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상기 최순이의 진주검무 계승과 국가무형유산 지정

        양지선 한국교방문화학회 2024 교방문화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선상기 최순이를 통해 전승된 검무의 국가무형유산 지정 배경과변화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검무는 우리나라 전통춤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춤으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검무는 ‘진주검무’가 유일하다. 진주검무 연구에 있어 최순이의 존재는 거의 부각되고 있지 않다. 진주지역에는 검무가 전승되고 있었으나 ‘진주검무’의 국가무형유산 지정의 결정적 역할을 한 사람은 최순이다. 최순이는 1900년대 초 궁중 진연을 위해 선상기로 뽑혀 올라가 춤을 추고 진주로 돌아와 1969년까지 검무를 가르쳤다.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에 의하면 최순이가 시연한 검무는 궁중검무의 원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고 한다. 최순이를 통해 궁중의 검기무와 진주 교방의 검무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최순이를 기점으로 조선후기의 검무와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검무는 형태와내용적인 부분에 차이가 있다. 조선후기와 1930년대까지 4인이 추던 검무는 무형문화재 지정과정에서 8인이라는 숫자로 고정되기도 했다. 진주검무 칼의 형태는 무형문화재 지정 당시는 칼목과 칼날이 고정되지 않고 돌아가는 형태였다. 1901년 즈음 전국적으로 칼목이 돌아가는 형태로 개량되었다. 즉 최순이가 진주교방과 궁중에 사용한 검기무의 칼은 모두 직선이 칼날이었고, 일제강점기에 일시적으로 개량된 칼을 사용했던 것이다. 조선후기 진주의 검무는 한삼을 착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1930년 이후 한삼사위가 추가되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당시 권번의 춤 중에서 인기있는 종목은 검무였다. 최순이는 완벽한 춤의 구성을 위해 궁중춤의 요소와 교방에서 전래된 부분을 함께 습합하여 발전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changes in the designation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of the sword dance passed down through Choi Soon-i in the selecting period. The sword dance is the oldest traditional dance in Korea, and the only sword dance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s ‘Jinju sword dance’. Choi Soon-yi’s existence in the study of the Jinju sword dance is hardly highlighted. Although the sword dance was handed down in the Jinju area, Choi Soon-yi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designation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of ‘Jinju sword dance’. Choi Soon-yi was selected as a shipbuilder for the royal retreat in the early 1900s, danced, and returned to Jinju to teach sword dance until 1969. According to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vestigation Report, the sword dance demonstrated by Choi Soon-yi retained the original form of the court sword dance. Through Choi Soon-yi, the sword dance of the court and the sword dance of the Jinju Gyobang were influenced by each other. Starting with Choi Soon-yi, the sword danc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word dance designated as an intangible heritage differ in form and content. The sword dance, which was performed by four people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1930s, was also fixed with the number of eight in the process of designa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shape of the Jinju sword dance knife was a form in which the neck and blade were rotated without being fixed when it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round 1901, it was improved to a form in which the sword was turned nationwide. In other words, all the swords of sword dance used by Choi Soon-yi in the Jinju Gyobang and court were straight blades, and a temporarily improved knife was used for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late Joseon Dynasty, Jinju’s sword dance did not wear Hansam. However, after 1930, Hansamsawi was added and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t that time, the popular event among Kwon Bun’s dances was Geommu. Choi Soon-yi combined and developed the elements of court dance and the part passed down from Gyobang to form a perfect dance.

      • KCI등재

        일제의 만몽정책에 대한 한중의 인식비교

        양지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6 No.-

        Although Koreans’ perspective on the Japanese Empire’s Manchuria-Mongolia policies and that of Chinese have something in common, there were som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methods and in depth between the two. Koreans monolithically understood the Manchuria-Mongolia policies within migration policies. While immigrated Koreans focused on economic potentials which they expected the Manchuria-Mongolia policies might derive, Chinese payed attention to the aggressive intention on the other side. Koreans in the core of migration policies were recognized as invasive tools. Through Shandong Expeditions and Jinan Incident, Koreans began to pay attention to and then realize the Japanese Empire’s aggressiveness, and tried to overcome it with solidarity among oppressed peoples. Koreans attempted to accelerate their independence by defeating the Japanese Empire’s aggressiveness in the Manchuria-Mongolia policies. Nonetheless, Chinese in the 3 Eastern Provinces perceived the aggressiveness of the Manchuria-Mongolia policies through immigrated Koreans, and the extrusion was continued. 다나카 기이치 내각은 대중불간섭노선을 비판하며 만몽지역에서의 특수 이익 유지와 보호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대한 한중 양국의 시각은 공통적인 면도 있었으나, 인식의 방법과 심도 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주 한인들은 만몽개척이 가져다 줄 것이라 기대했던 경제조건의 개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이주행렬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중국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세력들은 만몽정책이 가지는 침략적속성을 파악하고 중국과의 연대를 통해 일본의 중국침략을 저지하고자 하였다. 중국인들 역시 산동출병과 제남사건 등을 통해 만몽정책의 침략성을 확인하게 되면서 이를 계기로 관내지역 한인들과 연대해 일본에 대항하려 했다. 그러나 한인들이 이주해 생활하던 만몽지역에서는 한인들을 일본만몽침략의 선구자로 인식하였다. 토지상조권을 두고 한인들과의 마찰이 빈번히 일어났고, 침략발판을 마련하려던 일본이 조직적 개입을 시도하면서 한인의 이주를 만몽침략정책과 동일시하게 된 것이다. 결국 이는 한인에 대한 구축사건으로 표출되었고, 한인구축소식이 국내에 악의적으로 선전되면서 전국적인 화교 구축사건으로 이어졌다. 이처럼 일본이 추진한 대중침략정책에 대한 한중 간 인식 차이는 매우 컸다. 인식 차에서 발생한 여러 마찰과 모순들이 한중 양국 간 불신을 초래해 연대관계 형성을 저해하였다.

      • KCI등재후보

        Posner의 이론에 기초한 2007 개정에서 2015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의 ‘가정생활’ 영역 분석

        양지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생활 영역 분석을 통해 실제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교육과정 실행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위해 분석 대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와 관련문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이론을 활용하였다. 분석 준거는 네 가지 범주에서 설정하였으며 교육과정 기원과 체계, 영역, 운영, 비평의 영역에 따른 각각의 하위질문을 구성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기원과 체계에서는 2007 개정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청소년, 가족문제 등 사회변화와 관련하여 다루는 문제들에서 가정생활 문화를 창조, 융합해나가는 주체자로서 개인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다양한 방향에서 학습을 유도하는 수렴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과정으로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데 초점을 두었다. 셋째,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학문 중심의 설계에서 실천적 문제 중심, 역량 중심, 이해중심 설계의 통합적 구성으로, 목표, 내용, 평가를 연관성 있게 구성해나가고자 변화되어 왔다. 넷째, 교육과정 비평에서는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성취기준 분석과 자세한 평가 준거를 제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수업 실행과 현장에서 심층적인 이해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추후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참고가 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 분석과 개발 및 검토 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szed 2007 revised to 2015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though Posner 's curriculum analysis theory. It will be promote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ontribute curriculum practice. Analysis criteria were set in four categories of curriculum documentation & origins, proper, using, and critique. The results show: First, in the curriculum documentation & origins, the 2007 revision addresses family life issues related to social change, such as low fertility, aging, youth, and family problems. the 2015 revision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as the subject of creating and fusing the family life culture. Second, In the curriculum proper, it has a convergent structure that induces learning in various directions, and constructs knowledge as a process. Third, in the curriculum using, it is composed of discipline-centered design to practical problem focused, competency-based, and understanding by design, and is structured with relevance to goal, content, and evaluation. Fourth, in the curriculum critique, it providing the criteria of performance criterion analysis and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in the course implementation will promote deep understanding. It will provide an analytical perspective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comparing curriculums.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하는 지식과 역량 분석: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양지선,이경숙,Yang, Ji Sun,Lee, Gyeong Su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예고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2015 개정 가정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핵심역량과 지식의 연관성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는 메타인지적 지식이,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사실적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대한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순으로,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이해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 개념별로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은 '발달'에서 메타인지 지식과 '이해하다', '관계'에서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과 '이해하다', '생활문화'에서 메타인지적 지식과 '적용하다', '안전'에서 절차적 지식과 '평가하다', '분석하다', '관리'에서 사실적 지식, 절차적 지식과 '적용하다', '생애설계'에서 메타인지적 지식, 사실적 지식과 '이해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취기준에 사용된 동사의 진술은 '탐색하다', '이해하다', '분석하다', '실천하다', '제안하다', '인식하다', '평가하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행동 동사의 진술은 수행과정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교과내용 지식과 다양한 인지과정을 나타내는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구체적인 역량을 성취할 수 있다. 따라서 성취기준을 통해 학습자의 수행능력의 습득에 더욱 효과적인 인지과정을 제공하고 내용요소와 기능과의 연결을 정교화하는 전략을 통해 교육의 방향성을 높이고 학습자들이 미래를 대비하는 역량을 함양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d aims to identify the knowledge and required competencies in the fourth industrial er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dimensions was the highest 'metacognitive knowledge' in middle school, while 'factual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high school, and 'knowledge of specific details and elements' was the highest subtype of all of the knowledge dimensions. The dimensions of the cognitive process, such as the terms 'apply' and 'analyze' in middle school, as 'understand' and 'evaluate' in high school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Second,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ccording to key concepts display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 in development, the conceptual knowledge and 'understand' in relationship. While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apply' in life culture, the 'procedural knowledge' and 'evaluate' in safety, the 'factual knowledge' and 'apply' in management and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 in life design were extremely high. Third, the verbs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displayed as 'explore', 'understand', 'analyze', 'practice', 'suggest', 'recognize' and 'evaluate'. Since the statement of the action verb is the very basis for determining the performance process, specific competencies may be achieved by reflecting on the actual achievement standards. These standards should provide us with a effective cognitive process for to understand a learner's performance skills and support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required, through a strategy that refines the connection between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s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for the future.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요소와 가정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연구

        양지선,유태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3

        This study analyzed components of key competencies and its relations with Home Economics curriculum though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e literature total of 26 relating to key competencies is collected from two research institutes(KICE, KEDI) and two academic Journals(KSCS, KHEEA). The results show, first, every countries suggested different categories and components of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DeSeCo report(OECD, 2005). In subject matter, intellectual and learning capacities are emphasized; where as in inter-disciplinary or trans-disciplinary areas promoting character and competencies are focused. Second, ideal portraits of human being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is not closely related with those in a national curriculum. Third,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stated aligned with competencies, goals and curriculum contents, standards. Final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design framework that teaching·learning process incorporates knowledge, skills, and strategies relating other subject areas. 본 연구는 핵심역량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과 가정과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과 관련한 2개 연구소(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와 2개 학회(한국교육과정학회,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서 출간된 26편의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에서 강조하는 요소들을 OECD의 역량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살펴본 결과 각 나라별로 종류나 범주를 달리하여 제시되고 있었다. 교과영역은 개별 교과를 통해서 지적 역량이나 학습 역량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었으며, 인성이나 역량의 함양에 목적을 두고 간학문적, 통합적 접근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에서 추구되어야할 바람직한 인간상으로 가정과 사회의 항구적인 문제를 자율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상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나 가정과 교육을 통해 추구되어야할 인간상과 관련한 부분이 적절히 반영되어 있다고 어렵다. 셋째, 성취기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학습이 기준이 되어야 하므로 교과의 성격이 보다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역량, 목표, 내용체계,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일관된 진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넷째, 교수・학습과정에 있어서 학습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 전략 등을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관련된 학습영역을 통합하거나 학문 이외의 다른 요소들을 교육과정을 위한 설계의 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헝가리인 마쟈르의 한국독립운동 지원과 그 의의

        양지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7

        There is a Hungarian member in the Korean Heroic Corps, called Magyar, Majar, Murjar. Hungarians have used the name Magyar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races. After the First World War, Magyar met Lee Tae-Joon, a member of the Korean Heroic Corps, in Mongolia and participated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e served as a liaison and transportation service for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who had traveled through Mongolia. Meanwhile, Kim Won-Bong, who had planned a fierce independence battle in China, thought that getting the weapons such as bombs and pistols was the most important for future activities. Unexpectedly, he met with Lee Tae-Joon in Beijing to hear about the Hungarian bomb engineer Magyar. However, he is killed by Lee Tae-Joon’s Ungern troops who tried to pick him up. But Magyar came to Beijing alone to find Kim Won-Bong. The situation of colonial Chosun was similar to that of Hungary. He sympathized deeply with Korea and decided to help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wards, the two went to Shanghai to set up a bomb mill in French concession and produce weapons such as bombs. The squad members and some Chinese helped him, and the bomb making went smoothly. Kim Won-Bong used this bomb to carry out the second assassination and destruction plan. The problem was bringing bombs in to the country. The transportation route for bombs was Shanghai-Tianjin-Andong-Kyungsung. Magyar decided to carry out weapons such as bombs from Shanghai to Tianjin. Westerners are subject to extraterritorial rights. The weapons that arrived in Tianjin safely crossed the Ap-Rok river border, but the plan was delivered to Japan and revealed due to the report from a spy in the Korean Heroic Corps. The Japanese were astonished at the sight of Magyar’s bombs and thought that the Korean Heroic Corps could not make such high-performance bombs themselves. Although not a big success, his bomb-making skills were inherited by the members of the Korean Heroic Corps and helped the Korean Heroic Corps later pursue the armed struggle. 마쟈르, 마쟐, 머저르라고 불리는 헝가리인 의열단원이 있다. 헝가리인들은 다른 종족들로부터 자신들을 구별하기 위해 마쟈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왔다. 마쟈르는 제1차 세계대전 후 몽골에서 의열단원 이태준을 만나면서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는 이태준을 도와 몽골을 경유하던 한국독립운동가들에게 연락과교통편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한편, 중국 관내 지역에서 의열투쟁을 계획하던 김원봉은 앞으로의 활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위력이 큰 폭탄과 권총 등의 무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때 뜻밖에도 베이징에서 이태준을 만나 헝가리 폭탄기술자 마쟈르에 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하지만 몽골에 있는 그를 데리고 오겠다는이태준이 운게르 부대에 의해 살해당하고 만다. 마쟈르는 이태준이 사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신으로 베이징에 와 김원봉을 찾았다. 식민지조선의 처지가조국 헝가리와 유사했기 때문이다. 한국을 극히 동정하던 그가 독립운동을 돕기로 결심했던 것이다. 이후 두 사람은 상하이로 가 프랑스조계 내에 폭탄제조소를 차렸다. 의열단원 및 몇몇 중국인들이 그를 도와 폭탄을 제조하였으며, 모든 과정은 순조로웠다. 김원봉은 마쟈르의 폭탄을 이용해 제2차 암살·파괴계획을 추진하였다. 문제는 폭탄을 국내까지 반입하는일이었다. 폭탄 이동 노선은 상하이 ‒ 톈진 ‒ 안동 ‒ 경성이었다. 이때 마쟈르가 상하이에서부터 톈진까지 폭탄등 무기 운반을 맡았다. 서양인들은 치외법권의 적용을 받아 비교적 안전하였기 때문이다. 톈진에 도착한 무기는 무사히 압록강 국경을 넘었지만, 의열단 내 밀정의 신고로 일본에게 발각되면서 계획은 무산되고 말았다. 마쟈르의 폭탄을 본 일본은 경악하였지만, 의열단이 이 같은 고성능의 폭탄을 직접 만들지는 못했을 것이라 생각했다. 기대했던 만큼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지만, 그의 폭탄제조 기술은 의열단원들에게 계승되어 이후 의열단이 무장투쟁을 추진하는 큰 힘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