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수업비평 연구의 양상 탐색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class criticism studies, and elucidate their task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on class criticism in social studies of Korea.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category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studies on class criticism have been focused on the general concept and importance of class criticism rather tha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tudies class. Second, analytical studies and studies on application of class criticism mentioned it as enabled the categorization of criticism through the class criticism cases of teachers, and a way to enhance class specialty. Third, studies on method class criticism provided theory and practice about various perspectives of class criticism in social studies. Fourth, studies on writing class criticism provided readers with the method and perspective of critical writing in social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class criticism in social studies, various perspectives and expression methods that can express classes should be studied and provided rather than emphasizing the form of criticism and the policy.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비평과 관련한 연구물을 추적‧분류‧분석하여 사회과수업과 관련한 비평연구의 양상을 탐색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유형 및 관련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비평 이론과 관련한 연구는 사회과수업과 관련된 논의보다는 일반적인 수업비평의 개념과 중요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이러한 수업비평의 개념과 방식을 사회과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비평 분석 및 활용과 관련한 연구는 사회과 수업비평 사례를 통하여 비평의 유형을 확인하거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보다 많은 수업비평 사례를 확보하여 비평과 수업의 관계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업비평 방법과 관련한 연구는 사회과 수업비평의 방식을 다양한 비평 이론과 실제를 통하여 보여준다. 앞으로 이 연구를 사회과 수업비평과 담론에 응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업비평 글쓰기와 관련한 연구는 사회과수업에 대한 특정 연구자의 체험을 토대로 시도되고 있다. 사회과 수업비평과 관련한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비평의 형식과 제도보다는 수업을 표현하고 기술하는 다양한 방식의 비평이 확산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특정 연구자 중심의 비평에서 벗어나 수업 전문가의 다양한 비평적 글쓰기가 연구․전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의 내러티브 가치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1

        In this paper, I studies on the value of narrative in social studies. Narrative is a word which includes both story and discourse forms. Namely, narrative is a process of making meanings in relation to a phenomenon or an event to be told, and means process of communicating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by means of a story. Until now, narrative has been used merely as a material at the level of a story diminishing its valu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re has been no argument over attributes of narrative as well. However, it’s very important to change the way we understand the narrative in modern society. Narrative is being used as a code of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objects or phenomena in society at large. Narrativ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is content to infer social phenomena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a teaching method to provide consistency of contents and structure of instruction. In addition, narrative can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various social communication processes.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ims to foster humans who recognized phenomena in critical thinking, humans who are equipped with empathy and considerations of others, and humans who reflect on themselves and understand society. Narrative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this purpose and at the same time, it assists in students’ self-building process. If we do not understand correctly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which investigate human beings and pay attention to social relationships, it’s impossible for us to appreciate social phenomena making humans as well. Now narrative should be studied along with good citizenship that the future society requires getting out of instrumental perspectives of teaching discussed at the level of simple interest and curiosity. Also, studying what narrative is used in what way is more desirable than anything else is of importance as well. 내러티브는 말이나 글 등으로 표현된 이야기와 그것에 화자의 감정이나 느낌을 담아 이끌어가는 담화, 두 가지 모두를 포함하는 말이다. 따라서 내러티브는 이야기하고자 하는 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의미화 과정이자, 화자와 청자가 이야기를 매개로 소통하는 과정 모두를 말한다. 지금까지 사회과교육에서는 내러티브를 스토리성격의 자료, 혹은 이야기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으로 치중하여 이해해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의 내러티브는 사물이나 현상, 그리고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코드로 중시되며 인간의 사회적 참여를 유도하는 소통의 전제가 되고 있다. 사회과교육은 사회현상을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인간, 타자에 대한 공감과 배려를 갖춘 인간, 자신의 생각을 성찰하고 사회를 개선하는 인간의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과교육에서의 내러티브는 사회현상에 대한 인식과 비판 능력을 제공하고, 타자를 공감하며 자신을 성찰하는 자기형성의 과정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사회과교육에서의 내러티브는 사회현상을 담보하는 내용임과 동시에, 그 내용을 일련의 과정으로 조직하고 담론화하는 방법이자 수업의 구조이다.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와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 주목하는 내러티브의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사회과교육의 본질과 접목한다면 인간이 만들어가는 사회현상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관점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사회과교육은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맥락적으로 이해하며 새로운 지식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내러티브의 가치를 인정함과 동시에 수업에서 내러티브가 어떻게 활용되고 조직화되는 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교과서에 나타난 도시 내용 분석 연구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8 사회과교육연구 Vol.25 No.4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contents about citie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finding their problems to help constructing textbook content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learning about cities. The citie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have been expressed as static spaces that emphasize their function and structure without containing the lives of people who live in and make the cities. Therefore, cities in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need to reproduc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s. First, the daily life in cities should be revealed so that cities need to be expressed as a familiar and memorable space. Second, these textbooks should contain the content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and shared nature of the urban space, which leads to the awareness of city's openness and intimacy and public sharing and responsibility. Third, these textbooks need to ensure an understanding that we have the right to make and change cities, and to motivate students to conceive an idea of new cities. Fourth, the purpose of learning about cities should be emphasized so that the traces and identity of cities are revealed. Learning about cities i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is related to thinking over and practicing the common sense and attitudes as citizens living in the city.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도시 내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찾아 도시를 배우는 의미와 관련한 도시교육의 내용구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도시는 도시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삶을 담지 못한 채 도시의 기능과 구조를 강조한 정태적 공간으로 표현되어 왔다. 이러한 도시 공간은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첫째, 도시의 일상성을 표현해야 한다. 도시의 일상성이란 거대한 아우라를 지닌 도시가 아닌, 도시 사람의 삶이 담긴 흔적과 이야기에 의미를 두는 것이다. 둘째, 도시의 공공성과 공유성을 표현해야 한다. 도시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복잡성과 편의성 이면에 개방적이고 친밀한 집단의 공간이자 즐기는 공유하는 모두의 공간이다. 셋째, 도시의 주체가 학습자 자신임을 표현해야 한다. 도시의 주인이란 도시를 변화시키고 만들어가는 권리를 지닌 것으로, 그것은 지금, 그리고 앞으로의 도시를 만들어가는 학습자의 책무임을 의미한다. 넷째, 도시를 배우는 이유를 담아야 한다. 도시를 배운다는 것은 시민으로서의 양식과 태도를 갖추고 도시 공간을 향유하는 사람으로 살아감을 말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도시 관련 내용을 배움으로써 도시를 즐기고 변화시키며 만들어가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다.

      • KCI등재

        문제해결학습과 탐구학습의 도입 수용기의 초등 사회과 경제교육내용의 변화 양상

        홍미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3 사회과교육 Vol.42 No.4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 교육의 성립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두 사조 즉, 경험중심교육사조와 학문중심교육사조가 한국 사회과 교과서와 학습 지도에 어떻게 반영되고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기존연구처럼 교육과정에 따른 경제교육 내용의 변천을 계량적으로 살피기보다는 두 가지 교육사조를 받아들여 국가주도로 제시된 교육과정이 어떻게 교과서에 반영되었는지, 그리고 실행의 주체에 서 있던 초등학교 교사는 이를 어떻게 변화 발전시키려고 노력하였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당시의 교과서와 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사회과 교육의 발전과 변화의 이면에 숨겨진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비정합성, 그리고 현장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당시 교사의 실천적 노력이 현재의 사회과 교육 전반에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사회과 교육사적 연구는 교육과정분석과 함께, 사회과 교육을 실천하고 변화시키는 교실 속 교사의 실천 모습을 통하여 새롭게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how the effect of learning by problem solving and the inquiry learning, which were introduced 'With two currents having a great impact o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in Korea--the current of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and that of learning-centered education, have been reflected and developed in Korean social studies and learning guidance. I placed the focus on how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the inquiry learning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urricular of education, which were proposed by the government, were reflected in textbooks an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the main body of practicing it tried to change and develop it, rather than on the contents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urriculum like the existing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then textbooks and the teaching-learning curriculum plans of teachers, the inconformity between the course and textbooks behind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all the efforts of teachers working in the actual field to implement the improvement were found. Moreover, these efforts of those days still have had an effect on the present social studies on the whole.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s making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tudy on the history of social studies in a new light through lots of teachers exerting themselves to practice and change the education of the subject, as well as to analyze the history of curriculum, for the future.

      • 초임교사의 소수자 수업이야기 탐색

        홍미화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5 사회과수업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초임교사의 사회과수업, 특히 한국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등장한 소수자 수업의 실천 과정과 난제를 탐색하여 초임교사에게 소수자 수업이 어떤 의미인가를 이해하 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교사 S의 수업 영상 및 전사자료, 동료교사와의 대화록과 성찰 일기 등 관련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임교사는 교과 서에 제시된 소수자의 유형에 주목하며, 학생의 흥미와 더불어 제한된 시간을 극복하는 수업 대안을 구상한다. 둘째, 초임교사의 소수자 수업은 누가 소수자인가를 넘어서서 왜 소수자를 가르치는 가에 주목한다. 셋째, 초임교사의 소수자 수업은 학습자의 삶을 통하여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도록 유도하는 민주시민교육이다. 넷 째, 초임교사는 소수자 수업이 인간에 대한 관심과 사회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교 육내용임을 인식한다. 이상에서 초임교사는 소수자 수업을 통하여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삶을 보여주는 전 과정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것은 학생의 공감과 사회참여를 유도하는 살아있는 지식을 가르치기 위한 노력의 과정이다. 초임교사의 수업이야기에는 소수자에 대한 학습자의 편견을 극복해가는 변화의 과정, 낯선 소수자를 익숙한 소수자로 만들어가는 수업의 어려움 등 교사와 학생의 고민과 성찰 과정이 나타난다. 초임교사 S의 소수자 수업은 자신과 타인이 공존하는 다문화적 삶의 의미를 유도한다.

      • KCI등재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사회과수업을 중심으로-

        홍미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1

        This study has an intention of understanding a practical knowledge of social studies teacher which is tacit, personal and whole, to approach it more delicately and theoretically. It can pu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to three aspects such as the content, orientation and structure.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subject matter knowledge, instruction knowledge, self knowledge and milieu of school knowledge- being found by social class are complexly represented or stand on the implicit basis. The orientation and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assume an aspect that can describe the tacit knowledge world of teacher and that can relatively clarify social class, respectively. Accordingly, social studies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a judgment of discretion that connect with theory and practice of social instruction. 이 글은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사회과 수업 현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기 위한 이론적 접근이다. 사회과 수업 현상에 대한 ‘이해’란 ‘사회과 수업이란 무엇인가?’ 라는 본질적 물음과 관계되며 이는 수업의 실행자인 교사 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필요로 한다. 사회과 수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곧 수업 실천 과정에서 드러나는 암묵적이고 총체적인 교사의 지식을 이해하는 데 있다고 보고,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수업에서 드러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과의 목표나 관련되는 개념 등 명시화할 수 있는 내용(content)의 양상뿐만 아니라, 내용의 전달과 함께 교사의 감각, 정서, 직관과 같은 암묵적인 지식 세계를 드러내는 정향(orientation) 및 실제 수업 활동에서 표현되는 규칙, 원리, 이미지 등을 나타내는 구조(structure)라는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세 양상은 수업과 교사의 지식을 정교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의 삶과 관계하는 총체적 개념이며, 이론과 실천의 가운데 있으면서 둘을 연결하는 사려 깊은 판단이다.

      • KCI등재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영향 미치는 요인

        홍미화,한수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부양자의 고령화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노인에 의한 노인돌봄에 참여한 노인들의 자아통합감에 영향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병원, 노인복지관과 복지센터에서 설문지에 응답하길 동의한 203명의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편의모집을 하였으며 2013년 5월 22일부터 8월 3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건강상태, 돌봄경험의 유무와 영적안녕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6.4%였다. 특히 노인의 노인돌봄 경험이 노인이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노인에 의한 노인돌봄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되며, 노인들이 노인을 돌볼 수 있도록 맞춤형 간호중재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positive perspective on taking care of the elderly an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assist elder people to live successful golden year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which explored the effects of factors on ego integrity of elder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is study selected senior citizens aged 65 or higher being local residents or living in general hospitals, senior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2 areas of Daejeon who all are capable of daily life and communications on their own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from May 22nd to August 30th, 2013, as subjects, and among them, the data of 203 people was used for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9.0 program. The health status, experience in the care of elderly and spiritual well-being explained 26.4% of ego integrity. Moreover, elder care experience revealed significant factor for ego integrity of elderly. With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necessity of participating opportunities should be expanded, and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care techniques.

      • KCI등재후보

        2007 개정 사회교과서 적용에 따른 초등 교사의 사회 수업 변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2

        The current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textbook and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by analyzing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ke use of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n classes. The teachers believe that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s not helpful to the way that makes learners arouse their interest while it reduces the burden of recognizing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thanks to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the teachers?teaching methods or viewpoints of the learners have not changed largely whereas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changed into the class of stressing on subject content knowledge. The teachers need to have an ability of using the textbook to critically analyze and make use of it being sensitive to its composition and forms. And the developer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 to study of understanding how the learners make use of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n classes.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 개발된 사회교과서를 어떻게 인지하고 이를 어떻게 수업에 활용하는 가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2007 개정 사회교과서가 초등 사회과수업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있으며, 이차적으로는 교과서 활용 방식과 사회과 수업 구성의 유의미성을 밝히고 사회교과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은 개정된 사회교과서의 단원 및 주제개관이 학습 내용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내용 인지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킨 반면, 과다한 활동지 형식을 본문에 도입하여 학생의 학습 흥미와 교사의 교수학습활동을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개정 사회교과서의 주제별 내용전개방식과 교사의 차시별 수업과정이 유사하여 학습차시 설정이나 차시별 동기유발의 의미 등 기본적인 수업전개의 혼란과 갈등을 가져오며, 교과서 서술방식 또한 학습자의 흥미나 수준, 사고력 측정 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사고 활동을 강조했던 기존의 사회 수업을 객관적 지식과 명료한 학습내용을 강조하는 수업, 학습내용과 활동을 정리·확인하는 수업, 차시 재구성을 필요로 하는 수업, 지적목표에 치중하는 수업으로 변화시켰다. 있다. 한편 교사들은 기존에 활용하던 교수 방법이나 전략, 사회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신념, 학습자의 흥미에 대한 배려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개정 교과서의 내용구성방식을 수용하려는 의지와 별개로 이전 수업의 교수학습방법이나 학습자관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교과서와 수업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교사들은 개정 사회교과서가 추구하는 사회과 수업을 인지하고 정확한 해석과 비판적 사고를 통하여 교과서를 새롭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회과교육 연구자들은 개정 사회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비판적 검토를 수용하고 나아가 새로운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사회과 경제수업 이미지에 대한 사례 연구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5 사회과교육연구 Vol.12 No.2

        This is a case study to underst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does not exist as an instrument for the attainment of a goal, but rather it is an holistic activity expressing a teachers valuation and judgment on the goals and contents of education simultaneously. Observing the objective teachers instruction of economy in social studies, I tries to express its phenomenon as image and principles. The instruction images appeared in the class observation and conversation with objective teacher can be described as 'the instruction learning from the life and applying to the life'. She has her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economy through the activity instruction focusing on cases in everyday life, and expects the results to be internalized in their living. For her,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is necessary not for teaching the concepts of economy, but for understanding various economic phenomena and people living in the society through those concepts. Her instruction images are embodied as the following instruction principles. First, it is good to adopt the activity instruction focusing on cases in everyday lif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economic phenomena. Third, the base of economy instruction is the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Fourth, it is important to internalize the acquired contents in living. Fifth,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use interesting plays and games. The instruction image is deeply related to the belief and values pursued by a teacher, and works as the standard for the decision of the goals and direction of instructio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should be understood with the world on the other side of teachers behavior.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사회과 수업 실천을 이해하고자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사회과 수업은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목적과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가치와 판단이 동시에 표현된 총체적 활동이다. 논자는 사례교사의 사회과 경제 영역의 수업을 관찰하고 그 현상을 이미지와 원리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수업참관 및 대화에서 나타난 사례교사의 사회과 경제 수업 이미지는 ‘삶에서 배우고 삶으로 적용하는 수업’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녀는 생활사례 중심의 활동식 수업을 통하여 경제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며, 그 결과가 생활에 내면화되기를 기대한다. 그녀에게 있어서 사회과 수업은 경제 개념을 가르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 아니라, 경제 개념을 통하여 사회의 다양한 경제 현상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사례교사의 수업이미지는 다음과 같은 수업 원리로 보다 구체화된다. 첫째, 생활사례중심의 활동식 수업이 좋다. 둘째, 경제 현상의 이해를 위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셋째, 경제수업의 기초는 기본 개념의 이해이다. 넷째, 배운 내용은 생활에서 내면화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흥미 있는 놀이와 게임을 구성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업 이미지는 교사가 추구하는 교육신념 및 가치와 관계가 깊으며, 수업의 목적과 방향을 결정하는 준거로 작용한다. 초등교사의 사회과 수업은 표면상 목표의 설정, 수업내용구성 및 자료 활용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이면에는 교사의 성향과 직관, 그리고 개인적인 실천 경험에 따른 수업 리듬과 패턴이 작용하고 있다. 사회과 수업은 교사의 행위 이면의 세계와 더불어 이해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