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홍순권 ( Soon Kw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최근 학계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글로칼적인`` 세계화의 중요한 특징은 교류의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지역단위 또는 개별 생산단위 주체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확대된다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자립``과 ``지역과 지역간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차원 수평적 관계의 새로운 공동체간 관계의 형성이라는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다. 오늘날 글로컬리즘에 대한 관심의 고조 현상은 세계화에 대응한 지역(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도 조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지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산업화의 관점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은 ``글로컬리즘`` 시대에 걸맞은 지역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로컬리즘에 의한 지역문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글로컬리제이젼을 문화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면, ``글로컬리즘``이란 인간적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화가 생산되는 공동체로서의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개념이 된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동시에 자국적인[지역적인] 공간``이 ``글로벌-로컬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의 발전이 바로 ``글로컬리즘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 공간을 해석하는 문화이론이 곧 ``문화-글로컬리즘``이다. 지역문화는 중앙과의 관계 속에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생산과 소비, 그 양자를 매개하는 유통의 문화공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즉,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는 민족문화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자립화와 국제간 교류(세계화)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민족문화의 범주를 뛰어넘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도시문화의 실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도시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 또는 글로컬리즘 시대의 도시화, 즉 지역문화의 이상적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오늘날 도시문화의 특징적 현상인 이주문화, 다문화 또한 글로컬리즘의 해석이 요구되는 지역문화 연구의 주요한 과제이다. The concerns about the local culture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local autocracy system began in the early 1990s in Korea. As a reflection of such a phenomenon, the concept of the glocalization or glocalism has widely spreaded so far recently in the academical society of Korea. The ``glocalization`` is a newly-coined word which was combined with both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means that the today`s world has inclination to develop both the glob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and contradicted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was used as a business terminology at least before 1990, but it is used now also as a cultural or sociological concept explaining the new phenomenon which happens between the regions(local communities) nowadays. The ``Hanlyu``(the spread of the Korean styles) is often incited as one of examples which support such a view. The glocalization does not mean the parallel phenomenon of both the globalizaion and localization. It expresses a will to make the new form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word, it could be translated into the inter-local re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 It is generalized more and more rapidly in a few decades. It is a cultural-social phenomenon internationally, bu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cutural imperialism. Today the great concern about the glocalism demands the new recognition on the local culture. That is, we have to study and interpretate the local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calism. Because the local culture is not the sub-culture subjective to the national or global culture, but it belongs to its independent category of the local culture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In short, the space of glocal cuture explained as a local space and a global space at same time. This explanation of cutural space, so-called ``the culture glocalism`` is supported by the culture theorist such as Ramond Williams and other theorists on cultural scienc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explain the glocal phenomenon of culture in the past pre-modern society as well as in modern or post-modern society. Through all the times the best example of the glocal cultural space is the city. As we know, the city has been and is now the symbolic spa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ill be good examples of the research if we want to study the urban culture as a local culture at this time from the view of the glocalism. So, I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culture, history, and the other social sciences about the 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more deeply the phenomenon of the cultural glocalism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
      • 무릎손상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한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전후 대퇴부의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홍순권(Soon-Kwon Hong),김성중(seong-jung Kim),심제명(Je-myeong S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손상을 당한 선수들에게 무릎 폄근과 무릎 굽힘 근에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 전후 허벅지의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10명의 무릎 부상을 가진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키네시오 테이핑은 넙다리네갈레근과 뒤넙다리근에 적용하여 전 후를 비교를 하였다. 등속성 근 기능은 무릎 폄과 굽힘을 측정하였다. 이에 연구 결과는 환측의 무릎 굽힘근 2가지 각속도에서 유의한 최대근력을 보였고 각속도 180도에서 무릎 폄근의 평균 파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그 외 다른 각속도에서의 무릎 굽힘근과 폄근의 근 기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건측에서 또한 대부분 근 기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이 명확한 근 기능을 향상 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지 않았으나 대부분 근기능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재활 치료시 보조적인 방법으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Football Athletes with knee Injury with and without the kinesio tape application onto skin surface overlying the Quadriceps and Hamstr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10 male Football Athletes whose muscle strength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kinesio taping was applied to muscle Quadriceps and Hamstring Maximal concentric knee extension and flexion at three angular velocitie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of affected sid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alue of flexion at the 120°/s, 180°/s(p<0.05)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verage Power of Extension at the 180°/s(p<0.05).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of non-affected sid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ree value at the 120°/s(p<0.05). but almost of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other value. almost of results of the study was increased Value at 60 120 180°/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ue. So kinesio taping therapy was not main therapy for muscle function of football Athletes with injury but there was assisted them

      • KCI등재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신문사(新聞史) 연구(硏究)의 현상(現狀)과 향후(向後)의 과제(課題) -식민지 일본인 경영의 신문 연구의 진척을 위한 제언-

        홍순권 ( Soon Kw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2

        1880년대 이후 근대 문명의 전파자로 자임하면서 민중을 계몽하는 첨병 역할을 해왔던 한국 언론은 을사늑약 이후 큰 시련을 겪게 되었다. 특히 강제병합 직후 1910년대는 그동안 한국 언론의 암흑기로 규정되어 왔고, 1920년대 이후에도 일제는 한국인의 언론에 대한 통제와 감시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그동안 한국의 근대언론사를 민족운동사의 일환으로 간주하여 한국인 발행의 민간지를 중심으로 기술해 온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반면에, 일제시기 일본인들의 언론 활동이 활발하였음에 불구하고 이에 국내외 학계의 연구가 매우 일천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일제 강점하 일본인 경영 신문에 대한 연구는 왜 필요하며, 또 어떠한 연구사적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먼저, 일제강점 하 일본인 경영신문 연구는 일제시기 언론정책의 총체성을 구명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지금까지 연구는 일제시기 언론 연구는 당시 언론 현상의 전반에 비추어 보면 조선인 발행 민간지 중심의 부분적인 연구에 지나지 않았다. 이제는 일제의 언론정책이 민족적으로 어떤 차별을 지녔는지, 그리고 그 효과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그 총체적 모습을 드러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식민권력의 식민지 언론에 대한 통제의 성격과 의미를 보다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일제시기 식민지 지방사회에서 전개된 언론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 일제시기 일문지는 주로 개항장 등 일인이 집주한 지방사회를 언론활동의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그 언론 활동은 식민지 지방사회의 운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식민지 지역사회에서 작동하는 언론의 식민주의적 메카니즘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일제시기 일문지 연구는 일제 식민사 연구를 위한 새로운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일제시기 각지에서 발행된 일문지는 일제시기 지방사회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사료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사료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일문지의 성격과 기능을 검토하는 것은 바로 그러한 사료 비판과 일맥상통한다. 넷째, 일문지 연구는 당시 언론과 지방 정치세력 상호간의 네트워크를 밝히는 데 중요한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지역언론은 지방세력의 유력한 일원이며, 그들의 세력관계는 지방권력의 역학관계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일제의 식민통치정책을 보다 역동적이고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도 일제 강점하 일본인 신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그것이 일제의 식민정책을 조선만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왜냐하면, 일제시기 일본인의 현지 언론활동은 식민지 조선 뿐 만 아니라, 대만과 만주를 비롯하여 일본인의 집단 이주지인 아시아 각지에서의 활동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더욱 잘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앞으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일제지배 식민지 일본인경영 신문에 관한 연구 방향이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앞으로의 일제강점기 한국신문사 연구는 내용적으로는 기존의 언론통제 나 민족주의적 저항 연구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독자층의 분석 등을 통해 언론의 기능과 성격을 다층적으로 파악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동시에 연구 대상도 확대하여 흔히 과거의 국문 민간지 중심의 연구에서 각 지방의 일문지 연구로 확대해 나아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The Korean press had been willing to play the role of the herald for the spread of the modern westernized civilization, enlightening the people since 1880s. Especially, the 1910s has been called the dark times of the Korean press history, while the press published by Koreans were suppressed by Japanese rulers until 1945. From this point of view, it could be justified to describe nationalistically the press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we can find out the few researches about the press by Japanese in Korea during the same times, although there were so many Japanese newspapers in those days. Why should we have concern about the Japanese pres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at meanings do they have in the press history of Korea? (1)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m in order to examine the totality of the press policy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Korea and in order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colonial powers. It also mean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half-research`` focused on the Koreans`` press until now. (2)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m in order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press in local societies of colonial Korea. Because many Japanese newspaper companies were scattered in main local cities, for example, Busan, Pyongyang, Kusan, and other local cities, of course including Seoul. (3) The research for the Japanese press in Korea will be a basement for the new study on the colonial history. The Japanese newspapers possess great value as the historical materials as far as they concern abou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4) We can take advantage of the Japanese newspapers of those days in order to examine the mutual networks between the press and local powers under the colonial rule. Futhermore, with the research for the Japanese press in the colonial times, we can find the possibility of the collaborated research for the Japanese colonialism in East Asia. Because we remember that the Japanese press in the Japanese colonial area had the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powers and the Japanese imperialism as well.

      • KCI등재

        (기획논문) 부마민주항쟁의 연구 현황과 과제

        홍순권 ( Soon Kwon Hong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1 항도부산 Vol.27 No.-

        이 글은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이 유신독재체제를 무너뜨리는 기폭제가 된 1979년 부마민주항쟁에 관한 지난 30년간 연구 성과를 분석한 것이다. 부마민주항쟁은 유신체제 하에서 일어난 가장 강력한 반독재민주화 투쟁이었으며, 지역사적으로 볼 때도 4월 혁명 이후 부산지역에서 일어난 가장 충격적인 정치적 사건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부마항쟁기념일이 가까워지면 부마민주항쟁이 왜 역사적으로 온당한 평가받지 못하는가에 대한 자성과 함께 부마민주항쟁을 학술적으로 연구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재평가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그동안 부마민주항쟁에 관한 연구들이 부산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최근 10여 년 동안 부마항쟁 연구는 종전에 비해 양적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처럼 부마민주항쟁에 관한 연구가 증가한 것은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인한 민주화의 성취 이후 1998년의 정권 교체와 2003년의 재집권 등 국내 정치적 환경의 변화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성과의 축적이 양적으로는 물론이고 질적으로도 한국 민주운동사에 있어서 부마민주항쟁의 올바른 위상을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또 부마민주항쟁 연구의 파급 효과로 1970년대 한국정치사를 비롯하여 현대 부산지역의 사회사, 노동운동사 연구에 대한 관심이 또한 높아진 점도 그 부수적인 의의로 지적할 수 있다. 예컨대, 근래 들어 부쩍 높아진 1970년대 부산지역 노동자의 실태 연구나 노동운동에 대한 연구 열기도 사실상 부마민주항쟁 연구의 활성화와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초기 단계에서는 부산과 마산지역에 있는 지역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부마민주항쟁에 관한 연구들은 1987년 이후 한국 사회의 정치적 변화를 반영하면서 점차 서울을 비롯한 외부 지역 연구자들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인식도 1979년 부마민주항쟁 당시의 지역사적 수준의 관심을 넘어서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이나 5.18광주민중항쟁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더욱 심화되었다. 이제 부마민주항쟁 연구는 민주운동사적인 의의와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1980년대 이래 지역내 정치지형의 변화, 시민운동 조직과 정치의식의 발전 등에 관한 연구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마민주항쟁의 연구를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남아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해 왔던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기억투쟁을 어떻게 할 것인가도 그러한 연구과제의 하나이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은 부마민주항재의 핵심적 정신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와 함께 그것을 어떻게 계승하고 발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더 많은 토론을 요구한다. 또 부마민주항쟁이 오늘날 부산과 마산지역 주민들에게 미친 정신적 영향을 평가하는것도 부마민주항쟁의 지역 내 위상과 관련하여 그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반추해보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이밖에 새로운 증언의 수집, 여전히 정리되지 못한 관변자료에 대한 정리와 분석 등이 여전히 부마민주항쟁 연구의 질적 심화를 위한 선행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미루어 볼 때 이제 부마민주항쟁 연구는 오늘날 한국의 민주주의의 특성과 발전에 대한 비전를 염두에 두고 그 연구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 그것은 시대의 변화에 다라 부마민주항쟁에 대한 연구 경향이 끝임 없이 변화해 왔다는 사실로부터 도출된 당위적 결론이다. Over thirty years has passed since the historic Pusan~Masn Uprising occurred in October, 1979. Immediately after the Uprising, the Yusin dictatorial regime collapsed with the assassination of President Park. Many researches on it have been produced since then, because it heavily affected the following democratic movements in Korea, especially in the 1980s. Most of all, the researches increased rapidly for the recent 10 years. The growth of researches and concerns on the historic uprisings were due to such a series of domestic political changes as the June Demoratic Uprising in 1987, the transfer of political power in 1998, and the return to democratic power in 2003 etc. The research achievements contributed much to putting the Pusan~Masan Uprising into the right position in terms of the democratic movement history in Korea. The concerns on the social~historical localities of two cities, Pusan and Masan increased as their ripple effects. For example, such recent researches on the workers of 1970s in Pusan and Masan are actually related to the research activities on the Pusan~Masa Uprising. The earlier researches on the Pusan~Masan Uprising were produced mainly by the local scholars who were living or working in Pusan or Masan, but gradually the other scholars who were living in Seoul or any other provinces began to be concerned about the problems of the Pusan~Masan Uprising in 1979. Through this course, the category of the themes on the Pusan~Masan Uprising has been enlarged from the problems of the locality to the problem of the comparision with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in 1980 or the Jun Democratic Uprising in 1987. Now, these research activities produce an effect on some scholars who are studying the history of Democracy in the 1980s and after then, including the themes such as the political changes in local society, the progress of NGO, and the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etc. Nevertheless, there remain many research tasks to understand the deeper historical meanings of the Uprising in 1979. One of them is to fine out the method how we should exercise the struggle for remembr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to discuss more often what is the core ideas of the Pusan~Masan Uprising, and how to preserve them. To evaluate what is the idealogical influences that the Pusan~Masan Uprising brought on citizens living in both Pusan and Masan is necessary to ruminate upon its meaning from a local perspective. Futhermore we have to investigate and analyse many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In short, what does the Pusan~Masan Uprising in 1979 mean to us? The answer is a self~queation about how we understand the nowaday``s democracy in Korea. The ability to understand its historical meaning depends on the present level of the development of local democracy. The answer for the future research tasks on the Pusan~Masan Uprising could be found out just from such a self~queastion on the Korean democracy itself.

      • KCI등재

        논문 : 한말 일본군의 의병 진압과 친일세력의 역할 -순검,일진회원,밀정 등의 "토벌대" 참여 분석을 중심으로-

        홍순권 ( Soon-kwon Hong ) 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논집 Vol.58 No.-

        As soon as the struggle of the Korean patriotic militia, so-called ``Righteous Armies``(Ui-byoung, 義兵) was resumed before and after the breakout of Russia-Japan War in 1904, Japanese Empire began to suppress them. Japan established the ``Residency-General`` (Tonggam-bu, 統監府) in 1906 after Japan took the diplomatic sovereignty of Korea by force in 1905. Futhermore, soon after Japan disorganized the Korean Army, they began to slaughter Ui-byoungs including the old Korean Government soldiers. Numberless Ui-byongs were killed by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Korea,. In order to subdue them Japan dispatched to Korea the strong armies which well trained and well armed with the modern weapons. On the other side, the Ui-byongs were not well trained and armed with old and primitive weapons such as matchlocks or lances. The great sacrifices of Ui-byouung was originated from such a differential of combat strength between the two. But that was not the only reason. Then What were the another reassons? The so called ``punutive troop`` was composed of Japanese soldiers and M.P.s including Korean police men, Iljinhoe members, spies, and other bribed Japanophiles. The suppressive facilities such as garrisons, M.P.s, and polices divided their works ; the garrison took over the directive agression against Ui-byoungs, M.P.s and police gather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Ui-byoungs which enabled the garrison to move instantly when they find out them. Iljinhoe members, spies, and other bribed Japanophiles played important roles in helping the military operations of Japanese``punutive troops`` to slaughter the Ui-byoungs. They informed Japanese garrisons or ``punitive troops`` of the movements of Ui-byoungs, and guided them to the places where the Ui-byoungs gathered together or took shelter. Futhermore they also joined battles together with Japanese troops. They endeavored to search out the Ui-byoungs who hided themselves, helping Japanese troops eliminate Japanese troops by all means. The Japanese army in Korea continued to develop the military operations in order to eliminate Korean resitants, Ui-byoungs, since 1906. 17,779 Korean people or more than that number were killed by Japanese forces until 1911. Such a massacre could happen, partly by the strength of Japanese forces armed with modern and suprior weapons, and partly by the cooperation of Korean Japanophiles. These Japanophiles were complicit with Japanese army who committed ``Massacre crime against Ui-byoungs``.

      • SCOPUSKCI등재

        신경 피부 멜라닌증이 동반된 거대 선천성 멜라닌세포 모반

        홍순권 ( Soon Kwon Hong ),황성환 ( Sung Hwan Hwang ),강미선 ( Mi Seon Kang ),이영석 ( Young Seok Lee ),서종근 ( Jong Keun Seo ),김효진 ( Hyo Jin Kim ),이드보라 ( Deborah Lee ),성호석 ( Ho Suk Sung ) 대한피부과학회 2013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1 No.5

        Congenital melanocytic nevi (CMN) are benign pigmented lesions that are defined as a tissue malformation of the neuroectoderm. Giant melanocytic nevi with multifocal involvement show significantly greater risk of developing malignant melanomas and neurocutaneous melanocytosis, particularly those in a posterior axial location. Neurocutaneous melanosis is a rare, congenital, non-inherited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large, multiple congenital melanocytic nevi with proliferation of melanocyt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symptomatic neurocutaneous melanosis can be detectable only by MRI. The patients who have clinical manifestations have an extremely poor prognosis. We present a patient with giant congenital melanocytic nevi involving a major portion of the back with multiple satellite nevi scattered over the whole body associated with asymptomatic neurocutaneous melanosi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maging study for detection of early neurological symptoms or melanoma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giant congenital melanocytic nevi associated with asymptomatic neurocutaneous melanosis in Korean dermatologic literatures.

      • 한국전쟁 전후 김해지역 민간인학살의 실태와 성격

        홍순권(Hong Soon-Kwon),배병욱(Bae Byoung-Wook)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2008 제노사이드연구 Vol.4 No.-

        The region of Kimhae-kun which was located in the south-ea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belongs to the area which was not occupied by the army of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People in this so-called unoccupied region had the experiences which were different from people in the other occupied regions during the wa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ar victims and explain why and how they should be killed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the fieldwork including the interviews with the bereaved. According to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OK(TRC) built on the 1st of December 2005, the 79 victims in Kimhae and its vicinity during the Korean War were registrated by around 73 bereaved families. This number is far from the real number of the victims compared with the number known until now. It is said generally in the academic world that there were at least 800 victims killed in Kimhae and its vicinity during the war. TRC presented the 2007 project for the investigations of civilian massacres during the war in Kimhae and its vicinity. We entered into this project with members of Suk-dang Academy Institute of Donga Universty for 5 months from July till December of the year. This article is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report of 2007 investigation on the civilian massacre in Kimhae and its vicinity during the Korean War. It shows demographic information on the 173 interviewees and the 283 victims, the reasons for killi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violence. As a result of that investigation we estimated the number of victims from 848 to 858 victims. Among them, there were 8 teenagers and 3 women, and the rest were almost men in the prime of their lives from 20s to 50s. The most of the people were killed by the name of the member of Kukmin-bodoyonmang or pro-communists, but there were also many people who were sacrificed to the simple private revenge. Even some people did not know why the should be killed. These kind of ‘red-hunt’ policides were carried out by the police or soldiers including the member of CIC, or local right wings. The political topography of the Kimhae region was extremely changed after the war. Newly emerged right wings became the new ruling class of the local society under the prevalence of anti-communism. The bereaved of victims have kept silence unwillingly and could not help enduring the psychological pains and political-social damages. To explain what it means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 should be one of our unevitable tasks soon or later.

      • 2015년 한일‘위안부’ 협상과 부산지역 시민사회의 대응 ― 평화의 소녀상 건립 운동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역사·문학관 건립 운동에 관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홍순권(Hong Soon Kwon) 동서대학교(동아시아연구원) 2023 동아시아와 시민 Vol.3 No.-

        2015년 12월 한일 양국 정부가 합의한 ‘일본군 위안부 협상안’에 대해 한국 시민사회는 크게 반발하였다. 피해자와 시민단체들은 양국 정부의 합의 내용이 피해자의 의사와 배치될 뿐만 아니라 과거사 청산의 올바른 해법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였다. 동시에 시민사회는 이러한 합의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위안부 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그 가운데 주목되는 것이 부산에서 일어난 ‘평화의 소녀상 건립 운동’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역사‧문학관 건립 운동’이었다. 부산대학교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청년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추진한 소녀상 건립 운동은 운동 주체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대중적인 지지와 후원에 힘입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 운동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부산지역 대학 내의 학생회 조직과 시민운동단체인 ‘겨레하나’라는 대중적이며 활동적인 기성 조직을 활용하여 일반 시민들과의 접촉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대할 수 있었던 데 있었다. 반면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역사‧문학관 건립 운동은 지식인과 문화예술인들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초창기에는 시민사회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으나, 조직적 활동가의 부족과 운동 경험의 부족으로 운동을 시민사회 내부로 확장해나가는 데는 큰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사실상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다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에 대한 고민과 관심을 대중적으로 확산하려 했던 노력은 부산지역 시민운동의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2016년~2017년 기간 부산지역에서 일어난 ‘평화의 소녀상 건립 운동’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역사·문학관 건립 운동’은 기본적으로 이전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축적된 부산의 시민운동 역량을 바탕으로 전개된 ‘위안부 운동’이자 ‘과거사 청산 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운동의 전개 과정 자체가 부산지역 민주화운동의 역량을 상당 부분 반영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거사 청산 운동’은 여전히 진행형인 현재적 과제로서 오늘날 한국 민주주의의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Both of the campaig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statue and the campaign for building the ‘Comfort Women’ Museum happened at the same time in Busan after the Korea-Japan ‘Comfort Women’ agreement announced on December 28 in 2015. The two campaigns as the reaction of the Korea-Japan ‘Comfort Women’ agreement continued for about two years. This article examines the two campaigns in order to make clear their historical meanings as the citizens’ campaign in Busan community. This article analyzes them by the comparative method.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statue was planned by the student associations under the Universities in Busan and supported by the collage students and young generations in Busan. The campaign for building the ‘Comfort Women’ Museum was planed and promoted by the professors and artists or intellectuals in Busan. The campaig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statue was developed more popularly and systematically than the campaign for building the ‘Comfort Women’ Museum. As a result the campaig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statue achieved success and the girl of peace statue was established in the street near by Japanese Consulate General in Busan. But the campaign for building the ‘Comfort Women’ Museum did not come true, because its promotion groups failed in fund raising for building the museum. I expect this article will show you the fact that the two campaigns are very meaningful and important themes about Korean Democracy or the past history arrangement in the East Asia which was in proces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