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근대사회의 자기기술은 어떻게 가능한가? :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에서 사회학적 반성

        현윤경(Yoon-Kyoung Hyun)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3

        본고는 사회학이 근대사회를 기술할 때 직면하게 되는 ‘자기포함의 문제’를 루만의 자기언급적 오토포이에틱 체계이론이 어떻게 해결하는지 고찰하고, 이 이론이 제시하는 사회상과 사회학의 역할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가 자신의 내부에서 자신의 통일성을 기술하려고 하는 시도는 자신의 내부에서 자신을 표상하는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을 만들어 낸다. 이것은 조지 스펜서-브라운의 용어로 재진입을 가리킨다. 체계와 환경의 구별이 체계 속으로 재도입해서 형성된 부분체계는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여 사회를 표상한다. 기능체계들은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고 사회 안에서 정점도 중심도 없이 수평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근대사회는 이처럼 기능분화된 통일성으로 기술된다. 근대사회를 이렇게 기술하는 것은 사회학이다. 재진입은 다른 구별(체계/환경 구별과 자기언급/타자언급 구별)을 같은 것으로 다룸으로써 자기기술에 수반되는 패러독스를 은폐한다. 사회학은 삼차 관찰자의 입장에서 재진입에 수반되는 패러독스가 어떻게 창조적으로 전개되는지, 대상의 구성과 탈구축의 연관에 주목한다. 그런데, 사회학도 자신이 관찰할 때 사용한 구별을 볼 수 없고, 그 구별은 다른 관찰에 의해 관찰된다. 단, 사회학은 사회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자기언급적 기술로서 반성하고 그 자체가 사회 내부에서 하나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으로 반성하는 가능성을 지닌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Niklas Luhmann’s theory of self-referential autopoietic systems solves the problem of self-implication sociology encounters when it describes a modern society; it explores the aspects of modernity and the role of sociology. The attempt of a system to describe its unity within itself creates a part representing itself and other parts within itself. This notion is referred to as ‘re-entry’ in George Spencer-Brown’s terms. The subsystem, form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system and environment reentering into the system, represents the society by taking charge of one function; each of these systems serves its function, then are positioned horizontally in a society that does not have a center or an apex. Modern society is described as such a functionally differentiated unity. It is sociology that describes the modern society in this way. Re-entry conceals the paradox that accompanies self-description, by treating different distinctions (system/environment-distinction and self-reference/other-reference distinction) as the same. Sociology, as a third-order observer, pays attention to how creatively the paradox accompanying re-entry is unfolded. In other words, it pays attention to the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objects. In this way, however, even sociology cannot see the distinction it has used to observe, and this distinction is observed by other observations. Nevertheless, sociology has the potential to reflect on the point of view of its observation as a self-referential description and reflect on itself as occupying a place in society.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연대 논의에 대한 체계이론적 고찰

        현윤경(Yoon-Kyoung Hyun)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4

        본고는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 직면해서 전 지구적 연대를 진전시켜서 ‘새로운 형태의 공산주의’ 사회를 지향한다는 주장에 대해 루만의 체계이론에 입각해서 이의를 제기한다. 우선 가치로서의 연대를 고찰한다. 가치는 ‘이중의 우발성’ 문제에도 불구하고 모든 우발성을 넘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 준거점(불가침의 층위)에 위치하여 커뮤니케이션의 공통 기반을 제공한다. 단, 가치는 선택과 동기부여를 연결해서 행위의 방향을 정하기에는 추상적이다. 행위에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이해·관심이다. 모든 사람이 같은 이해·관심을 가질 수 없으므로 연대로 사회 전체를 연역할 수 없다. 연대는 사회 내부에서 타인에게 저항하는 행위를 통해 나타난다. 둘째, 문제의 시각을 현실(Wirklichkeit)이 아니라 ‘무언가를 보고도 보이지 않는 것’, 즉 근저에 있는 실제(Realität)로 돌려야 함을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를 예로 들어 고찰한다. 셋째, 사회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무엇인가로 생각하는 것은 ‘인식/대상’, ‘사고/존재’, ‘주체/객체’ 구별에 의거하고 있다. 실제에 대한 관찰을 막는 이러한 ‘인식론적 장애’는 자기언급적 오토포이에틱 체계이론으로 극복됨을 고찰한다. 또한, 본고는 체계이론이 기능적 분석을 통해, 1차관찰로 생성된 실제는 선택으로 산출된 것이며 다른 것으로서도 가능한 우발적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검토한다. 아울러 1차관찰로 생성된 실제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2차관찰을 시도해야 함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저항’으로서 사회 안에서 일어나는 사회에 대한 항의가 실제를 테스트해서 사회의 자기 시정을 가능하게 함을 강조하고,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저항’을 이용해서 복잡성을 축소하는 능력을 제고하는 것이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 대한 대책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This paper raises an obj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uhmann’s systems theory, to the idea that we should aim for a new form of Communism through the realization of global solidarity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First, the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solidarity as a value. Despite the problem of double contingency, values are used in ongoing communication as an ‘inviolate level’ and provide a shared basis for communication. However, values are too abstract to select actions. It is interests that motivate actions. Since not everyone can have the same interests, it is impossible to deduce the whole society through solidarity. Solidarity emerges through acts against others within society. Second, the paper explains that the point of view for grasping social problems should be directed not to ‘Wirklichkeit’, but to what one does not see when one sees it, i.e., the underlying ‘Realität’, taking Plato’s ‘Allegory of the Cave’ as an example. Third, the thinking of society as something that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rests on the distinction between recognition/object, thought/being, and subject/object. These epistemological obstacles are overcome by self-referential autopoietic systems theory. Also, the paper points out that Systems theory introduces functional analysis so that Realität generated through first-order observation is grasped as the result of selection and the contingent emergence that could be otherwise. In order to observe Realität that emerges through first-order observation, We have to shift to a level of second-order observation. Lastly, the paper shows that protests that occur as ‘resistance of communication against communication’ within society test the Realität and enable society to self-correct, and emphasizes that enhancing the ability to reduce complexity by accepting ‘the resistance of communication to communication’ can be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에서 ‘형식’ 개념의 수용과 응용

        현윤경(Hyun, Yoon-Kyo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7 사회와 이론 Vol.31 No.1

        본고는 니클라스 루만이 스펜서-브라운의 형식 개념과 그 일반특성을 체계이론에 받아들여 어떻게 응용하였는지 가급적 평이하게 설명함으로써 체계이론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스펜서-브라운의 『형식의 법칙들』의 취지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구별을 실행하라’는 명령에 따르는 것의 의미를 밝힌다. 스펜서-브라운의 형식 산법은구별의 개념(‘구별은 자기완결이다’)에 근거하는데, 이것은 체계이론이 ‘관찰하는 체계’ 이론에 초점을 맞추는데 영향을 주었다. 관찰하는 체계란 자기자신의 관찰작동으로 자기자신을 생성하는 체계이다. 주체가 객체에 포함되어가는 자기언급적 작동으로 체계가 생성하는 것이다. 체계이론에서 주체-객체 도식은 탈구축된다. 이어서, 스펜서-브라운의 형식 산법의 공리 및 패러독스와 그 해소에 대해 설명한다. 체계이론은 이들을 통해 정교해졌으며 체계이론이 스펜서-브라운을 넘어선 점도 밝힌다. 마지막으로, 사회학이 체계(=사회)의 맹점을 사회 내부에서 볼 수 있음을 설명하고 체계이론에서 사회학의 역할을 제시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help readers understand Niklas Luhmann`s system theory, by providing an easy-to-understand explanation on how he has embraced and applied the Spencer - Brown’s form concept and its general properties into his system theory. First, the paper describes the purpose of Spencer-Brown’s Laws of Form, clarifying the meaning of following the command to ‘draw a distinction’. Spencer-Brown’s calculus of form is based on the idea of distinction, ‘distinction is perfect continence’, and it has influenced the system theory to focus on the theory of observing system. An observing system is a system that creates itself through observing operations of self. The system comes about through self - referential operations, in which the subject is being included in the object. In the system theory, the subject-object scheme becomes deconstructed. Also, the paper proposes that the system theory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through the calculus of forms axiom, paradox and its dissolution, and that the system theory has overcome that of Spencer-Brown. Lastly, with explanations on how sociology can see the blind spots of the system (society) from the inside, the paper presents the role of sociology in the system theory.

      • KCI등재

        Machine Learning Approaches for the Prediction of Prostate Cancer according to Age and the Prostate-Specific Antigen Level

        Jaegeun Lee(이재근),Seung Woo Yang(양승우),Seunghee Lee(이승희),Yun Kyong Hyon(현윤경),Jinbum Kim(김진범),Long Jin(김용),Ji Yong Lee(이지용),Jong Mok Park(박종목),Taeyoung Ha(하태영),Ju Hyun Shin(신주현),Jae Sung Lim(임재성),Yong Gi 대한비뇨기종양학회 2019 대한비뇨기종양학회지 Vol.17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machine learning methods that combine data on age and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levels for predicting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943 patients who underwent transrectal ultrasonography (TRUS)-guided prostate biopsy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14 and 2018 because of elevated PSA levels and/or abnormal digital rectal examination and/or TRUS finding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analyzed the prediction rate of prostate cancer, and identified 20 feature importances that could be compared with biopsy results using 5 different algorithms, viz., logistic regression (LR), support vector machine, random forest (RF), extreme gradient boosting, and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Results: Overall, the cancer detection rate was 41.8%. In patients younger than 75 years and with a PSA level less than 20 ng/mL, the best prediction model for prostate cancer detection was RF among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based on LR analysis. The PSA density was the highest scored feature importances in the same patient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diction rate of prostate cancer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not inferior to that using LR and that these methods may increase the detection rate for prostate cancer and reduce unnecessary prostate biopsy, as they take into consideration feature importances affecting the prediction rate for prostate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