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험장비 및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전계와 자계의 측정과 분석

        황혜연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사회의 환경에서 상용주파수 전계와 자계는 어느 곳에나 있게 되며, 산업현장과 가정에서 전기 설비와 가전제품의 사용으로 강한 전계와 자계에 노출된다. 상용주파수 전계와 자계에의 노출은 건강에 위험한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논문은 실험장비와 가전제품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계와 자계의 측정과 분석에 관한 것으로 상용주파수에서 전계와 자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전계와 자계의 세기는 실험장비와 가전제품의 유형과 크기에 따라 변화 하였다. 전계와 자계의 발생원에서 측정점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측정결과를 도시한 바 측정대상 시료가 멀어짐에 따라 전계와 자계의 세기는 감소하였다. 실험장비 주변에서 측정한 전계와 자계의 세기는 모두 전계와 자계에 대한 국내 표준 제한값 보다 훨씬 낮았다. 또한 7종의 가전제품 주변에서의 측정한 결과의 대부분은 비교적 낮았다. 음식물 처리기의 주변에서 자속밀도는 102.3 [μT]로 가장 높게 발생하였으며 자계의 관한 국내 기준의 한계보다 높았다. 결과적으로 실험장비와 가전제품은 근거리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감자(Solanum tuberosum L.) 마디배양의 환경조건과 배지조성에 따른 소괴경 형성 및 조직학적 관찰

        황혜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감자의 기내 마디 배양에 있어서 효율적인 괴경형성 및 비대에 관여하는 온도, 일장 등의 환경조건과 sucrose, 질소원, CCC의 배지조성에 따른 최적 조건을 구명하고, 기내 소괴경(microtuber) 형성과정에서의 세포조직 관찰과 AGPase 활성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감자의 마디배양에서 액아로부터 발생하는 shoot의 생장에 관하여 온도의 효과를 검토할 때, shoot의 초장과 생체중은 배양 후 30일까지는 20℃보다 28℃에서 양호하였으나 80일이 경과되었을 때에는 오히려 20℃에서 양호하였다. 줄기의 직경은 80일간의 배양까지 두 온도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마디수는 30일까지 28℃에서 양호하였다. 일장의 효과에서 0, 8, 16시간의 조명을 주었을 때 주간의 길이가 길어질 수록 효과가 양호하여 16시간의 장일조건에서 초장, 생체중, 직경, 및 마디수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배지에 첨가하는 sucrose 농도의 영향에서 1, 3, 8% 간의 차이를 볼 때 8%와 같은 고농도에서는 shoot의 생장에 저조한 결과를 보이고 오히려 1%의 농도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0℃와 28℃의 두 처리간에 있어 배양 80일 후에 형성된 괴경수나 형성된 괴경의 직경 및 괴경중 모두 28℃에 비해 20℃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효과를 보였다. 일장의 영향에 있어서 형성된 괴경의 발육에 해당되는 크기와 무게에 있어서는 8시간의 단일조건이 24시간의 암조건이나 16시간의 장일조건보다 효과적임을 보이고 있고, 24시간의 암조건과 16시간의 장일조건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배지에 첨가되는 sucrose의 영향에 있어서도 농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여 1, 3, 8%의 처리간에 있어 sucrose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형성된 괴경의 수는 물론 괴경의 직경 및 괴경중의 비대발육이 유의성 있게 양호하였다. 배지에 공급되는 다량요소나 미량원소 또는 유기물질에 의한 영향에 있어서는 질소의 양을 약 2/3로 줄이고 인산의 양을 약 3배로 늘린 변형 A배지에서 배양한 식물체의 초장은 MS배지에서 생육된 초장에 비해 짧았고 생체중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질소의 양을 약 1/15로 줄이고, 칼리의 양을 1/2로 줄인 B배지에서 배양한 초장 및 생체중은 매우 저조함을 보여 B배지와 같이 질소의 양을 과다하게 줄일 경우 배양 중의 식물체의 생육은 매우 저조하였다. 또한 괴경형성에 있어서 질소공급량을 MS배지의 2/3의 양을 조절한 A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1/15의 양을 조절한 B배지에서는 저조하였다. CCC처리에 의한 효과에 따른 감자의 생육에 있어서 초장, 생체중, 직경, 마디수는 CCC를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특히 일장 처리가 길어질수록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괴경형성을 촉진시키는데 일장이 짧을수록 양호하였고, CCC의 영향에 있어서는 CCC를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 마디의 위치에 따른 감자의 생육에 있어서 초장, 생체중, 직경, 마디수는 물론 괴경형성에 있어서도 정단부위가 마디부위보다 양호하였다. 잎의 부착 유무와 온도와 일장에 따른 괴경형성에 있어서는 잎이 부착된 마디의 저온에서는 단일 조건에서 양호하였으나 고온에서는 장일 조건에서 괴경형성이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잎이 부착되지 않은 마디의 저온과 고온 모두 단일 조건에서 양호하였다. 초장과 생체중 및 직경과 마디수는 sucrose 8%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전처리를 한 후 sucrose 8%와 CCC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암배양한 (A) 처리가 sucrose 8%와 CCC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전처리를 한 후 같은 배지에서 암배양한(B) 처리보다 양호하였고, shoot의 형성에는 전처리로서 적어도 7일 이상의 광처리가 양호하며 광처리가 없이 배양할 경우에는 B처리에서는 80일간 장기배양을 하여도 감자의 shoot가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괴경의 직경과 구중은 sucrose 8%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전처리를 한 후 sucrose 8%와 CCC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암배양한(A) 처리보다 sucrose 8%와 CCC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전처리를 한 후 같은 배지에서 암배양한(B) 처리가 양호하였고, 오히려 전처리로 광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양호한 효과를 보여 괴경형성조건에서 일장반응을 인식하지 못하는 조직 상태에서의 괴경형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광처리는 필요조건이 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양온도에 따른 감자의 액아부위 세포의 조직학적 변화에 있어서는 저온조건에서 괴경이 형성이 촉진되어 세포의 조직은 신장생장보다 팽창생장을 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장조건에 따른 변화에 있어서는 암조건에서 조직의 팽창생장이 뚜렷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CCC의 첨가 유무에 따른 변화에 있어서는 CCC를 첨가한 조건에서 양호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의 변화에 있어서 배양한지 5일이 지나서야 뚜렷한 현상을 볼 수 있어 pith, cortex 및 perimedullary tissue에 있는 parenchyma 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직내 위치별 세포분열의 가시적 비율에서는 pith부위 보다 cortex부위에서 세포팽창의 비율이 큰 것으로 보였다. Sucrose, CCC 및 일장차이에 따른 AGPase 활성의 변화에 대해 암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 8%에서도 각 각 CCC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8시간 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 8%에서는 CCC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6시간 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는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에서는 CCC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에서는 CCC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ucrose의 농도가 높고, CCC와 암처리의 괴경형성의 촉진조건에서 AGPase의 활성이 양호함을 볼 때, AGPase가 starch 합성에 중요한 물질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s of culture temperature and photoperiod as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nitrogen source and CCC added to medium participated in microtuber formation and growth in vitro culture of node of potato. And also cellular texture in a developmental stage was observed and activity of AGPase was analyzed. The shoot length and fresh weight of shoot developed from node culture of potato for 30 days were more favorable at 28℃ than 20℃ but the results were reversed after 80 days. In the effects of photoperiod illuminated for 0, 8 or 16 hours, long day of 16 hours promoted higher rate of growth including shoot length, fresh weight, stem diameter and node number of shoot developed from axillary bud. Sucrose of 1% was more favorable rather than 8% for the growth of shoots. The formation of tubers and their growth in size and fresh weight were increased at 20℃ compared with that of 28℃, and short day treatment of 8 hours was effective.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he treatment of dark and long day of 16 hours in tuberization. The effects of sucrose in the formation of tubers and their growth in size and fresh weight were increased up to 8% by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The height of shoot on the modified medium A reduced nitrogen by about 2/3 and increased with about 3 times of phosphoric acid of a MS medium was inhibited as compared to that of shoot cultured on the MS medium, and, as for the fresh weight, there was not a difference. However, the growth of shoot and the fresh weight did a low standard on the B nutrient medium reduced quantity of nitrogen by about 1/15 and reduced quantity of potasium by 1/2 significantly. The growth of the shoot which culturing on the medium reduced quantity of nitrogen with a B medium to do excessive was very poor, and excellence did quantity of nitrogen supply in the A medium reduced it by 2/3 to of a MS nutrient medium in the tuber formation, but did a low standard in the B medium reduced quantity by 1/15 to. A good result was obtained in the number of the, diameter, the length of shoot, fresh weight by the medium added 500 mg․L-1 CCC, in particular, a good result look come to have a long photoperiod treatment. The formation of tuber got better with the shorter day length, and for the influence of the CCC, it showed great effect in there medium added with the 500 mg․L-1 CCC. In the growth of a shoot by a position of node in mother stock for explant, the shoot length, fresh weight, diameter, and number of node as well as formation of tuber were more increased on the culture of a node of apex part than a node of low part. In the formation of tuber, it was fine under the short day length for culture of the node with a leaf attached at low temperature of 20℃, but it was recognized to promote the formation of tuber under long day length at high temperature of 28℃. Also, the tuber formation of potato did not take influence of temperature greatly on the culture of node without leaf under short daylength condition. Following the pre-cultivation on the MS medium added sucrose 8%, the culture(A) on the MS medium which added sucrose 8% and CCC 500 mg․L-1 in the darkness did excellence in the shoot length, the fresh weight, stem diameter and the node number than the culture(B) on the MS medium added sucrose 8% and CCC 500 mg․L-1 in the darkness in persistently, and in formation of the shoot, at least 7 days or longer of illumination for pre-cultivation was needed, and in the culturing without the illumination, the B processing did not form any shoot of potato even with the long term cultures of 80 days. However the growth of the tuber was better in the (B) processing than the (A) processing. And the one that did not process optimally for pre-treatment showed outstanding effect that the photoperiodic treatment should not be the essential requirement to promote the induction and growth of the tuber while the explant tissue condition that could not recognize the day length reaction under the condition of formulating tuber. Though the formation of a tuber was promoted at low temperature in a histologic change of an axillary bud part cell of a potato by culture temperature, the cell was able to observe that swelling grew than extension growth then. Swelling growth of tissue was able to observe apparentness in the darkness in a change by daylength and was more remarkable by addition of CCC. In addition, after culture of a node for 5 days , as for the morphological change, it was watched a clear phenomenon and was able to confirm a number and size of a parenchyma cell in pith, cortex and perimedullary tissue because it was increased, and the ratio of cell swelling seemed to be particularly bigger at the visual ratio of cell division according to a position in an organization in a cortex part from a pith part. For a change of the AGPase activity by Sucrose, CCC and photoperiod, the activity was higher at 8% than 3% of sucrose in the darkness and under any photoperiod conditions. The effect of CCC was identified in sucrose 3%, 8% each in the darkness and there was not the difference between two treatments. The effect of CCC was not showed in sucrose 3% under long daylength of 16 hours. As a result, because activity of time AGPase was high when the tuber formation was promoted by sucrose of high concentration, CCC, dark treatment, the fact that AGPase called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ubers and starch composition was able to confirm.

      • 교사효능감 및 부모자녀관계변인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황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Until now, researches for learning only consider learning results depend on individual character. Still, there are other factors affecting learning result, which is why more composite researches including social environment and learning process are needed. In this research,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to conduct a research about social environment including teacher and parent-relation,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ocess including learning strategy use.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each theory were as follows: 1. Parent-child relationship (social support, achievement pressure and perceptions about parents) can significantly predic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learning strateg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2.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can significantly predic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3.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can predice significantl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learning strareg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answers from 497 Y high school male students and their 6 mathematics teach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Measurements for teachers were collective self efficacy scales and teacher self efficacy scales, for students academic self efficacy scales, acievement Goals scales, learning strategy use scale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cales were used. Mathematics mid-term exam score was applied as a learning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ly 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mastery goals and academic achievement(r = .16, p < .05), performance-approach goals and academic achievement(r = .13, p < .05). However, mastery goals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were not a predictor for academic achievement. Among learning strategie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s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F(6, 445) = 15.38, p < .05). Second, there was multicollinearity betwee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elf efficacy,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didn’t have any effect on other valuables. Thus, collective teacher efficacy was eliminated. Teacher self-efficacy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except for performance-approach goals which weres predicted negatively (β = -1.12). Third, parent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er’s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esent researcher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eacher 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which are percepted to students. 지금까지 수행된 학습에 관한 연구들은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결과만을 고려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만이 학습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므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사회적 환경요인과 학습의 과정요인을 포함하는 보다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환경요인인 교사효능감과 부모자녀관계변인,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학습동기, 학습과정변인인 학습전략사용을 포함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효능감(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습전략사용 및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둘째, 부모자녀관계변인(부모의 사회적 지원, 성취압력, 부모에 대한 지각 변인)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습전략사용 및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Y남자고등학교 1학년 497명과 수학과목 담당교사 6명의 질문지에 대한 반응을 통계처리하였다. 교사대상의 연구도구로는 집단적 교사효능감검사와 개인적 교사효능감검사를 사용하였고, 학생대상의 연구도구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검사, 성취목표검사, 학습전략검사, 부모자녀관계검사를 사용하였고, 중간고사를 학업성취도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 중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만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성취목표 중에서 숙달목표(r = .16, p < .05) 및 수행접근목표(r = .13, p < .05)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관련성은 나타났으나,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아님이 나타났다. 학습전략중에서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F(6, 445) = 15.38, p < .05). 둘째, 교사효능감중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다중공선성을 보이고, 다른 변인들과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분석시 제거되었다. 또한 개인적 교사효능감 역시 수행접근목표를 부적으로 예측한다(β = -1.12)는 결과, F(1, 496) = 7.31, p < .05, 를 제외하고는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있어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님이 밝혀졌다. 셋째, 부모자녀관계변인과 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부모에 대해 느끼는 고마움, 죄송함, 존경, 친밀함과 부모의 사회적 지원이 다중공선성을 보였다. 따라서 다른 변인을 대표할 수 있는 부모의 사회적 지원만을 결과분석에 투입한 결과, 부모자녀관계변인은 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동기에 있어서 부모자녀관계변인은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에 대해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음이 나타났고, 학습동기변인중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었다. 부모자녀관계변인중에서 부모의 성취압력, 부모의 사회적 지원, 부모와의 갈등 모두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숙달목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고,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부모와의 갈등은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다. 학습전략에 있어서 부모자녀관계변인은 학생의 인지전략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모두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고, 그 중에서 인지전략을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부모의 성취압력, 부모의 사회적 지원, 부모와의 갈등은 모두 인지전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고,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부모와의 갈등은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부모자녀관계변인은 유의미한 예측변수임이 밝혀졌다. 그 중에서 부모의 성취압력과 부모와의 갈등만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는데, 학업성취도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나(β = .23), 부모와의 갈등과는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β = -.13).

      • 한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확산을 위한 실천적 방안 : 유네스코학교에 기초하여

        황혜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hink the problems which have acted as stumbling block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and try to find ways to solve these stumbling blocks. This Study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And this study analyze the cases studied conducted by ASPnet to use for planing and practic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it to Korean condit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background and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the fundament of this study. In Our Common Future, Sustainable Development was defined as 'developm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the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 and it become popular. Sustainable Development seeks the development in the capacity of Nature to maintain human's sustainable life instead of using thoughtlessly nature to fill the convenience and greed of human. The aim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that education of a high quality is given to all people. And it seeks education that aims at the society reform. Second, in Korea, many efforts for correcting understanding and spread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been made at government level, aspect of school, and by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etc. as well as a scholarly approach through theses and academic essay.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spread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the insufficiency of the conception and confusion, the preponderance of programs, the inefficiency of the opera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approach etc. Third, UNESCO and ASPnet practice many activities for the spread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look at the activities related to things acting as obstacles will be suggested good examples to planning program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right at the conditions of Korea. The Sustainable Island "SISCOALIA" in Portugal and 'Gardening as a mean to diminish poverty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Tanzania' suggest good example at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ion. Also ASPnet has practiced various program in the field of environment, economy, society. And they published books of good practice like First Collection of Good Practices for Quality Education, Second Collection of Good Practi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gional Collection of Good Practice. This study asserted tha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we need several practical plans. And the suggestions are following: First, considering he best way to correctly understand and spread is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who practi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expansion of Network where people can share informations about it is the first consideration. Second, a government agency is needed to support the activiti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be the central point of them. Government must form the correct philosophy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strong will like Germany and England. Third, some separate budget must be earmarked to support equ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in the whole area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th, with financial support, the training of right people who practice the works relat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needed. Because the subjects dealt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inclusive, manpower pool which consists of the experts on the area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needed to be formed. And the plan to put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is tried to find in the field of school. Lastly, the case stud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to be done to be used as the best examples for the plan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key words : Sustainable Development, Ecu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 ASPnet

      • 여성혐오에 결집하는 온라인 연대 : 유튜버 '갓건배 저격 사건'을 둘러싼 갈등과 연대에 대한 젠더 정치학적 의미 고찰

        황혜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튜버 ‘갓건배 저격사건’을 둘러싸고 형성된 여성 연대와 남성 연대를 통해 온라인상에서의 젠더 담론을 알아보고자 했다. 개인 방송 플랫폼에서 게임 방송을 진행하는 유튜버 갓건배는 게임상에서 만나게 되는 불특정 다수의 남성들에게 혐오적 발화를 일삼는 등 ‘선 시비’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남성들은 갓건배가 무고한 한국 남성을 비하하는 남성 혐오자라고 주장하며 집단적으로 갓건배를 저격하기 시작한다. 남성 유튜버들을 필두로 시작된 ‘갓건배 저격’에 갓건배가 맞대응하며 해당 사건은 젠더 갈등으로 번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갓건배 저격사건’에서 갓건배와 남성들이 서로를 공격하기 위해 온라인상에 게재한 영상들을 바탕으로 해당 갈등이 젠더 간의 갈등으로 조명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또 이 과정에서 여성과 남성은 어떤 방식으로 연대를 형성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사건의 주요 쟁점이었던 ‘갓건배는 남성 혐오자인가’에 대한 논란들은 실제로 갓건배가 남성들을 향해 무차별적으로 혐오 발화를 수행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갓건배는 대표적으로 한국 남성의 성기를 비하하는 등의 성적 발화를 통해 남성성의 신화를 붕괴하고자 시도했다. 그러나 갓건배가 한국 남성들에게 하는 혐오적 발화는 여성혐오와 같은 맥락에서 수행된 것이 아니라, ‘여성혐오를 혐오’하기 위한 일종의 미러링 스피치 전략이었다. 한편, 갓건배는 여성혐오적 발화를 하지 않은 남성 유저들에게도 혐오적 발화를 일삼는 ‘선 시비’를 걸곤 했다. 미러링 스피치가 여성혐오라는 원본 혐오발언을 ‘언급(mention)’했다면 선 시비는 원본없이 직접적으로 혐오발언을 ‘사용(use)’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남성 혐오적 발화로 표현되는 선 시비는 여성혐오라는 원본 발언이 존재하지는 않았지만 여성혐오 발화의 형식을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혐오발언의 ‘사용’을 통해 젠더 비대칭성을 전시한다. 갓건배의 남성 혐오적 발화가 지니는 정치성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은 여전히 갓건배를 ‘남혐론자’라고 규탄하며 분노했다. 이에 남성들은 남성 유튜버를 필두로 갓건배를 공격하기 위한 연대를 형성하게 된다. 갓건배 저격사건의 핵심적 가담자들은 갓건배를 직접 살해하겠다며 추격전을 펼치는 등 급진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출했다. 한편, 온건적 반응을 보인 남성들은 갓건배가 불필요한 혐오논란을 조장한다는 것에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여성들의 경우는 갓건배의 공격적 발화에 열광했다. 여성들은 ‘한남 패기’로 대표되는 갓건배의 남성 혐오적 수행들을 시청하며 통쾌함을 느끼는가 하면, 자신이 여성이기에 겪었던 여성혐오적 피해사실들을 폭로하기에 이르렀다. 여성들은 여성혐오에 대한 ‘고발적 서사’를 공유하며 연대감을 강화하고, 갓건배와 함께 ‘한남 패기’에 동참하고 있었다. 즉, 갓건배를 필두로 여성들은 남성성의 권위에 도전하며 해당 사건에 가담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비단 갓건배 방송의 시청자들 뿐 아니라 여성주의 커뮤니티의 회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오늘날의 주류 페미니즘 진영이라 할 수 있는 급진적 페미니스트로서의 넷 페미니스트로 구분할 수 있다. 여성들은 저격사건에서 지속적으로 후원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본 사건을 후원 액수를 통해 승패를 결정지을 수 있는 ‘게임’으로 치환한다. 남성 유튜버들과 비교해 갓건배의 후원 금액이 월등히 높았다는 점을 들어, 여성들은 본 사건을 ‘여성들의 승리’로 간주하고 있었다. 즉, 여성들은 ‘혐오의 게임화’를 통해 남성들에게 저항하고자 한 것이고, 이 과정에서 후원금은 여성들을 대표한 갓건배의 공격력을 강화시키는 수단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의 젠더 담론은 ‘미투운동’과 ‘혜화역 시위’ 등을 거치며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젠더 지형의 변화는 대부분 급진적 페미니즘 진영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데, 갓건배 저격사건 또한 ‘메갈리아 세대’로 대표되는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추동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의들을 종합한다면, 갓건배 저격사건은 남성중심적인 젠더 담론과 이를 기반으로 형성된 여성혐오적 문화에 대한 여성들의 저항이자, 여성들의 반란적 발화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사건에 남성들 또한 연대를 형성하며 여성들의 반란적 발화에 저항하고자 했고, 이것은 단순히 남성성의 위기에서만 기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은 남성성에 대한 논의가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져야한다는 필요성을 상기시킨다. 종합한다면, 급변하는 젠더 담론 속에서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주체들이 어떻게 연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을 이끌어냈다는 점에 갓건배 저격사건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서울특별시 병설 유치원 에듀케어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황혜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re management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perceived by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 attached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teachers and 3-5 year olds children by searching for the guideline of high quality Eud-Care.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atus of Edu-Care operation in kindergarten? Second, What is the teacher's awareness of Edu-Care operation? Third, What are the Edu-Car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at teachers recogniz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nal analysis of questionnaires totaling 231, which are 61 in operation and 170 in teacher awareness.; 192 teachers who were 64 out of 166 Edu-Care of public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in Seoul.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du-Care and the study of Lee, Yoon-jung (2006), the researchers used questionnaires prepared by modifying and editing some ite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23.0 for research questions 1 and 2, and the responses described for research question 3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First, Edu-Care was mostly 2 classes and 16 ~ 20 children per class composed of mixed age in the afternoon after regular curriculum. Children from dual-income families are priority when children were recruited, and Edu-Care were operated from 07:00 to 20:00 during the semester and vacation in the year-round, and resumed on Saturday in consideration of kindergarten condition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lan were discussed by two teachers of Edu-Care,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basic lifestyle and personality education", "emotional stability and rest". Mos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free choice activities', and most of them refereed to the internet homepage when planning contents of education. The connection with home was done by interview and telephone consultation. Edu-Care classrooms were mostly used in conjunction with regular curriculum classes. In the kindergarten facilities and equipment (outdoor), the area of exercise, the playground, the sand and the water area were secured. In the room (indoor), the overall indoor facilities and fixtures needed for Edu-Care operation were secured. In general, safety management is well done. In the semester, provision of lunch and snack was mainly 'morning snack · lunch · afternoon snack', and lunches in vacation were provided by cook or a day laborer who prepared food. The nap time was mainly operated, but only one circle secured the sleeping room. The health care of infants was mainly done by Edu-Care teachers, and hygienic management such as food and snacks, drinking water management, and classrooms were kept up. When Edu-Care teachers apply, the qualification that they possessed was '1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Edu-Care 3 ~ 4 weeks, 2 shift work was the most, and the average working time was 40 hours per week. Edu-Care teachers conduct class supervision once a year, and their most important task evaluation standard was the attitude of job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Edu-Care operation in the kindergarten, most of Edu-Care teachers' motivation for applying Edu-Care teachers is 'educational official staff', and only 31 ~ 35 years old · unmarried · 1 ~ 3 years experienc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as University graduation and Edu-Care teachers had mostly certificate for '2 level kindergarten teacher'. The necessity of Edu-Care operation is to help the children of dual-income families, 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recognized that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and resting" is the most important. Edu-Care teachers response that 11-15 students per class and a single age group were the most proper. On weekdays and Saturdays, teachers thought that the hours should be flexible to reflect the needs of the parents. In order to secure dedicated teacher, two main teachers wanted to work in two shifts a day. Edu- Care teachers wanted to be selected as a characteristic program in the order of "nature friendly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Parent education was necessary to support the role of parents once a semester. During the vacation, the plan for meal and snack should be supported by the cook who employed, and although teacher recognized the necessary of nap time, they thought the time should be operated flexibly. The biggest problem in Edu-Care 's operation was the excessive workload during the vacation, and the teacher's difficulties were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lack of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create a pleasant education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equipment (outdoor) to be equipped or complemented firstly were followed by 'exercise area', 'sandy water play area', and 'indoor room' followed by 'sleep room', 'play room' and 'health room'. In early morning and late afternoon work, teachers' safety operation was a problem. In health, nutrition and hygiene management, there were difficulties in planning of meal and snack and recruitment of cooks. The most urgent improvement for Edu-Care teachers 'working conditions was the increase in salaries, and the support of assistant staff in vacation. In order to the improvement for the Edu-Care operation to be further expanded and implemented, improvement of Edu-Care teachers' labor condition was the most necessary Third, the problems of Edu-Care recognized by the teachers were the prejudice of Edu-Care teachers, the confusion of Edu-Care teacher 's role, the lack of Edu-Care' s exclusive classroom, problems due to heavy work during vacation, teachers 'safety problems according to shift time and teachers' low wages. Improvement measures included improving the awareness level of Edu-Care teachers, separating the clear work of Edu-Care between the regular curriculum class and Edu-Care, expanding training programs and training programs for Edu-Care, securing Edu-Care workforce support during vacation, providing Edu-Car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ecuring teachers' safety, and improving teacher's labor condition.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공립 병설 유치원의 에듀케어 운영실태 및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 및 만 3-5세 유아를 위한 질 높은 에듀케어 운영 방향을 모색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병설 유치원 에듀케어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병설 유치원 에듀케어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교사가 인식하는 에듀케어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공립 병설 유치원 에듀케어 166개 중 64개원과 에듀케어 교사 192명이며, 운영실태 61부, 교사의 인식 170부로 총 231부의 질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에듀케어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윤정(2006)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일부 문항을 수정 및 첨삭하여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계전용 프로그램인 SPSS 23을 이용하여 연구 문제 ‘1번’ ‘2번’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연구 문제 ‘3번’은 교사의 인식 설문지 20번 기술형 문항의 대해 질적 자료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설 유치원 에듀케어는 대다수 2학급이었고 교육과정 활동 후, 오후 에듀 혼합연령으로 한 학급수는 16~20명이었다. 맞벌이 가정의 유아를 우선 모집하였고, 연중무휴로 학기·방학 중 07:00~20:00으로 운영되며 토요일은 유치원 여건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교육내용 계획은 에듀케어 담임 2인 교사가 함께 협의하고, 교육 내용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기본생활습관‧인성교육’ ‘정서적 안정‧휴식제공’이었다. 주로 하고 있는 교육활동은 ‘자유선택활동’이었고, 교육내용 계획시 인터넷 홈페이지를 가장 많이 참고하며, 정규 교육과정 운영 교사와의 연계 방법은 구두로 전달하고, 가정과의 연계는 면담과 전화 상담으로 이루어졌다. 에듀케어 교실은 교육과정반과 함께 사용 하는 원이 많았다. 유치원에 가지고 있는 시설 및 비품(실외)를 보면, 운동영역, 운동장, 모래‧물놀이영역이 확보가 되었으며, (실내)에서는 에듀케어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실내 시설과 비품을 확보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안전관리가 잘 이루어져 있고, 학기 중 급‧간식 제공은 주로 ‘오전간식‧점심‧오후간식’이었으며, 방학 중 급식제공은 유치원에서 조리사 또는 일용직원을 채용하여 준비한다는 원이 대다수 였다. 낮잠시간은 주로 운영되었으나, 수면실을 확보한 원은 단 1곳뿐이었다. 유아들의 건강관리는 주로 에듀케어 강사가 하였으며, 급‧간식 용품, 식수관리, 교실등 위생관리를 철처히 하고 있었다. 에듀케어 강사 지원시 가장 많이 소지한 자격은 ‘유치원 정교사 1급’이었다. 에듀케어 3~4주동안 2교대근무가 가장 많았고, 평균 근무시간은 주 40시간이 대체적으로 잘 지켜지고 있었다. 에듀케어는 연 1회 수업장학을 하고,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업무 평가 기준은 직무수행태도였다. 둘째, 병설 유치원 에듀케어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대해 알아본 결과, 에듀케어 교사 지원동기는 ‘교육공무직원’이라는 점과 만 31~35세·미혼·1년 이상~3년 미만 경력이 대다수였다. 최종학력은 4년제 대학 졸업, 유치원정교사2급 자격을 가장 많이 소지했다. 에듀케어 운영의 필요성으로는 맞벌이 가정 자녀 양육을 돕기 위해서이며, 교육내용은 ‘정서적 안정‧휴식 제공’이 제일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에듀케어 강사가 생각하는 적정 유아수는 11-15명이며, 단일 연령학급을 선호하였다. 평일과 토요일 운영시간은 학부모의 요구 등을 반영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정교사 2명이 1일 2교대로 전담 교직원 배치를 해야 하며, 특색 프로그램으로 선정 하고 싶은 것은 ‘자연친화‧체험교육’ ‘인성교육’의 순이었다. 부모교육은 학기당 1회로 부모의 역할 수행 지원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고 하였다. 방학 중 급‧간식 계획은 채용된 조리사가 지원해야 하고 유아들의 낮잠은 필요하지만, 융통성있게 운영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에듀케어 운영시 가장 큰 문제점은 방학 중 과한 업무량이였으며, 교사의 어려움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수업자료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가장 먼저 구비‧보완해야 하는 시설 및 비품(실외)에는 ‘운동영역’ ‘모래‧물놀이 영역’ 순이었고, (실내)는 ‘수면실’ ‘유희실’ ‘보건실’순이었다.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 근무에 따른 교사의 안전운영이 문제점이며, 건강‧영양‧위생 운영에서는 에듀케어 급‧간식표 계획과 조리사 채용의 어려움이 있었다. 에듀케어 교사 근무여건을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급여인상과 방학 중 보조 인력 지원이었고 에듀케어 운영이 더욱 확대‧실시 되려면 에듀케어 교사의 처우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교사가 인식하는 에듀케어의 문제점은 에듀케어 강사의 대한 선입견, 에듀케어 강사 역할의 혼란, 에듀케어의 전용 교실 부족, 방학 중 과중한 업무에 따른 문제, 운영시간에 따른 교육운영의 어려움, 교대근무 시간에 따른 교사의 안전 문제, 교사의 낮은 임금이 있었다. 개선 방안은 에듀케어 강사의 대한 인식 수준 향상, 교육과정과 에듀케어의 명확한 업무분리, 에듀케어 전용 시설‧교육 프로그램‧교사연수 확대, 방학 중 에듀케어 인력지원 확보, 에듀케어 교육운영 행‧재정적 지원, 교대근무에 따른 교사 안전 대책 확충, 교사의 처우 개선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