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분석

        홍예람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증가하면서 장기요양서비스 성과 향상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요양서비스 성과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공감능력의 제고 노력은 제한적인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장기요양서비스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증진 방안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우리나라 장기요양서비스 성과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 제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장기요양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사회복지사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분석 가능한139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남성이 48명(34.5%), 여성이 91명(65.5%)이었고 평균연령은 만 46.04세(SD=11.14)로 나타났다. 서울에 위치한 장기요양기관은 35개(25.2%), 경기에 위치한 장기요양기관은 104개(74.8%)였으며, 장기요양기관 규모는 20-29인 시설이 49개(35.3%), 50인 이상 시설이 31개(22.3%), 40-49인 시설이 23개(16.5%)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이 장기요양서비스와 관련하여 근무한 총 기간을 보면 평균 3년 6개월(SD=36.08)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전문성 수준, 장기요양서비스 성과 수준, 공감능력 수준을 파악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전문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전문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장기요양서비스 성과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4.35(SD=.53)이며, 이용자의 부당대우를 받지 않을 권리에 대한 문항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M=4.60, SD=.621).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수준은 1점에서 5점까지의 5점 Likert척도로 측정한 결과, 평균4.02(SD=.65)이며 사회복지 전문지식과 기술습득을 위한 노력에 대한 문항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M=4.22, SD=.796). 사회복지사의 공감능력 수준은 4.29(SD=.48)이며 이용자의 신뢰성에 대한 문항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M=4.65, SD=.574). 둘째,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종속변수인 장기요양서비스 성과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사회복지사의 공감능력, 근무기간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고,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은 연령, 근무기간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통제변수인 근무기간은 연령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졌다. 셋째,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능력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감능력은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상호작용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감능력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장기요양서비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만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인 성별, 연령, 근속기간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기요양서비스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공감능력이 각각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장기요양기관에 입소해있는 입소자들에게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공감능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입장에서 살펴본 실질적인 연구로서 장기요양서비스 성과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증진 방안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With the growing number of long-term care service users, there is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improving its achievements, but limited efforts are made to increase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and empathy for its higher achievements.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effects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at a long-term care institution on the achievements of long-term care service and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 providing plans to promote their professionalism for its higher achievements and implications for their higher empathy and using the findings as social welfare policy materials to enhance the achievements of long-term care service in the nation. In an effort to test a research model,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146 social workers that worked at a long-term care institution for six months or longe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nalyzed 139 analyzable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include 48(34.5%) men and 91(65.5%) women, and their mean age was 46.04 years(SD=11.14). There were 35(25.2%) and 104(74.8%) long-term care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respectively. As for the size of a long-term care institution, 49(35.3%), 31(22.3%), and 23(16.5%) had a capacity of 20-29, 50 or more, and 40-49 people. As for the respondents' total years of long-term care service scored mean 4.35(SD=.53) points.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4.0 program in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professionalism level of the respondents, achievement level of long-term care service, and level of empathy; second, it tested the effects of their professionalism on the achievements of long-term care service; and third, it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 on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ir professionalism and long-term care service achievements.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scored mean 4.35(SD=.53) points out of five on the achievement level of long-term care service, recording the highest level in right to no unfair treatment(M=4.60, SD=.621). The professionalism level of the social workers was measur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from one to five points. They scored mean 4.02(SD=.65) points, recording the highest level in efforts to acquire social welfare expertise and skills(M=4.22, SD=.796). They scored 4.29(SD=.48) points on empathy, recording the highest level in trust by users(M=4.65, SD=.574). Secondly, the study examined correlations among the major variables and found that long-term care service achievements, a dependent variabl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empathy, and years of service. Their professionalism, an independent variabl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ge and years of service. In addition, their years of service, a control variabl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ge.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on long-term care service achievements at a long-term care institution and found that their professionalis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long-term care service achievements. It then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 on the impacts of their professionalism on long-term care service achievements and found that empathy had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s with the interactive term having no significant effects. That is, empathy had no moder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on long-term care service achievements and only direct main effects on them. Furthermore, gender, age, and years of service, control variables,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achievements. These findings imply that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and empath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improvement of long-term care service achievements and that the reinforcement of empathy, which plays the biggest role for inmates at a long-term care institution, is the most important. As a practical study conducted in the position of social workers at a long-term care institution, the study will provide basic ground data for 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enhanced professionalism and empathy to improve long-term care service achie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