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메멘토 모리의 문화적 진화 -홀바인 2세의 <죽음의 무도>에서 동시대의 “비가시적 죽음”까지

        황훈성 ( Hoon Sung Hwang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 영문학 Vol.59 No.1

        This paper aims to trace and illuminate the cultural evolution of memento mori from Holbein Jr.`s danse macabre (1536) to contemporary attitude of ``invisible death`` via William Combe`s The English Dance of Death (1815). The images of death reflected on the woodcuts by Holbein the Junior are a tyrant, a jester and a leveler who arrest victims by surprise and without warrant thereby keeping living humans always at the throe of death (memento mori). William Combe`s death is his contemporary companion of the Zeitgeist of Enlightenment with its humanist tolerance reflecting the ideology of bourgeois class. However, at the turn of the last century did our contemporary images of death undergo a dramatic reversal from the Romantic idea of ``sweet death`` to ``dirty death`` of our age. Arguably, Darwinian world view devoid of God`s Creation and bodiless souls must have taken a toll on the cultural dissemination of religious beliefs in afterlife and immortality. For the first time over human history has death become human nemesis intractable and intransient to such an extent that humans cannot but turn blind eyes to him until the final moment of their ownmost deat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계몽기획으로서의 현대극

        황훈성 ( Hwang Hoon-sung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3

        이 논문은 연극사 시대 구분에서 문체나 미학적 변별성에 의하지 않고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연극현상을 분석한다. 그리하여 논의의 전제를 입센으로부터 출범하는 서구현대극이 비록 사실주의라는 문예사조에 포함되긴 하지만 그 핵심적 본질은 계몽주의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현대성(modernity)이라는 역사적 사실로 설정했다. 계몽주의 기획의 구체적 구성요소로서는 1)객관적 진리를 추구하는 과학적 태도, 2)개인주의에 근거한 철학적 인본주의, 3)인간의 합리성에 근거하여 정치적 옳음을 추구하는 정치적 태도, 4)대중을 교육시켜 계몽시키고자하는 교육학적 태도 등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네 가지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점검하기 위하여 칸트, 입센, 스트린드베르히, 졸라, 루카치, 쇼 등 서구 현대극의 선구자들의 선언문이나 대담 자료를 분석하여 계몽기획으로서의 현대극을 개념화하였다. 그러나 동시대극이 현대극의 연장이라는 일부 연극사가들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탈현대성(postmodernity)의 개념을 설정하고 현대성과 탈현대성이 분기되는 지점을 2차 세계 대전 직후 부조리극 현상에서 찾았다. 특히 아도르노의 계몽주의 비판 논리를 차용하여 홀로코스트란 인류의 비극이 불행하게도 서구의 계몽주의 기획의 후반부에서 발생한 오작동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탈현대적 연극과 성격상으로 명백히 구분된 현대극의 현대성 개념 정립을 시도하였다. In this paper, I have endeavored to illuminate the attributes of modern drama through tracing several manifestoes and essays made by the trailblazers based on my own taxonomy of four aspects of modern drama as well as pinpointing the point of bifurcation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manifested on contemporary stage. My touchstone of the modernity on modern drama is whether a literary work reflects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since at stake is less the matter of stylistics than the world view that is represented in a literary work. We have four quintessential components of the Enlightenment project: 1) a scientific notion of objective truth; 2) a philosophical notion of humanism based on individualism; 3) a political vision of political correctness founded on human rationality; and 4) finally a pedagogical idea of educating the public (the gist of Aufklarung is to shed the light on ignorant people). From the outset, these four attributes provide an overarching paradigm in many a crucial manifestoes of modern drama. In an effort to trace these four elements affecting the aesthetics of modernism on stage in its embryonic stage, I have made a brief survey of declarations made by those playwrights and critics following Ibsen and Strindberg. Firstly, Enlightenment thinkers tend to think what is permanent in truth value could be gained only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Natural science is thus enthroned as the king of all sciences which dictates the legitimization of knowledge. Secondly, modern drama philosophically stands for humanism based on individualism which was burgeoning with the empowerment of the bourgeois class at the turn of nineteenth century. Thirdly, modern drama embraces the idea of political correctness founded on human rationality, Lastly, the trend of Enlightenment, as the concept(Aufklarung) signifies, is characterized by educational fervor. Also, I have attempted to clarify the modernity in drama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postmodernity in our contemporary drama by pinpointing the site of their bifurcation in terms of aesthetics and politics as contested by a number of postmodern thinkers including Adorno, Baudrillard and Lyotard. The thrust of my argument is thus, that the modernity in modern drama is not sustainable in our postmodern age, since the status of reason is shakable as is depreciated as `instrumental reason`.

      • KCI등재

        남성 거울을 깨트리기 위한 세 연약한 여자의 자살적 몸짓 : 『 마키날 』, 『 데뷔 무대 』, 『 사리타 』에 대한 페미니스트 연구

        황훈성(Hoon Sung Hwang)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00 영미문학페미니즘 Vol.7 No.2

        이 논문은 현대 미국 연극에 나타난 여주인공들이 자신들의 식민화된 몸을 되찾음으로써 자신의 주체성을 회복하려는 과정을 추적한 논문이다. 소피 트레드웰의 「마키날」에서의 Young Woman, 베쓰 헨리의 「데뷔 무대」에서의 테디 그리고 마리아 아이린 포네스의 「사리타」에서의 사리타의 몸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항상 남성들에 의해 점유되고 문신이 새겨진다. 여성의 몸에 여성스럽다 (feminine)라는 가부장 문화적 윤곽이 문신되어지는 방식은 세 가지이다. 첫째, `여성의 육체를 일정한 크기와 일반적 윤곽으로 생산하려는 훈련적 실천; 둘째, 여성의 육체로부터 특정한 제스츄어, 자세, 움직임의 세목을 지정하려는 훈련적 실천; 셋째, 여성의 육체를 하나의 장식적 표면으로 전시하려는 훈련적 실천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바로 이 여성스러움 이라는 것은 남성의 응시에 의해 창조/생산되며 그런 의미에서 여성의 몸은 푸코가 말한 순치된 몸 (docile body)으로 훈련되어진다. 위 세 여주인공들은 이러한 은밀하고도 집요한 가부장적 음모를 깨트리기 위해 신체적 자해 또는 남성 상대자의 살해 등의 폭력을 사용한다. Young Woman은 남편을 테디는 아버지를 사리타는 애인을 각각 살해한다.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그들의 살해행위는 끔찍한 범죄라기 보다는 여성 주인공들의 어쩔 수 없이 저지르는 제스츄어 다시 말하여 남성응시에 의해 철저히 식민화 되어 있는 그들의 몸을 되찾고자 하는 몸부림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 결과 이러한 육체의 되찾음은 뫼비우스 띠 모양 연결되어 있는 정신의 주체성까지도 회복할 수 있는 길로 이어질 것이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구 죽음학에서 베케트 죽음관 자리매기기

        황훈성 ( Hoon Sung Hwang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 영문학 Vol.58 No.4

        Beckett`s life-long struggling with death may be illuminated in terms of the Western tradition of thanatology as well as Philippe Aries`s anthropological classification of death. Among the Western tradition, Beckett`s oeuvre incarnates memento mori, timor mori, nihilism, theatrum mundi, life as afterlife, and the transsubstantiation of the self. Among the five views of death Aries suggests, Beckett appears to foreground the death of the self and the invisible dirty death. In a world devoid of transcendental Signified, Beckett`s resident is "a poor player/That struts and frets his hour upon the stage." Our contemporary vision of death is dominated by the dirty death and timor mori resurrected from the cultural icon of danse macabre in the late Mediaeval age as vividly dramatized in W;t by Margaret Edson. Beckett stands in no man`s land: Lucky complains of divine aphathia as well as scopes at the possibility of God`s existence like Hamm. Beckett`s way of getting out of the dilemma is laughing a mirthless and dianoetic laugher. To bourgeois class who shudder at the sight of Grim Death after forgettable years of indulgence and addiction to capitalist consumption, Beckett seems to preach, your life is a death-in-life, you are not born yet until you are baptized with existential awakening as Gregor Samsa in Kafka`s Verwandlung, or Tolstoy in Confes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