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반복 측정 자료를 이용한 장애인 우울에 대한 분석

        홍혜선,허집,Hong, Haesun,Huh, Jib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5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한국의 장애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들을 찾는 연구들은 조사된 장애인별로 반복 측정된 자료임에도 대부분 그들 자료들이 독립이라는 가정 하에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년마다 반복 측정된 한국복지패널의 장애인 관련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장애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반복 측정의 효과를 포함하는 선형혼합모형으로 분석한다. 각 장애인별로 얻어진 반복 측정 자료들의 종속성에 적절한 상관행렬을 고려하고, 회귀계수인 고정효과 뿐만 아니라 각 장애인별 특성을 반영하는 임의효과를 포함시켜 장애인 우울에 유의한 변수들을 찾고 최종모형을 구한다. 고정효과만 고려한 모형으로부터 얻어진 잔차들은 각 장애인별 잔차들의 평균이 0 근처에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임의효과를 포함하고 있는 최종모형의 잔차들의 잔차도와 분위수대조도를 제시하여 최종모형은 각 장애인별 잔차들의 평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Most previous works to study for the depression of the disabilities in Korea have analyzed the repeated measured data of each individual under the mutually independent assumption. In this study, Korea Welfare Panel data of the disabilities surveyed additionally every three years are analyzed to detect the significant exploratory variables by the linear mixed models. A suitable correlation matrix is considered for the dependency of repeated measurement of each individual. The random effec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as well as the fixed effect is included in the fitted linear mixed model. By the residual plot of the fixed effect model, the problem that the averages of residuals of each individual do not seem to be around zero is described. Further, the residual plot and the Q-Q plot coming from the selected final model are shown that the problem is modified well.

      • KCI등재

        점프크기추정량에 의한 수정된 로그잔차를 이용한 불연속 로그분산함수의 추정

        홍혜선,허집,Hong, Hyeseon,Huh, Jib 한국통계학회 2017 응용통계연구 Vol.30 No.2

        Due to the nonnegativity of variance, most of nonparametric estimations of discontinuous variance function have used the Nadaraya-Watson estimation with residuals. By the modification of Chen et al. (2009) and Yu and Jones (2004), Huh (2014, 2016a) proposed the estimators of the log-variance function instead of the variance function using the local linear estimator which has no boundary effect. Huh (2016b) estimated the variance function using the adjusted squared residuals by the estimated jump size in the discontinuous variance fun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stimator of the discontinuous log-variance function using the local linear estimator with the adjusted log-squared residuals by the estimated jump size of log-variance function like Huh (2016b). The numerical work demonstrat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simulated and real examples. 분산함수가 불연속점을 가지는 경우, 대부분의 비모수적 함수 추정 연구에서 분산함수가 음수 값을 갖지 않기에 잔차제곱을 이용한 Nadaraya-Watson 추정량인 국소상수항추정량을 이용하였다. 한편, Huh (2014, 2016a)는 Chen 등 (2009)과 Yu와 Jones (2004)의 연구를 바탕으로 불연속 분산함수를 로그 변환한 로그분산함수를 추정 대상으로 삼아 잔차제곱이나 로그잔차제곱으로 경계점 문제를 가지지 않는 국소선형추정량을 이용하여 비모수적으로 추정하였다. Huh (2016b)는 불연속점에서 점프크기추정량을 활용하여 잔차제곱을 분산함수가 연속인 회귀모형에서 얻어진 잔차제곱인 것처럼 수정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불연속 분산함수의 추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불연속 로그분산함수의 점프크기추정량을 이용하여 로그잔차제곱을 수정하고 불연속 로그분산함수를 국소선형추정량을 이용하여 추정하고자 한다. 제안된 추정량의 우수성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Chen 등 (2009)의 로그분산함수 추정량을 이용한 Huh (2014)의 불연속 로그분산함수 추정량과 비교하고 실제자료에 적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주관적 안녕감이 치료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홍혜선,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치료적 유대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사이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음악치료전공 석사이상의 치료사 103명을 대상으로 치료적 유대감, 주관적 안녕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일반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치료적 유대감 수준과 주관적 안녕감 수준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주관적 안녕감과 치료적 유대감, 적응적 전략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 전략과 주관적 안녕감, 치료적 유대감사이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안녕감은 치료적 유대감, 적응적 전략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반면, 부적응적 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 전략은 치료적 유대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적응적 전략은 치료적 유대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주관적 안녕감과 치료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usic therapists and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bond, and to se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subjects were 103 therapists who obtained a masters or a higher degree in music therapy, and we measured therapeutic bond, subjective well-being,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rapeutic bond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ubjective well-being, therapeutic bond, and adaptive strategies, wherea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maladaptive strategie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rapeutic bond. Third, subjective well-be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rapeutic bond and adaptive strategies, whereas it negatively influenced maladaptive strategies. In addition, adaptive strateg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rapeutic bond, whereas maladaptive strategie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herapeutic bond. Fourth,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rapeutic bond formation.

      • KCI등재

        헤겔의 ‘낭만적 예술형식’에 나타난 세속화 이후 근대예술

        홍혜선 ( Hong Hyeseon ) 한국미학회 2020 美學 Vol.86 No.1

        헤겔은 기독교 발흥 이후의 예술을 ‘낭만적 예술형식’으로 규정하고, 이 예술형식이 ‘내적 주관성의 원리’를 갖는 것으로 서술한다. 헤겔의 ‘낭만적 예술형식’의 긴 역사 속에서 예술은 심오한 종교적 내용과 형언할 수 없는 한 인간의 심정을 예술의 대상으로 삼았고, 헤겔 자신의 시대에 해당하는 마지막 국면에서 예술가의 내면세계가 예술생산의 전경에 등장하기에 이른다. 근대의 ‘세속화’를 계기로 무한한 자유, 절대적 자기확신의 권리를 자각한 근대적 주체로서의 예술가는 ‘비어 있음’[tabula rasa]으로써 타자를 향해 ‘열려 있는’ 주관을 통해, 모든 ‘특수한’ 내용들을 끊임없이 새롭게 해석하고 새로운 형식을 ‘재창출’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예술적 형상화에 도달한다. 사상과 반성의 시대, 예술제작의 규범과 예술적 형상화에 대한 공동체의 승인을 상실하고 얻은 자유는 불안과 당혹감을 주지만, 예술가는 자신의 반성과 사유를 통해 형상화의 타당성을 스스로 판정하고자 분투한다. ‘예술의 자명성 상실’은 예술이 ‘무엇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부터 ‘예술이란 무엇인가’까지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지는 계기가 되었고,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는 ‘자기성찰’ 과정에서 예술은 구체적 현존재가 아닌 대상까지 형상화하는, 표현 가능성의 무한한 확장을 경험한다. Hegel defines art after the rise of Christianity as the “romantic form of art”, and describes this form of art as having “the principle of inner subjectivity.” In the long history of Hegel's “romantic form of art,” art was based on profound religious contents and indescribable feelings, and in the last phase of Hegel's own time, the artist's inner world came up to the foreground of art production. In the wake of modern “secularization”, an artist as the modern subject who is aware of the rights of infinite freedom and absolute self-confidence, constantly interprets all the “particular” contents through the “open” subjectivity as “tabula rasa” toward the others and “reinvents” a new form, reaching artistic formation in various ways. In the epoch of thoughts and reflection, the freedom gained resulted from the loss of the norm of artistic production and community's approval of artistic formation, brings anxiety and embarrassment to the artist, however, the artist simultaneously struggle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formation through one’s reflection and thoughts. “The loss of self-evidence of art” has been an opportunity for art to continuously ask questions from “how to express”, to “what is art,” and in the “self-reflection” process of asking and answering to oneself, art experiences the infinite expansion of expressive possibilities to form even the non concrete existence objects.

      • KCI등재

        헤겔의 ‘화해’ 규정을 통해 본 근대예술 : 장르화에서 객관적 유머까지

        홍혜선 ( Hong Hyeseon ) 한국미학회 2021 美學 Vol.87 No.2

        헤겔의 ‘낭만적 예술형식’에는 근대적 주관성의 역사와 나란히 근대적 예술현상이 서술되어 있어서, 이탈리아 회화에서 꽃피운 찬란한 기독교 예술이나 근대인의 심정을 탁월하게 묘사한 불후의 문학 작품을 만날 수 있다. 헤겔은 근대적 삶과 의식에 만연한 모순으로 인해 세계가 현실성과 분리되어 추상화되었다고 진단하고 철학의 과제를 현실과의 화해로 제시하였으며, 예술 또한 이러한 화해를 외적 실존을 통해 현시하는 소명을 갖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우선 이 화해는 네덜란드 장르화에서 고단한 삶의 한가운데에서 누리는 만족과 기쁨으로 표현되었다. 그런데 낭만적 예술의 끝자락인 19세기 전환기의 독일 예술에는 의미내용을 상실하고 적절한 표현형식을 찾지 못한 지리멸렬한 현상들이 나타난다. 천재적인 많은 예술가들이 기존의 규정성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힘과 재능으로 자신이 속해 있는 현실을 면밀히 관찰함으로써 이제는 완연히 예술의 소재가 된 일상적인 것에 관심을 기울였으나, 지나가버린 시간에 대한 무한한 동경이나 예술 대상과 완전히 분리된 주관적 유머에 머무는 식으로 아직은 화해를 표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객관적 유머에서 보잘 것 없는 사물에서도 생명력을 발견하고 일상적인 활동까지 향유하는 정신의 깊은 움직임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공허한 동경과 자의적인 주관성이 지양된다. 마침내 ‘보편적 인간성’이라는 새로운 의미내용과 예술가의 자유로운 내면은 화해에 도달하였고, 헤겔은 이러한 화해의 현시로서의 정신적 아름다움을 괴테의 『서동시집』에서 목격하였다. In Hegel's ‘Romantic Form of Art’, modern art phenomena are described alongside with the history of modern subjectivity, so one can encounter the brilliant Christian art that blossomed in Italian paintings and immortal literatures that outstandingly portray the heart of modern people. Hegel diagnosed that the world was separated from reality and abstracted due to the contradictions prevalent in modern life and consciousness, and presented reconciliation with reality as the task of philosophy. Art was also identified as having a vocation to manifest this reconciliation through external existence. In Dutch genre painting This reconciliation was expressed in contentment and joy savored amid life hardships. However, at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when this form of art were on the verge, there was a disastrous phenomena in German art that have lost their subject matter and failed to find an appropriate expression form. Many genius artists had been paying attention to everyday life that by then completely had become the material of art by closely observing the reality to which they belong, with the power and talent to destroy existing regulations and to create new things. Nevertheless, they have not yet been able to express reconciliation, as staying in the subjective humor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art object or the infinite longing for the time passed away. However, from objective humor the deep movement of the mind to discover the vitality in even insignificant objects and to savor everyday lives were occurred, and through this the empty longing and capricious subjectivity are sublated. Eventually, the new subject matter of universal humanity and the free interior of the artist had reached to reconciliation, and Hegel witnessed the spiritual beauty as a representation of this reconciliation in Goethe's West-östlicher Div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