 재생에너지원의 발전에 대한 가격보조, 풍력터빈의 확대지원, 해상풍력발전에 대한 접근, 예비조사비용의 보증, 지역주민에 대한 구매선택권 보장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에너지공급법?에 의해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대하여는 육상풍력과는 다른 특별허가제도가 적용되어지며, 이에 대한 허가권한은 덴마크 에너지청에 있다. 이와 같은 영국과 덴마크의 경험을 통한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기후변화정책과 지구온난화물질 감소를 위한 재생에너지정책이 비교적 지속적으로 일관되게 추진되어 왔다는 점, 둘째, 해상풍력발전사업에 필요한 허가절차나 관리 주체 등에 있어 해양의 특성이 고려되어 있다는 점, 셋째, 계획단계에서부터 주변 환경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관 등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고자 세심한 배려를 하고 있는 점, 넷째, 풍력발전에 대하여 지역주민과 시민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지분권 보장 등 관련 사업에의 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점, 다섯째, 재산손실에 대한 금전보상과 지역지원은 별개의 문제로 다뤄지고 있는 점, 어업활동 등의 해상활동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객관화하는 정보구축으로 해역이용상 발생하는 다수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절하는 노력을 해 온 점 등이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이들 나라에서는 풍력발전이 시장적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이르렀으며, 정책 및 입법추진의 향배에 따라 향후 해상풍력의 미래 에너지원으로서의 발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Given the climate change era where natural disasters continuously happened and the increasing demands for energy,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has been paid attention to as the main alternative energy source that replaces energy from fossil fuels that is the primary cause of climate change. Nevertheless, offshore wind-power projects would have never been developed and are expected not to successfully grow without strong political and legislative supports. To take lessons for Korea where the offshore wind-power projects facing administrative difficulties, the study tries to take a look at the experiences of UK and Denmark the countries which were ranked the top first and second in offshore wind energy producti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overviews the main legal subjects in each country on offshore wind energy which are the climate change and renewables, planning and licences, compens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ommunity supports. The experiences in UK and Denmark are as follows: first, countries have continuously promoted the policy to reduce climate change effect and develop renewables as the main strategies; seco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arine resource is considered in the process for licence and allocating powers to proper authorities; third, careful concerns are taken from the early step of planning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s and harmonize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like landscape; fourth, in order to increase acceptability of neighbored community on wind power, they try to adopt the scheme ensuring participation in shares of ownership; fifth, they try to solve conflicts in marine activities by collecting objective information on economic values and losses in marine resource related activities including fishing and compensate losses based on them separately from providing community benefits. Through these regulatory efforts, these countries successfully achieved market competitiveness in wind energy production. Further, how strongly and robustly to promote these policies and regulations would decide the future of offshore wind powers.

      • KCI등재

        인간의 법을 통해 바라본 동물의 죽음에 관한 소고

        이유봉 ( Eu Bong Le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서울대학교 法學 Vol.50 No.1

        동물들은 인간의 생활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어진다. 물론 그것은 그들의 죽음을 전제로 하여 우리가 얻는 편익인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그러한 이용행위, 즉 생명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행위 역시도 법적 근거를 가지고 정당화되어진다. 그러나 동물의 생명도 인간의 생명과 마찬가지로 같은 자연현상인 생명원리하에 놓여 있는 것일 진데,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물의 생명의 단축이 정당화를 얻기 위하여는 단순한 인간의 관습적, 유희적 또는 경제적인 이유 이상의 보편성을 가질 수 있는 윤리적 정당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글은 그러한 실정법적 정당화의 이면에는 어떠한 현실에 대한 합리화가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합리화의 논변은 어떠한 논리로서 비판되어질 수 있는가를 보다 논리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동물의 죽음이 인간의 죽음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한국사회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한국법에 있어서 동물에 대한 법적 지위와 동물의 죽음을 실정법적으로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개관한 다음, 이러한 현실에 대한 정당화의 논리와 다양한 비판적 논변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다양한 비판적 논변들을 논함에 있어서는 싱어의 공리주의, 레건의 권리론과 환경윤리적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인간이 동물을 대하는 방식에 있어서 보다 보편성을 가진 행위윤리를 찾고자 한다. Animals are used for humans lives in various ways. Mostly, it is for our benefits on the condition that they are to die. Therefore, animal usages that leads to their death are conducted based on legal justification. Yet the animal life is also controlled by natural bio-system as human life does. So, for justifying unnatural curtailment of animal life, ethically justifying with universally acceptable reasons would be required other than simple reasons based on human interests, customs, and amusements.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following questions in logical perspectives: First, which rationalization for reality is underlying under the positive legal justification for animal use? Second, what critical arguments against those justification are. To carry out such topics, this research takes following steps: First, this article will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animal death and human life in Korean society. Second, this study will review the animal legal status in Korea and current Korean laws covering animal death. Lastly, it will analyze arguments of rationalization and critiques of its reality.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arguments concerning the diverse critiques, this study will focus on Singer`s utilitarianism, Regan`s animal right theory, and environmental ethics. Through the above arguments, this article seeks to find the more catholic ethics on how human should deal with animals.

      • KCI등재

        환경법(環境法)의 진화과정(進化過程) 속에 나타난 공법(公法)과 사법(私法)간의 갈등구조(葛藤構造)

        이유봉 ( Eu Bong Lee ) 한국환경법학회 2010 環境法 硏究 Vol.32 No.2

        이 글은 공법과 사법의 이념적인 바탕의 차이를 중심에 두고 환경법에 있어서의 공법과 사법의 긴장과 갈등구조에 대하여 분석한 글이다. 이 글은, 먼저, 환경법의 진화과정을 역사적 사실의 재료로 삼고, 환경사법과 환경공법의 발전 단계와, 그 속에서의 환경사법과 환경공법관계가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라는 그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그 다음은, 시대 맥락의 변화 속에서 환경사법과 환경공법간의 관계가 갈등을 빚게 되는 현상에 주의하면서 그러한 갈등적 요소가 무엇에서 비롯되는지 배경적·구조적 원인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특히 그러한 갈등이 환경사법시대를 지나서 환경공법시대에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환경사법과 환경공법간의 관계변화와 갈등의 양상이 각국이 채택한 법체계에 따라서 어떠한 특수성을 가지고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의 구체적 분석을 위하여 두 가지의 다른 법체계, 즉 커먼로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온 법체계와 공·사법의 이분론에 기초하여 발전되어 온 각각의 법체계에서의 법발전단계에 따른 환경법의 변화와 발전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문제들이 우리나라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A polluter was sued, based on the private law remedies, for the damages in order to recover suffering from contaminated water or air. However, the polluter acted in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of environmental statutes. In this case, is his or her act justifiable? This question can be controversial to simply answer. Traditionally, particularly in civil law system, private law has been considered as a separate realm from public law, having logical and systematic completeness and independence within itself. However, as administrative agencies and public law have grown noticeably and enlarged progic sively, they began to penetrate thplegh the cicvice of private law and encplach on iogiracking such belief on the one hand and bcelding et their own logics and legal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environmental case shows the dilemma thad encpmodd bcstatutory d agiwhercpprivate and public environmental laws coexist, is facing. The idea that draws distinct lines between private and public law tends to have people lose sight on how to solve the problem and ignore the fact that those two realms are correlated and interacting. However, instead of giving up viewing them discrete, this study rather supposed it, but focused primarily on how their relation has been changed and what makes the initiative within their dynamic relation move. It is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laws is embedded in the fundamentally different ideas supporting private autonomy and public good, respectively (even though either private law or public law often failed to achieve its ideological goals). Taking these ideological backgrounds seriousl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what makes them contrasted and conflicting, and to suggest how to handle with such tens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thesis examined legal evolution process in the environmental law, while putting emphasis on the initiatives between the private and the public environmental law.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s for differentiating private law from public law, and what makes the legal initiative between them move. Thirdly, this analysis reviewed whether legal system, according to which the rel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law is understood differently, influences how to deal with such tension between the two laws in the environmental law context. To show such review concrete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environmental law developed its legal theories and legislatures under two different legal systems that are based on public/ private law dichotomy and common law. For this comparison, this study analyzed relevant legal issues in US law and German, Japanese and Korean Laws such as `Balancing theory`, `Public interest`, `Preemption`, `No right abuse theory`, `Bearable limit theory` and `Vicinal community relation theory` as exemplifications for each leg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