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사진에 있어서 부정감정의 표현과 관람자의 수용 유형에 관한 연구

        홍찬석,박성민,임아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예술작품을 통해 유발된 부정감정을 추출하고 이를 분류하여 예술작품에 나타난 부정감정의 가치를 고찰하고, 관람자가 이를 어떻게 수용하는지 살펴 본 것이다. 예술에서 부정감정은 중요한 표현영역을 구축하고 있지만,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예술작품의 표현에 나타난 부정감정 표현을 15개 추출하고, 이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어떤 유형의 부정감정이 관람자에게 수용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정감정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중A형("혼란스럽다", "우울하다", "고통스럽다", "불편하다"), B형("외롭다", "초조함이 생긴다", "좌절감을 느낀다", "의구심이 생긴다"), D형("슬프다", "놀랍다", "공포스럽다") 등은 관람자에게 수용되지만, C형("역겹다", "짜증난다", "회의감이 든다", "걱정스럽다")는 수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용되는 부정감정도 수용자의 가치 중 "심미성"과 "독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미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부정감정은 B형("외롭다", "초조함이 생긴다", "좌절감을 느낀다")와 D형("의구심이 생긴다", "슬프다", "놀랍다", "공포스럽다")이며, 부(-)의 영향을 주는 부정감정은 C형("역겹다", "짜증난다", "회의감이 든다", "걱정스럽다") 이다. 독특성 형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부정감정은 A형("혼란스럽다", "우울하다", "고통스럽다", "불편하다")으로 탐색되었다. Generally, one pursuits positive emotions but avoids negative emotions. So most of studies of emotion have been paid attention to positive emotions. However, in the art, negative emotion is very significant. Some artists evoke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ir own works of art, it has been highly acclaimed. Especially, photograph evokes negative emotional response more than positive emotional response. Despite of negative emotional response, spectators can accept it like artistic value. But all negative emotions are not being recognised as an important artistic expression. So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in what way spectators feel and accept negative emotion. For this aim, we classify negative emotion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ator"s acceptance and type of negative emotion focused on the photography. The results of empirical are as follows. it was possible to roughly classify the types of negative emotions into A.B.C and D. The type of negative emotions "A" embraces such sentiment as being confused, depressed, painful, and uncomfortable, while "B" feels lonely, nervous, frustrated, and doubt. "C" feels disgusting, annoyed, skeptical and anxious, "D" conveys sense of be sad, shocking and feared. The type of negative emotions "A" has affects uniqueness. The type of negative emotions "b" and "D" affect esthetics, but the type of negative emotions "C" affects esthetics negatively(-).

      • KCI등재

        Enhancement of the Photoluminescence of Porous Silicon by Sputter Deposition of Semitransparent Metal Films

        홍찬석,김호형,김현우,이종무 대한금속·재료학회 2010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16 No.2

        Optoelectronic devices based on porous silicon (PS) undergo substantial degradation in luminescence with aging due to atmospheric oxidation. The passivation of PS has been reported with a transparent conducting material or a semi-transparent metal. In this paper, we report enhancement of the photoluminescence (PL)of PS by the passivation of PS with ultrathin metal films such as silver (Ag), aluminum (Al), and gold (Au). It has been found that Ag and Au are respectively most and least effective in enhancing the PL of PS among those three different metals. The highest PL enhancing effect of Ag is mostly attributed to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of Ag, whereas the lowest PL enhancing effect of Au is due to the lowest optical transmittance of Au. The details of the PL enhancing effect of metal passivation are discussed with the aid of FTIR analysis results.

      • KCI등재후보

        동화책 캐릭터에 있어서 어린이의 감성요인과 색채선호도 추출에 관한 연구

        홍찬석,김현민 한국기초조형학회 2003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1

        동화책은 어린이의 성장과정에 있어 사물의 형태에 새로운 개념과 현실 세계의 지식과 경험을 쌓는 중요한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은 동화책을 어떠한 감성으로 이해하고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동화책의.구성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량화3류 (Quantificatlon theory type 3)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6개의 아이템과 16개의 카테고리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인자분석 (Factor Analysis)은 어린이의 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9개의 형용사를 사용하였다. 어린이의 컬러 실험은 인자분석의 결과에 의해서 실시 되었으며. 실험방법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색, 직접 그린 그림, 동화책 캐릭터의 색을 비교하였다. 논문의 결론은 첫번째, 동화책의 분류를 통하여 공통된 요소, 동화책의 경향을 알수 있었다 두번째, 동화책 캐릭터에 대한 어린이의 감성이 평가되었다. 세번째, 동화책 캐릭터와 칼라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An assimilation book acts role of important intermediate that accumulate new concept and actuality world knowledge and experience in form of things in child's growth process. Children studied if understand an assimilation book by some sensitivity in this research. Method of study used Quantification theory type 3 quantity Tuesday to recognize component of an assimilation book. Analysis used making 16 Category with 6 Item and Factor Analysis used 19 adjectives to evaluate child's sensitivity. Experiment method compared color, direction picture that paint, color of assimilation book character that children like. Child's a color experiment carried out by result of factor analysis. Conclusion of treatise is first, could know common element, tendency of an assimilation book through classification of an assimilation book. Second, child's sensitivity about assimilation book character was evaluated. Third, could know effect that assimilation book character and collar get to child.

      • KCI등재

        형용사 추출을 통해 본 선(線)의 표현 효과 분석 -선(線)을 이용한 추상 사진 중심으로-

        홍찬석 ( Chan Seock Hong ),박성민 ( Sung Min Park ),임아영 ( Ah Young L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시각예술인 사진에 있어 인간의 감정 표현을 자극하는 요소 중에 하나인 선(線)의 역할에 대한 실증 연구이다. 선은 사진이나 디자인에서 모든 형태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에 하나로, 의미전달과 감정표현을 자극하며, 그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작품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구체적인 선에 대한 표현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선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추상 이미지 사진에서 선이 주는 표현 의미를 형용사를 통해 분석했다. 본 연구는 1차 사전 조사를 통해 선만으로 형성된 이미지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느끼고 있는 9가지 형용사(안정적인, 밝은, 정돈된, 조화로운, 자유로운, 좋아하는, 우울한, 차가운, 복잡한)를 추출하였고, 직선, 곡선, 불규칙적 반복, 규칙적 반복 등으로 형성화된 5장의 이미지와 이미 추출된 9가지 형용사와의 매칭 정도를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 이미지의 경우, 직선이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면 관람자는 차가우면서도 복잡한 감정을 느낀다. 그러나 직선이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반복되면 좋아하는, 정돈된, 밝은 감정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선의 경우에는 차갑고, 복잡하며, 우울한 느낌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곡선의 경우, 불규칙적하면 복잡하지만 자유로운 느낌을 받고, 규칙적으로 반복되면 정돈되고 안정된 느낌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ine`s expression effect and meaning in abstract photograph through extraction of adjective. Line is one of important expression elements in visual art and it causes spectator`s emotional response and expresses diverse meanings. So we explored relationship lines and spectator`s emotional response using adjective. To achieve the goal of study, firstly, we selected 5 images based on abstract photograph by using lines. Secondly, we extracted 9 adjectives through pre-test: stable, bright, tidy, harmonious, free, favorite, gloomy, cold, complicated. Lastly, after presenting abstract photograph by using diverse lines(straight line, curved line, oblique line)repeated regularly(vs irregularly), we explored relationship lines and spectator`s emotional response through matching own dominant emotion with extracted 9 adjectives. The results as follows. Straight line(repeated regularly) makes favorite, tidy, and bright impression. Straight line(repeated irregularly) makes cold, and complicated impression. Oblique line(repeated irregularly) makes gloomy, cold and complicated impression. Curved line(repeated regularly) makes stable and tidy impression. Curved line(repeated irregularly) makes complicated and free impression.

      • KCI등재

        예술작품에 있어서 관람자의 감정과 가치 평가와의 관계 연구

        홍찬석 ( Chan Seock Hong ),박성민 ( Sung Min Park ),임아영 ( Ah Young L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관람자 관점에서, 그로테스크한 사진을 통해 유발되는 관람자의 소비감정과 예술에 대한 가치평가 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로테스크한 사진 이미지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첫째, 현대 예술에 많이 등장하고 있는 그로테스크의 예술적 가치를 탐색하고, 둘째, 순수예술영역에서 관람자의 감정반응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면서, 마지막으로, 부정적 감정과 예술적 가치 차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로테스크한 사진 이미지에 대해 관람자들은 일반적으로 ``걱정스럽다``, ``기분 나쁘다``, ``당황스럽다``, ``두렵다``, ``부담스럽다``, ``불쾌하다``, ``불편하다``, ``싫다``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강하게 나타냈으나, 긍정적 감정으로는 유일하게 ``놀랍다``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객이 평가하는 그로테스크한 사진에 대한 예술적 가치를 심미성, 독특성, 고귀성, 여성성 등의 4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관람자들은 독특성 가치를 가장 높게 평가했다. 그리고 심미성차원 항목 중 ``세련되었다, 감각적이다, 심미적이다`` 등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 반응 보임으로써, 그로테스크가 부정적 감정을 유발함에도 불구하고 예술로서 가치가 있음이 실증되었다. 따라서 그로테스크와 같이 예술가의 부정적인 감정표현도 예술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음이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mphasizes on viewer`s emotional response and explores the artistic value on grotesque through viewer`s response. The emotional response is being recognised as an important source of evaluation of the visual art. The artistic value is being evaluated and completed by interaction of viewer and the work of art. So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er`s emotional response and artistic value through grotesque photograp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grotesque photograph evokes negative emotional response more than positive response. Viewers have experienced negative emotion such as ``be anxious``, ``be repellent``, ``be baffling``, ``be fearful``. ``be burdened``, ``be discomfort``, ``be displeasure``, ``dislike`` through grotesque image. However, positive response is only ``be astonishing``. Secondly, despite of strong negative emotional response, viewers can feel artistic value through grotesque image. Especially, among artistic value dimensions(esthetics, uniqueness, noble, femininity), uniqueness has received a favorable evaluation as artistic value of grotesque photograph. And some of components of the Aesthetic dimension are evaluated positively(stylish, sensual, tasteful). Lastly, generally, positive emotional response affects on positive evaluation and attitud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cause negative evaluation. However, In visual art, negative emotional response is signig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