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 프로그램 조직방법에 따른 미술관 공간체험 양상에 관한 연구 -렘 콜하스의 서울대 미술관과 카즈요 세지마의 21세기 미술관을 중심으로-

        현창용 ( Changyong 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건축 프로그램은 현대의 새로운 건축유형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현대의 건축가들이 건축 프로그램을 조직하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들은 각기 다른 공간 체험을 하게 된다는 의미와 상통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현대의 건축가들 중 프로그램을 해석하고 조직하는 방법에서 공통점과 더불어 확연한 관점의 차이를 보이는 대표적인 작가로 렘 콜하스(Rem Koolhaas)와 카즈요 세지마(Kazuyo Sejima)를 선정, 두 작가의 프로그램 조직방법과 그 결과인 공간구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움직임의 양상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우선 건축에서 프로그램이 가지는 의미와 필요성에 관해 이론적인 고찰을 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렘 콜하스와 카즈요 세지마의 건축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의 차이가 발생하는 배경을 고찰함으로서 두 건축가의 프로그램 조직방식을 비교한다. 두 작가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점의 차이와 그에 따른 공간구성의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그들의 대표적인 작품들에서 제시된 개념들을 되짚어 보았다.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두 건축가의 건축 프로그램 조직방법의 차이점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후, 두 작가의 작품 중 그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점을 가장 잘 반영하며 동시에 그에 따른 움직임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기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는 작품을 선정하여 두 작가의 프로그램 조직방법이 관람객의 움직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비교, 분석해 보도록 한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렘은 불확정적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하나의 연속적인 경로를 발생시킨다. 그 과정에서 관람객은 여정의 움직임을 경험하고 프로그램의 모호한 경계에서 미학적 움직임이 발생했다. 그에 반해 세지마는 다양한 행위가 가능한 무방향성의 불규칙한 프로그램 배열로 다방향성의 예측 불가능한 움직임을 유도한다. 둘째, 렘은 수직적 프로그램 조직을 통해 이동공간에서 관람객이 서로 수직적 조우를 하게끔 유도하나 세지마는 평면적 관계를 바탕으로 근대적 미로공간을 연출한다. 셋째, 렘은 들어 올린 프로그램과 대지 사이의 절개된 공간으로 사회공간과 소통하고자 하며 세지마는 건물과 가로라는 도시적 특성을 미술관 내부로 이식해 도심의 움직임 속성을 건축화 하려 하였다. (결론) 두 건축가의 작품에서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의 방법에 따라 관람객에 의해 발생되는 움직임의 양상과 그 미학적 가치도 다르게 관찰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렘 콜하스와 카즈요 세지마가 보여주고 있는 건축가 특유의 프로그램 해석법을 통해 일반적인 접근 방법과 공간의 위계를 한정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지속적으로 새로운 프로그램 조직방법에 의한 작업을 해 나가는 모습은 앞으로 현대건축이 지향해야 할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fining differences of spatial experiences according to architects way of setting architectural programs in museum layouts. Architectural program act as making new architectural typolog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t also means architects’ way of structuring architectural program makes different experience in architectural spaces. Based on these point of view, this study selects architects who do their works with new method of interpretation architectural program and analysis their museum projects’ plan. Addition, analysis spatial experiences in each projects and make point of comparison. Selected architects are Rem Koolhaas and Kazuyo Sejima (Method) To make purpose of this study, several analysis was demanded that as shown below. First, this study researches relevant theories about architectural program and spatial experiences. Through theoric studies, it was manifested that there are deep co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program and movement aspects. So this study assume that differences of programming make different movement and experiences. Addition, it was demanded that how different about architectural programming methods between Rem Koolhaas and Kazuyo Sejima in their general design works. To define aspects of spatial experiences in museum layouts of Rem and Sejima’s museum projects, their representative museum projects were chosen and those wer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and 21st contemporary museum as their representative museum project. In those two museum project, architectural programming expected to make some influences visitor’s spatial experience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ng two architects’ museum project, three points of characteristic were deducted. First, Rem applies indeterminated program and make a movement of trace as a way of itinerary in museum space. In this process, visitor experiences itinerary movement and aesthetic movement on ambiguous boundaries. In contrast, Kazuyo Sejima arranges irregular and non-oriented program. It causes unexpected movement and multidirectional experiences. Second, Rem induces vertical movement through stacking architectural programs. In his space, visitor experience vertical encounter during trace programs in museum space. However, Sejima makes horizontal connection of space programs, and it makes sense of modern labyrinth as nonhierarchical movement in museum space. Third, Rem tries to communicate with social space through floated mass from site. But Sejima makes urban tissues in architectural space, and it makes movement of urban scape in museum layouts. (Conclusions) In projects of those two architect, it was defined that architectural programming and visitor’s movement has relationship and it means spatial structure can affect spatial aesthetic. Making own solution of applying architectural program can bring progress of advanced architectural experience in work of each architectural project.

      • KCI등재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현창용 ( Hyun Changyong ),이재영 ( Lee Jae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건축물은 조성에 소비된 공적자본의 제공자이자 권리자인 시민들의 자유로운 이용 가능성을 담보하지만, 한편으로 대부분의 공공건축물들은 정치적, 행정적 업무의 수행 근거점으로서 보안을 위한 행위의 제한이 요구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공청사시설이 제공하는 대민 서비스공간의 구성 방식에 따라 시민들이 경험하게 되는 공간적 양상이 달라짐을 밝히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논거를 통해 바람직한 공공청사시설 공간이 가져야 하는 구조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를 정량적 결과를 함축하는 공간구조 분석 방식을 통해 밝힘으로서 국내 공공청사시설이 가지는 대민공간을 건축적으로 진단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건립된 대표적인 국내 지자체 공공청사시설 중 도면분석이 가능한 사례를 추출해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러한 공간적 범주에 대한 구조적 특질을 도출하기 위해 대민공간의 구성방식에 따라 사례를 유형화 하고, 각 사례별 대민공간의 시지각환경을 분석해 정량화 된 지표들을 설정한다. 각 지표들은 크게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근거해 공간의 위상도를 가시장그래프(Visual Graph Analysis)를 통해 분석하는 방식과 대민공간의 진입부에서 시선의 조우가 가능한 영역을 아이소비스트(Isovist) 영역으로 환원해 산출하는 방식으로 크게 나뉘어지며, 각 분석을 통해 공공청사시설의 대민공간에서 보여지는 공간구조의 특싱을 규명하고 값을 비교 분석한다. (결과) 단일건축물 내 유, 무형의 방법으로 두 대민공간을 분리한 조닝형의 물리적, 시각적 개방성은 낮으나 도시적 속성으로 인해 능동적 경험이 요구되는 공간구조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보다 조금 더 일차원적이고 직접적으로 분리한 분리형의 경우 순수 대민 공간이 별도로 추출됨으로서 개방과 통제, 자율성과 감시 모두 중간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통합형의 경우 물리적, 시각적으로 개방적인 구조이나 전이단계 자체는 소거되고 통합홀이 기하학적 중심공간을 갖게 됨으로서 단순하고 쉬우나 다양성이 축소된 동질화된 공간으로 해석된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공공청사시설의 유형화 지표를 제안하였으며, 그 사회적 의미와 공유점을 파악할 수 있는 키워드를 도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열린 공공청사시설의 의미과 공공영역의 관계에 대해 논하였음에도 역시 의미가 있다 하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Public buildings ensure the free use of public capital consumed in the creation of public buildings, but on the other hand, most public buildings require restrictions on acts for security as a basis for carrying out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work.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reveal that the spatial aspects that citizens experience vary depending on the way these public office facilities are constructed, and to derive the structural features that should have desirable public office space through various arguments to support them.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diagnose the public space of domestic public office facilities in an architectural manner by brightening it through a spatial structure analysis method that implies quantitative results. (Method) This study extracts cases of drawing analysis from representative local government public office facilities built after the 2000s and uses them as subjects of research. In addition, cas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public spaces, and quantified indicators are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visual perception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for each case. Each indicator is largely divided into a method of analyzing the topography of space based on Space Syntax and a method of reducing the area of eye contact from the entry part of the public space to the Isovist area. Through each analysis, the specialization of spatial structure shown in the public space is analyzed. (Results) Although the physical and visual openness of the zoning type, which separates the two public spaces in a single building by tangible and intangible methods, is low,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pace structure that requires active experience due to its urban nature. In the case of a slightly more one-dimensional and direct separa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pure public space was extracted separately, resulting in an intermediate character of both opening and control, autonomy and monitoring. In the case of an integrated type, the physical and visually open structure or transition phase itself is eliminated and the integrated hole has a geometric center space, which translates into a homogeneous space with a simple, easy, but reduced variety. (Conclusions) This research suggests a tangible index of domestic public office facilities, and it is meaningful that keywords were derived to identify the social meaning and sharing points. It is also meaningful to discuss the meaning of public office facil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