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환경 및 식물상

        현화자,송국만,김문홍,송관필,문명옥,송관필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3 No.4

        제주고사리삼은 제주도의 동북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일대는 상록활엽수림 및 관목림, 초지 등의 식생이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이들 지역에 독립적인 소택지 형태로 나타났다.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주변 보다 낮은 함몰구 형태로써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1과 112속 147종 총 1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피자식물이 136 분류군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 내의 식물상에 대한 생활형 분석 결과 주변의 식생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상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자생지환경의 보존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생지를 포함한 주변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보호구역 설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The distribution of the Mankyua chejuense was restricted to the northeast region of Jeju Island. It grows in the isolated pit crater-like swamp areas of various extent and shape, where the height is lower compared to the adjacent areas, and the adjacent regions contained a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 shrubbery, and a grassland vegetation. It contained 147 taxa of 61 families, 112 genera and 147 species in the habitats. The life form of the flora showed that the habitat of M. chejuense is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others, in particular, the ratio of the Therophytes and the Hydrophytes appeared highly. Preservation of habitat conditions is very important for stable maintenance the flora,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habitats has to be designated a protection area for habitat preservation.

      • KCI등재

        제주고사리삼의 자생지 유형 및 식생 특성

        현화자,문명옥,김문홍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abitat positional environment and vegetation properties of Mankyua chejuense. The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habitat, the ratio of rock exposure, the dominant species and the surrounding vegetation, which affected the vegetation of the habitats. The habitats with a high ratio of rock exposure showed a distinctive geographical boundary to the adjacent region and most of them were composed of trees that grow in humid environment. On the contrary, in the soil-rich habitats, the depth was shallow, soil layer was well developed, and the trees were introduced from the adjacent areas. However, the dominant species in the herbaceous layer were aquatic plants, which indicated that the habitats had the properties of wetlan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s habitats of Mankyua chejuense have the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marshland. For the preservation of Mankyua chejuense,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the habitats maintain such properties of wetland. 본 연구는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입지환경과 식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각 자생지들은 자생지의 깊이, 암석 노출 비율, 우점 수종, 주변식생 등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생지의 식생이 다르게 나타났다. 암석이 노출된 유형의 자생지는 인접 지역과의 지형적인 경계가 뚜렷하고, 대부분 습한 환경에 자라는 수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토양이 풍부한 유형의 자생지는 깊이가 얕고, 토양이 발달되어 있으며 주변에서 이입된 수목이 분포하였다. 하지만, 초본층은 대부분 수생식물이 우점하며 이는 자생지가 습지의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주고사리삼 자생지는 소택지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제주고사리삼의 보존을 위해서는 자생지가 이러한 습지의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의 생장 형태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

        현화자,문명옥,최형순,김찬수 한국자원식물학회 201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ttern of growth and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which belong to the Ophioglossaceae family. M. chejuense asexually reproduced using rhizomes, and a clone of the species grew up to 52 ㎝ based on root growth and new leaves was produced from rhizomes. The development of leaves were divided into four stages; leaf emergence-separation and growth of leaf-sporophyll maturation-senescence. Most leaves emerged in July and August with high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and most leaves reached full expansion during September-October and died during April-May next year. The life span of leave was 10 months, from July to April, and the start of leaf senescence varied depending on the habitat environment and this might result from micro environmental differences among the habitats.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잎은 10월까지 생장을 마치고 이후 성숙된 포자낭에서 포자가 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1월부터 잎의 노화가 시작되어 이듬해 2월이 되면 대부분의 포자엽과 영양엽이 노화되고 4월 이후에는 잎 전체가 시들어 없어졌다. 이와같이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육기간은 7월에서부터 이듬해 4월까지 10개월이었으며, 노화의 시기는 자생지 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자생지의 미세 환경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곶자왈 용어 정의를 위한 고찰

        최수정, 현화자,현화자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1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process and meaning of‘Gotjawal’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 addiation, the concept of 'Gotjawal' should be discussed for its comprehensive perspective including geology and ecology. Gotjawal began as the birth of Jeju Islands, the current landscape of Gotjawal has been made by human activity. However, the term 'Gotjawal' was expressed and defined recently. The term of‘Gotjawal’is conceptual meaning now and does not consider all characteristics of Gotjawal distributed in Jeju Island. Since people in Jeju Island have learned Gotjawal from their ancestors, it can be inferred how the Jeju people perceive and utilize Gotjawal through historical records.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or maps, the geographical knowledge of Gotjawal area and the change of the area can be confirm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 documents that Gotjawal is described, the forest called ‘Got’ and 'Jawal’ was renamed to 'Gotjawal'. since the term of Gotjawal is not systematically defined it can cause many problems in terms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us, the details of‘Gotjawal conservation ordinance’and regu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conserve and manage Gotjawal.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ecosystem service for estimating economic value of Gotjawal and to organize concepts for defining Gotjawal. 본 연구는 제주도와 관련된 문헌 검토를 통해 곶자왈이 정의되어진 과정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곶자왈’ 개념이 지질학, 생태학 분야를 포괄하여 통합적인 관점에서 정의되어야 함을 논의하고자 한다. 곶자왈은 제주도의 탄생과 같이 시작되었지만 인간의 활동에 의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하지만 ‘곶자왈’이라는 단어는 최근에서야 만들어지고 정의되었다. 현재 곶자왈의 정의는 추상적이다. 제주도에 존재하는 곶자왈 모든 세부적인 특성을 다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인들은 선조로부터 곶자왈에 대한 정보를 얻어 몸소 체득하였기 때문에 제주인들이 곶자왈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용하였는지는 그들이 남긴 기록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고문헌(古文獻)이나 고지도(古地圖)를 통해서 부분적으로 그 당시 곶자왈 지역의 지리적 개념과 곶자왈 지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곶자왈이 묘사되어 있는 4개의 문헌을 살펴본 결과,‘곶’과 ‘자왈’로 따로 불리어지던 숲이 ‘곶자왈’이라는 용어로 새롭게 이름 붙여졌다. 곶자왈의 정의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보전 및 관리에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곶자왈 보전 및 관리를 위해 ‘곶자왈 보전 조례’에 관리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관련 제도를 정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곶자왈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곶자왈의 생태계서비스 측면에 대한 연구와 곶자왈용어 정의를 위한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